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SG의 슬기로운 직장생활

[슈퍼팀 만들기] #1. 팀원들의 ‘우리 의식’을 높여주세요

  • 1422
  • 콘텐츠에 ‘좋아’해줘서 고마워요 -
    0
  • 1

스포츠에서는 올스타급 선수들이 모인 팀을 <Super Team>이라 부릅니다. 하지만 스타들이 모였다고 해서 우승이 보장된 것은 아닙니다. 오히려 치열한 경쟁으로 불협화음이 일어나기도 하죠. 진정한 의미의 슈퍼팀이 되려면 각자 잘하는 것이 아니라 팀으로서 성과를 내기 위한 의도적인 노력이 필요합니다. 

 

기업도 마찬가지 아닐까요?

구성원 개개인의 역량은 출중하지만, 이것이 서로 합쳐지지 않으면 성과를 내기 어렵습니다. 특히 요즘처럼 세대 갈등이 심각하고, 이직이 활발하며, 팬데믹 동안 비대면 근무로 인해 구성원들의 소속감이 약해진 상황에서는 더더욱 그렇고요.

 

구성원들이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한 마음으로 뭉치는 팀, 즉 <Super Team>을 만들기 위해서 리더는 무엇을 해야 할까요? 앞으로 네 번의 포스팅을 통해 소개해 드릴게요.

 

그 첫 번째는 우리 의식(Team Identity)의 중요성과 이를 높이는 방법입니다.

  

 

“두 달 동안 모든 팀원들이 그렇게 함께 고생했는데,

밥 한 번 안 사주는 게 말이 되나요?”

 

 

대기업 홍보팀에서 실제 있었던 일입니다. 회사가 창립 50주년을 맞아 성대한 기념행사를 치르게 됐는데, 여기에 홍보팀 팀장이 전담하겠다고 손을 들었습니다. 기존 업무도 많은데 행사 준비까지 떠맡게 된 팀원들은 불만이 컸지만, 팀장도 팔을 걷어붙이고 함께 하는 모습에 군말 없이 열심히 했죠.

 

문제는 행사가 끝난 후였습니다. 팀장이 '그동안 고생 많았어요’ 한 마디 하고 먼저 귀가해 버린 겁니다. 다음 날도 행사에 대한 아무 언급 없이 바로 밀린 업무를 챙기기 시작했습니다. 두 달 동안 애쓴 결과에 대한 공식적인 랩업 미팅이나, 회식이 없자 팀원들은 허탈해 했고, 결국 정기 직원 만족도에서 꼴등을 차지하고야 말았습니다.

 

팀장은 억울했습니다.

아니 뭘 어떻게까지 치하해야 하는 거지? 당연히 해야 하는 회사 일인데 우쭈쭈 해주면서까지 일해야 하나?

 

어떤가요? 팀장의 이런 생각에 심정적으로 공감하는 리더님들이 많으실 것 같은데요.

팀장이 간과한 것이 있습니다. 팀워크의 시작은 힘듦은 나누고 기쁨은 같이 하는 것이란 걸 말입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우리 의식이란

전 세계에서 '우리'라는 말을 가장 많이 쓰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바로 한국 사람들인데요. '내'나라, '내'회사가 아닌 우리나라, 우리 회사, 우리 남편, 우리 학교, 우리 동네,... 왜 이런 것일까요?

 

문화 인류학자들에 따르면 한국인들은 자신의 정체성을 정의할 때 '관계'와 '소속'에 큰 비중을 둔다고 합니다. 때문에 '우리 의식'은 구성원이 자신과 조직의 정체성을 동일시하는 정도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우리 의식이 있어야 개인의 이익보다 조직의 목표를 우선시하며 일할 수 있는, 즉 팀워크 발휘가 가능해지는 거죠.

 


 

그럼 이렇게 중요한 우리 의식, 어떻게 키울 수 있을까요?

쉬운 방법이 있습니다. 바로 '감사'표현을 잘 하는 것입니다.

 

 

 

📌어색한데...꼭 해야 할까?

프리미어리거 손흥민 선수는 골을 넣은 경기 인터뷰에서 공(功)을 다른 선수들에게 돌리는 것으로 유명합니다. “시간이 부족했는데 호이비에르가 나를 봤고 정말 좋은 크로스를 했다. 운이 좋게 정확하게 왼발에 맞힐 수 있었다"라는 식입니다. 이런 언행 덕에 그는 어디서나 환영받는 동료가 됐죠.

 

이처럼 감사 표현은 구성원 간의 친밀감을 올려주고, 소속감 향상에 도움을 줍니다. 직무만족, 신뢰, 협업 수준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요. 하지만 일터에서 '당연히 해야 할 일을 하는' 동료들 간에 서로 감사를 표현한다는 것이 어색하게 여겨지는 분들도 계실 겁니다. 이런 어려움을 극복하고 조직 안에서 감사의 문화가 잘 정착이 되도록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리더가 시도해 볼 만한 3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감사 문화를 정착시키는 방법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우리 의식'은 팀워크 형성에 꼭 필요한 요소입니다. 그렇다고 해서 너무 거창하게 접근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구성원들이 조직의 정체성과 가치를 잘 실천하고 팀원으로서 제 역할을 다 했을 때, 리더가 이를 발견하고 딱 꼬집어서 감사를 표현해 주는 것이 더 쉽고 효과적입니다. 다소 낯간지럽더라도 오늘부터 작게나마 시도해 보시면 어떨까요?

 

 

 

>글쓴이:  HSG 휴먼솔루션그룹 김성남 시니어 컨설턴트


  • #팀관리
  • #우리의식
  • #직원만족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