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SG의 슬기로운 직장생활

[슈퍼팀 만들기] #2. 명료함을 바탕으로 소통해야 해요

  • 1016
  • 콘텐츠에 ‘좋아’해줘서 고마워요 -
    0
  • 1


 

지난 글에선 '슈퍼팀'을 만들기 위한 4가지 방법 중 첫 번째로 우리 의식(Team Identity)을 높이는 방법에 대해 소개했습니다. 오늘은 명료함(clarity)을 바탕으로 소통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릴게요. 

 

 

 

💡 그게 그렇게 중요한가?

명료함(clarity). 업무와 관련한 목표와 책임, 역할 등이 명확하고 의사소통이 원활한 상태를 의미합니다. 글로벌 소비재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수익성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 문화 요인' 중 명료성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하루종일 바쁜데 성과는 없는 경우, 이것이 부족한 조직일 가능성이 있는거죠.

 

그런데... 여러 사람이 모인 조직에서는 어쩔 수 없이 명료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지 않나? 라고 생각하실 수도 있을 것 같은데요. 잠시 뇌과학 얘기를 해볼게요. 뇌 영역 중에 망상체활성계(RAS)라는 부위가 있습니다. 신경에서 수집된 정보가 뇌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필터링 역할을 하며, 이것이 가동을 멈추는 경우는 수면, 마취, 뇌사 상태일 때뿐이라고 하네요.

 


 

명료함이 부족한 조직에서 일하면 이 망상체활성계가 혹사당하게 됩니다. 복잡하고, 모호하고,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일수록 사람은 생존을 위해 필요한 정보에 신경을 곤두세우게 되는데, 이런 상황을 오래 견디다 보면 불안감 등의 부정적 감정에 계속 노출되게 되고, 결국 생산성도 떨어지게 되죠. 머리를 써서 일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지식산업에서 사람의 두뇌 자원은 더할 나위 없이 중요한데, 이런 소중한 자원을 눈에 보이지 않게 날려버리는 것이나 다를 바 없는 것입니다.

 

 

 

💡 어떻게 높일 수 있을까?

조직에서 이를 높이는 건 사실 간단한 일이 아닙니다. 성과 목표와 지표가 잘 정의되어야 하고, 업무에 대한 책임과 권한도 명확해야 하고, 합리적인 의사결정과 투명한 정보 공유도 필요합니다. 이런 것들은 모두 ‘조직 차원’의 노력이 필요한 것들인데요. 그렇다면 일선의 관리자들이 ‘개인 차원’에서 당장 실천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이 있을까요?

 

 


 

☝🏻 계획을 세우기 전에 먼저 비전을 제시합니다

실행을 잘 하려면 비전, 계획, 성과 지표, 평가보상 모두 필요 하지만 제일 중요한 것은 이들의 '순서'입니다. 비전과 목표가 항상 우선이 돼야 하는데요, 이때 주의할 것이 있습니다.

 

팀의 비전과 목표는 반드시 리더가 제시해야 함

다른 것은 위임해도 좋지만 조직의 방향성 제시는 위임하면 안 됨

구성원 의견을 반영하는 것은 좋으나, 이를 결정하고 방향 제시하는 것은 리더의 고유 책임

 

✌🏻 해석이 필요 없는 소통을 하도록 노력합니다

명확한 소통은 말처럼 쉽지만은 않습니다. 직접 소통했을 때와 누군가를 통해 전달했을 때 메시지 내용에 차이가 생길 수 있거든요. (한 글로벌 기업에서 이와 관련된 조사를 했는데, 보고 단계를 한 단계씩 거칠 때마다 메시지가 평균 10%씩 달라졌다고 하네요 😱) 그렇다면 추측과 해석이 필요 없는 소통을 하려면 구체적으로 어떻게 해야 할까요?


핵심 위주로 짧게 말하고 글 쓰기

모호한 표현 쓰지 않기

모르는 것은 ‘모른다’고 인정하기

업무 관련 정보 & 데이터는 누구나 쉽게 접근, 활용할 수 있도록 관리하기

 

🤟🏻 단순하게 합니다

명료한 것은 대개 단순합니다. 무엇을 어떻게 단순하게 하면 될까요?

 

의사결정과 평가의 기준 미리 밝히기: 높은 평가를 받으려면 어떤 조건을 충족해야 하는지 알면 어떤 일에 더 힘을 쏟을지 명확해집니다

불필요한 절차와 형식 없애기: 직원이 알아서 처리해도 되는 일은 묻지 않습니다

룰을 정했으면 예외를 최소화하기: 예외가 늘어나면 복잡도도 함께 늘어납니다

깔끔하고 명확한 일 처리 칭찬하기: 많은 시간을 들여 보통의 성과를 낸 사람보다 적은 시간을 들여 똑똑하게 일한 사람을 칭찬하면 다른 사람들도 그렇게 바뀝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복잡성과 모호함이 기본이라고 하는 21세기에는 역설적으로 명료함이 중요한 팀 가치가 됩니다. 업무와 관련한 기술과 방법이 정교화해도 결국 일을 처리하는 것은 결국 사람이고, 우리는 제한된 인지 능력을 고부가가치 업무에 집중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명료성이 높은 조직의 구성원들은 좀 더 솔직하게 소통하고, 업무에 더 몰입하며, 책임감을 갖게 됩니다. 현장의 리더들이 먼저 목표관리, 소통관리, 업무관리에 있어서 좀더 명확하게 소통하기 위해 세심한 노력을 해야 하는 이유입니다.

 

 

<관련 글 보기>

[슈퍼팀 만들기] #1. 팀원들의 '우리 의식'을 높여주세요

[슈퍼팀 만들기] #2. 명료함을 바탕으로 소통해야 해요 (현재 글)

 

 

 

>글쓴이:  HSG 휴먼솔루션그룹 김성남 시니어 컨설턴트


 

  • #커뮤니케이션
  • #팀빌딩
  • #팀워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