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톡 검색서비스 유입을 어떻게 분석하는지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2)샵(#)검색에서 유입출처 확인이 가능한 경우 지금까지 카카오서치 분석에 대해 살펴보았는데요,
채널 > 카카오검색
카카오톡 세번째 탭인 채널의 검색결과 링크로 유입한 경우
채널의 경우 카카오톡 APP에서 웹페이지를 뿌려주는 형태로,
해당 페이지 링크로 사이트에 유입하는 경우 유입출처 확인이 가능합니다.
‘[검색엔진] 카카오서치/검색어’ 형태로 분석되며,
방문유입출처, 검색엔진/검색어, 검색엔진 상세, 검색어 상세, 최근방문자 리포트에서 분석데이터를 볼 수 있습니다.
샵(#)검색
채팅방에서 검색창으로 바로 전환하여 검색 결과 링크로 유입한 경우
채팅방에서 바로 검색하는 샵(#)검색은 APP에서 결과를 보여주는 형태로,
해당 링크로 바로 사이트에 유입하는 경우 유입출처가 남지 않습니다.
따라서 ‘직접유입’으로 분석됩니다.
다만, 바로 사이트로 접속하지 않고, 채널탭의 검색결과와 같은 웹 페이지로 연결된 후
사이트로 유입한 경우에는 유입출처 확인이 가능합니다.
조금 헷갈릴 수 있는데요, 화면으로 정리해 보겠습니다.
1)샵(#)검색에서 유입출처 확인이 불가한 경우
- 카카오톡 채팅창에서 샵 검색 후 해당 링크로 바로 사이트로 접속하는 경우
- 샵 검색 결과를 카카오톡 채팅창에 보내기 하고, 대화창에서 해당 링크로 바로 사이트에 접속하는 경우
- 샵 검색 후 사이트 더보기를 클릭하고,
검색결과 페이지(채널탭에서 검색한 화면과 동일한 페이지로 연결됨)에서 사이트로 접속하는 경우
- 채팅방에 보내진 샵 검색 링크에서, 상단 샵 링크를 클릭하여
검색결과 페이지(채널탭에서 검색한 화면과 동일한 페이지로 연결됨)에서 사이트로 접속하는 경우
모든 링크에 대해 카카오서치 유입으로 분석이 가능하면 좋겠지만
APP특성상 유입출처 분석이 불가한 링크가 있으니
일부 링크는 ‘직접유입’으로 분석될 수 있다는 것을 감안하고 분석해야겠습니다.
지식UP 콘텐츠
[에이스카운터] 유입 분석(3)_카카오서치 유입 분석 자세히 살펴보기
2017.04.17 20:31
조회수 1380
[에이스카운터 솔루션 가이드 보기]
- #에이스카운터 가이드
- #오픈 컬럼
- #마케팅 솔루션
- #웹로그 분석 솔루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