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케터가 되려면 뭘 잘해야 하나요? 콘텐츠 제작? 광고 집행? 브랜딩?” 주니어 친구들이 이런 고민을 꺼내면 나는 “일 잘하는 마케터가 되세요. 3년 차까지는 일의 기본기만 다져도 엄청 잘한 거예요”라고 말한다.
일의 기본기가 탄탄하기란 은근히 쉽지 않다. 이따금씩 연차는 꽤 높은데 일의 기본기가 부실해 보이는 사람들을 본다. 시니어도 챙기기 어려운 게 일의 기본기다. 요 기본기를 튼튼하게 다지고 난 다음에 내가 구체적으로 어디에 강점을 있는 마케터로 거듭날지 고민해도 늦지 않다고 생각한다. (많은 주니어 마케터들이 기본기에 대한 중요성은 놓치고 입사할 때부터 콘텐츠 마케터, 퍼포먼스 마테터, SNS 마케터 등 진로 고민을 한다..는 내 얘기)
나한텐 운 좋게 일의 기본기가 무엇인지 명확하게 알려준 상사가 있었다. 첫 직장인 스타트업에서 우당탕타앙탕탕 일하고 있을 때, 우리 화사에 새로 오신 마케팅 이사님이 오셨다. 며칠간 우리 팀원들이 일하는 모습을 관찰하시곤 제일 처음 하셨던 건 티타임. 마케팅팀 팀원들을 불러놓고 캐주얼하게 해주고 싶은 이야기가 있다며 일 할 때 꼭 기억해야 할 13가지 일의 기본을 말씀해주셨다.
그때 아! 하는 충격을 받고 열심히 기록해둔 글은 5년차가 되어가는 지금도 가끔씩 내가 일을 잘하고 있나 의심이 들 때 꺼내보는 글이 되었다. 다른 주니어 친구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해서 적어본다.
3. 피드백
상호 간의 피드백은 빠르게, 확실히. 업무 요청이 오면 확인 및 일정 회신을 준다던지, 처리에 대한 답변을 빠르게 준다던지. 또, 혹시 내가 피드백을 주면 저 사람이 기분 상해하지 않을까? 이런 생각 때문에 피드백을 주저하는 일이 없도록. 서로가 좋은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해 피드백을 적극적으로 주고받을 것.
4. 중간 공유
6. 기록
단발성 업무가 아닌 경우에는 업무의 기록이 필요. 기록이 필요한 경우에는 메일을 통한 업무 진행. 메일 스레드를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추후에 히스토리를 검색하기에도 용이. 슬랙에서는 가볍고 빠르게처리할수있는업무만,또는여러사람의의견을서로나눠야하는 경우에.
9. 숫자
숫자를 보는데 익숙해져야. 특히 내 업무와 관련된 숫자는 더 잘 파악해야 할 필요.데이터를 기록하는 원장을 잘 관리하고, 그 데이터를 가공해서 인사이트를 끌어내는 연습이 필요. 숫자를 다루는 엑셀도 알아야 할 필요.
13. 업무의 속도
대부분의 업무는 초기 방향 설정 및 집중도에 따라 성과가 좌우됨. 시간이 많이 주어진다고 업무의 성과도 늘어나지 않음. 업무 성과는 특정 소요 시간에 이르면 정체되고 늘어지기 마련. 타이트한 일정을 정하고 그 기간 내 업무에 몰입하고 속도를 붙이자.
뻔한 얘기 같아도 은근히 어렵다. 일의 기본이 흐트러지지 않아야 그 위에 뭘 쌓아도 좋은 마케터가 될 수 있기에, 이번 주의 나에게도 리마인드!
여러분의 생각하는 “일의 기본”이 있다면 댓글로 공유해주세요. 다들 일잘할이 되자구요 호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