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경영

[콘.스.프] '망 사용료' 갈등의 격전지! MWC 2023

2023.02.27 07:00
883
0
1


 

이주의 기획 상품 

 

한국이 시작하고 EU가 논의하는 망 사용료

 

빅테크(첨단 기술과 플랫폼 등을 기반으로 다양한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형 기업)의 망 이용료 부과에 대한 갈등이 수 년 간 이어지고 있어요.

 

읽기 전에 잠깐! 망 사용료 갈등에 대한 용어부터 간단히 알아보고 가시죠!

 

💡 용어 정리

- CP(Content Provider) : 구글, 넷플릭스 등의 서비스 제공 기업

- ISP(Internet Service Provider) : SK, KT 등 인터넷 망을 구축하고 인프라를 제공하는 기업

- 트래픽 : 인터넷 망의 접속량, 사용량

 

 

 

💰망 사용료, 논란의 시작

 

우리나라의 경우, 구글과 넷플릭스 등의 글로벌 빅테크(CP)가 국내 인터넷 망 트래픽의 약 34%나 차지함에도 불구하고 망에 대한 이용료 지불은 일체 없었습니다.

 

특히, 넷플릭스는 망 사용료 부담 의무에 대해 SK브로드밴드를 상대로 국내 법원에 소송을 제기한 바 있는데요. 1심에서는 이미 패소 했으나 2심도 진행 중이에요. 이것이 바로 세계 최초로 한국에서 시작된 망 사용료 갈등인 셈이죠.

 

한국에서는 SK브로드밴드와 넷플릭스 간 소송 이후 전기통신사업법 개정안이 여러 건 발의 되기도 했는데요. 하지만 시간이 흐름에 따라 국내에서 발의된 ‘망 무임승차 방지법’ 추진 움직임은 지지부진한 상황입니다.

 

 

 

🌍한국에서 시작되어 글로벌 화두가 되기까지

 

아직까지 대부분 ISP가 자체 예산으로 구축한 망을 CP가 무상으로 사용하는 구조입니다. 근 몇 년 간 OTT(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등의 영상 콘텐츠가 인기를 끌며 트래픽은 꾸준히 증가해왔는데요.

 

 

(출처=한국경제)

 

 

콘텐츠를 제공하는 CP들은 이득을 취할 수 있지만, ISP들은 망 추가 구축 및 확장에 대한 부담을 토로하는 실정이에요. 도이치텔레콤과 오렌지, 텔레포니카, 텔레콤 이탈리아 등 유럽의 대형 통신사(ISP)들은 수 년째 빅테크 특히, 인터넷 트래픽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이른바 6대 CP(메타, 아마존, 넷플릭스, 애플, MS, 구글 등)가 망 인프라 구축을 위한 비용을 분담해야 한다고 주장해요.

 

반면 CP 측에서는ISP가 일반 사용자로부터 망 사용료를 받고 있으니 문 제가 없다고 보고 있어요. 같은 맥락에서 망 사용료 추가 지불은 **망 중립성 원칙을 훼손하는 ‘인터넷 통행세’**라는 주장을 하고 있죠.

 

 

 

(출처=정경 시사 FOCUS)

 

 

비단 기업 단위 뿐만 아니라 국가 간 논리도 대립하는 상황이에요. 미국의 경우, 자국 빅테크(CP)의 불이익을 우려**하기 때문에 망 사용료에 반대하지만 유럽의 경우, 과도한 트래픽을 유발하는 주요 기업이 없다보니 ISP의 목소리가 높은 편**이죠.

 

 

 

🤔MWC도 주목한 망 사용료 논란… 결론은?!

 

이렇듯 아직까지도 갈등이 현재 진행형인 상황에서 최근 해외 국가들이 법안 입법을 적극 추진하며 규제 논의를 다시금 가시화하고 있습니다.

 

 

 

메타버스 메신저 '본디(Bondee)'

 

 

사실 갈등은 앞으로 더 심화될 일만 남았다는 것이 통신 및 콘텐츠 업계의 공통된 의견인데요. 메타버스나 증강현실(AR), 가상현실(VR) 등과 같이 서비스의 형태가 다양해지면서 트래픽 또한 갈수록 더 늘어날 것이기 때문이에요.

 

한편, 이번 ‘MWC(Mobile World Congress) 2023’에서 망 사용료 관련 내용이 주요 의제로 다뤄질 예정이라고 밝혀지면서 '빅테크 망 무임승차' 논란이 글로벌 화두로 부상할 것으로 보이기도 합니다.

 

 

 

클릭하여 공식 홈페이지로 이동

 

 

💡 MWC란?

GSMA(세계 이동 통신 사업자 연합회)의 주최로 매년 2월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의 모바일 기기 박람회이다. 올해 행사는 2월 27일부터 오는 3월 2일까지 개최된다.

 

이에 국내 통신 업계는 이번 MWC를 계기로 망 사용료 관련 법안이 구체화 될 것이라 기대하고 있어요. EU 집행위원회는 약 12주에 걸쳐 이해 관계자들의 의견을 수렴해 정책 방안을 마련할 것으로 예상 되는데요. 이 과정에서 한국과 호주 등이 제시한 망 사용료 법안도 검토할 계획입니다. 일련의 과정을 거쳐 마련된 법안 초안을 바탕으로 EU는 회원국들과의 논의 등을 통해 본격적인 법제화를 추진할 전망입니다.

 

 

 

티에리 브로통(출처=MWC 공식 홈페이지)

 

 

티에리 브르통 EU 집행위원은 지난 2월 14일 한 인터뷰에서 "빅테크가 일부 통신 네트워크 비용을 부담해야 하는지에 대한 협의를 시작할 준비가 돼있다"고 말하며 "올 말까지 법안이 마무리 될 것이라 확신한다"고 강조하기도 했어요.

 

 


 

문화편의점은 점주님들의 이야기가 듣고 싶어요. 여러분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 건의사항 🚧

문화편의점 🔗위픽레터 🔗인스타그램에도 놀러 오세요. 더 많은 이야기가 기다려요.

#망사용료 #메타버스 #MWC
이 글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서로의 생각을 공유할수록 인사이트가 커집니다.

    추천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