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서베이가 선정한 2022 리서치 트렌드 6가지 핵심 요약
1. 비대면 정성조사는 머지않아 정성조사 표준이 될 것
2022년은 비대면 정성조사가 정성조사의 표준 방식으로 자리 잡는 해가 될 겁니다. 비대면 정성조사란 기존 오프라인 대면 방식으로 진행되던 좌담회·UT 등 정성조사의 온라인 비대면 방식입니다. 과거에는 소비자와 직접 만나 정성조사를 하는 게 가장 효과적인 조사 방법이었지만, 현시대는 기술의 발전으로 Zoom·UserZoom·UXReality 등 다양한 툴을 활용해 비대면 정성조사가 충분히 가능해졌기 때문입니다.
오픈서베이의 비대면 정성조사 수요 또한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2021년 오픈서베이의 정성조사 프로젝트 수는 전년 대비 35% 증가했는데, 이중 비대면 방식으로 진행된 정성조사 프로젝트 비율이 85%를 상회합니다. 단순히 코로나로 인해 오프라인 정성조사의 대안으로 비대면 방식을 택한 게 아니라, 비대면 방식 자체의 고유한 강점이 있고 프로젝트 결과 역시 오프라인 방식에 뒤떨어지지 않다는 점 자체가 오픈서베이 정성조사 비즈니스의 성장 동력이 된 겁니다.
비대면 정성조사 수요는 앞으로 계속해서 증가할 전망입니다. 지난 21년 5월 발행된 오픈서베이 피드백 UX 리서치 트렌드 리포트에 따르면, UX 리서치 업무에 관여된 직장인 과반수가 코로나 이후 비대면 방식으로 진행하는 사용자 인터뷰에 대한 수요가 증가했다고 답했기 때문입니다(55.1%). 코로나 장기화 국면이 빠르게 호전되지 않을 경우 비대면 정성조사는 정성조사가 필요한 기업 내부에서 더욱 빠른 속도로 그 니즈가 높아질 것입니다.
오픈서베이 2022 리서치 트렌드 (p.5)
2. 짧고 간결한 설문은 이제 권장을 넘어 필수사항
짧고 간결한 설문은 이제 권장사항을 넘어 필수사항이 됐습니다. 모바일 시대의 소비자가 기대하는 경험의 표준이 달라졌기 때문입니다. 모바일 시대는 모든 경험 요소가 짧고 간결합니다. 긴 분량과 루즈한 호흡을 소비자들은 견디기 어려워합니다. 특히 젊은 층은 TV 프로그램도 본방송보다 10분 내외로 축약한 유튜브 클립을 선호하며, 숏폼 플랫폼 틱톡으로 유튜브보다 더 짧은 영상을 즐기기도 합니다.
모든 방면에서 같은 방향으로 일어나는 변화가 설문조사 분야에서만 나타나지 않을 리 없습니다. 소비자들은 문항 수가 많아 피로도가 높은 설문은 끝까지 집중해서 응답하기 힘들어합니다. 응답 경험이 좋지 않다면 응답 데이터 퀄리티 또한 좋을 수 없습니다. 성공적인 설문조사를 위해서는 모바일 시대의 소비자가 기대하는 경험의 표준에 맞춰 변화해야 합니다.
미국 리서치사 드라이브 리서치는 설문 소요 시간과 응답 퀄리티 간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습니다(링크). 이를 통해 응답 소요 시간이 10분 이상으로 긴 설문은 응답 완료율와 응답 퀄리티가 급격히 떨어진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특히 주관식 응답의 퀄리티가 크게 떨어졌습니다. 응답 소요 시간이 응답 데이터 퀄리티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걸 알 수 있는 대목입니다.
이는 오픈서베이 연간 프로젝트 데이터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최근 3년간 오픈서베이를 통해 진행된 설문 중 문항 개수가 많은 설문의 비율이 꾸준히 감소하는 추세이기 때문입니다. 2021년만 놓고 보면 50~99문항 내외 설문은 전체 설문 중 약 10%, 100문항 이상 설문은 약 4% 수준입니다. 짧고 간결한 설문이 응답 퀄리티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는 점을 많은 기업들이 공감하고 있다는 걸 알 수 있는 대목입니다.
오픈서베이 2022 리서치 트렌드 (p.9)
3. 자사 고객 대상 설문조사 수요가 증가할 것
2022년에는 외부 패널이 아닌 자사 고객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수요가 증가할 것입니다. 디지털 중심으로 비즈니스 환경이 변화하며 고객 경험 관리에 대한 기업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에 많은 기업들이 오프라인 매장·웹사이트·모바일 앱 등 고객 경험 접점에서 다양한 형태의 설문조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상대적으로 작은 규모의 기업들도 구글폼 등 무료 설문 툴을 활용한 만족도 조사 등으로 고객의 목소리에 꾸준히 귀를 기울이고 있고요.
이는 오픈서베이 폼 성장세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오픈서베이 폼은 오픈서베이의 문항 편집 및 결과 분석 툴만 활용해서 자사 고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할 수 있는 상품입니다. 패널 조사 시 발생하는 응답 수집 비용을 절약하고 필요 시 전문적인 설문 설계 및 운영을 맡길 수도 있어서, 자사 고객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시 많이 활용됩니다. 이러한 오픈서베이 폼 프로젝트 수는 2021년 기준으로 전년 대비 80% 이상 증가했습니다.
오픈서베이 2022 리서치 트렌드 (p.11)
4. 마케팅 의사결정을 위한 고객자문단 운영 니즈 증가
고객들과 더욱 긴밀한 관계를 맺고 정기적으로 목소리를 들을 수 있는 고객자문단 수요 또한 증가할 것입니다. 고객자문단은 우리 기업을 잘 알고 있는 고관여 고객 패널단입니다. 고객자문단을 활용하면 정기적으로 다양한 고객 조사를 진행해서 마케팅 의사결정을 위한 주요 힌트를 얻거나, 자문단으로서의 소속감을 부여해 브랜드 충성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고객자문단을 가장 잘 활용한 사례 중 하나는 뷰티 브랜드 ‘에뛰드(ETUDE)’입니다. 에뛰드는 신제품 개발 시 고객의 의견을 적극 반영하기 위해 오픈서베이를 통해 뷰티 고관여자 400명을 선발한 ‘국민 BM 자문단’을 구성한 겁니다. 에뛰드는 자문단을 대상으로 컨셉 테스트·제품 테스트·좌담회 등 다양한 조사를 진행했고, 여기서 얻은 고객 인사이트를 적극 반영해 신제품 ‘피지 쏙 라인’을 출시했습니다. 이중 피지 쏙 프라이머 제품은 런칭 첫 주에만 단독 2,000개 이상 판매됐죠. 에뛰드는 많은 기업이 꿈꾸는 고객 의견을 반영한 제품 출시를 통해 비즈니스적으로도 큰 성공을 거둔 겁니다.
에뛰드 국민 BM 자문단 오프라인 좌담회 현장 (출처. 에뛰드 유튜브)
5. 앱을 가진 기업의 필수 조사로 거듭날 UX 리서치
![20220302102353352_3c061a79-398c-40c2-9f9d-e4b7b174dc76.png](https://openads-real.s3.amazonaws.com/openadsAdmin/smart-editor/images/20220302102353352_3c061a79-398c-40c2-9f9d-e4b7b174dc76.png)
![20220302102404678_c957ec80-f60f-4c72-8d05-6ef3d0ce2ffc.png](https://openads-real.s3.amazonaws.com/openadsAdmin/smart-editor/images/20220302102404678_c957ec80-f60f-4c72-8d05-6ef3d0ce2ffc.png)
6. 마케터의 필수 역량 중 하나가 될 설문조사
![20220302102458258_446e6e67-0df5-4e84-8936-febd85dbf73e.png](https://openads-real.s3.amazonaws.com/openadsAdmin/smart-editor/images/20220302102458258_446e6e67-0df5-4e84-8936-febd85dbf73e.png)
2022 리서치 트렌드 더 알아보기
본 아티클은 오픈서베이가 지난 2022년 1월 발행한 <2022 리서치 트렌드> 주요 내용을 요약 정리한 글입니다. 각 트렌드에 대한 상세 설명과 해당 분야의 실무자 코멘트 등 더욱 깊고 풍부한 내용을 살펴보고 싶은 분은 아래 이미지를 눌러 풀버전 자료를 받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