2019년 4분기 검색엔진 평균 유입률 자료를 발표합니다.
국내 주요 검색엔진을 통해 웹사이트에 방문하게 되는 비율을 분석한 자료로 검색엔진 트렌드를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2019년 4분기 검색엔진 유입 점유율 분석 결과, '네이버(Naver)' 검색엔진이 지난 분기 대비 2.64%p 하락한 68.62%의 평균 유입률을 기록하였습니다. 유입 점유율이 상승세였던 '구글(Google)'은 3분기 대비 2.12%p 증가하여 19.09%의 평균 유입률을 보였습니다.
네이버의 경우 19년 1분기 대비 -6.66%p 하락하였고 처음으로 4분기에 들어서 전체 점유율 70% 이하로 감소하였습니다. 구글은 19년 1분기 대비 6.20%p 증가하여 상승 곡선을 보이고 있습니다.
'다음(Daum)'은 3분기 대비 0.48%p 증가하였으나, 전체점유율 10%를 넘기지 못하였습니다.
'줌(Zum)'은 전체 점유율 0.90%로 3분기 대비 증가하였으며, 대부분의 유입이 PC를 통한 유입으로 99.28%의 비중을 보였습니다.
'네이트(Nate)'는 지난 분기와 동일한 전체 점유율을 보이고 있으며, 줌과 동일하게 1%를 넘기지 못하였습니다.
기타 검색엔진으로는 유입의 54.11%가 'Yahoo Japan'을 통한 유입인 검색엔진 '야후(Yahoo)'가 0.70%의 전체 유입률을 기록, '빙(Bing)' 0.29%, '바이두(Baidu)' 0.19%를 기록하였습니다.
1. 분석기간: 2019년 10월 ~ 12월
2. 분석대상: 에이스카운터(www.acecounter.com) 서비스를 이용하는 웹사이트로 검색엔진을 이용하여 방문한 익명의 사용자
3. 추출 검색엔진: 네이버, 다음, 구글, 줌, 네이트, 기타(야후, 빙, 바이두...)
* 검색엔진 유입률: 인터넷 사용자가 검색엔진을 통해서 웹사이트에 방문하게 되는 비율
* 구글: 구글 코리아, Google(USA, Japan, UK….)을 모두 포함한 수치
* 야후: Yahoo.com, Yahoo(Japan, Taiwan, HK….)을 모두 포함한 수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