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상세 광고 이미지

문화편의점의 매거진

통신3사의 "탈통신" 전략, 이유는? (feat.AI)

문화편의점

2024.03.05 13:00
  • 961
  • 콘텐츠에 ‘좋아’해줘서 고마워요 -
    0
  • 1
 
주의 기획 상품 
🤙통신 업계의 게임 체인저는 바로,,, AI?!
몇 년 전까지만 해도 5G에 대한 활발한 논의가 오갔던 MWC…

💡 MWC(Mobile World Congress)란?
세계이동통신사업자연합회(GSMA)가 매년 2월 개최하는 세계 최대 모바일 쇼를 뜻한다. 올해 행사는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렸으며 전 세계 205개국, 총 10만 여명 이상이 참석했다.

(출처=MWC 공식 홈페이지)

그런데! MWC 2024의 분위기는 사뭇 달랐어요. 국내 대표 통신사인 SKT, KT, LG유플러스(이하 통신3사)의 CEO들이 모두 “AI”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했기 때문이에요.


🤝통신3사 CEO : “AI가 먼저다!”
통신3사 CEO들은 이번 MWC를 통해 AI 기업과의 협력 계획을 포함한 비전을 공개했습니다.


🤖 SKT
SKT 에이닷(출처=공식 홈페이지) 
 
SKT는 자사 AI 서비스로 MWC 시상식 2개 부문에서 수상을 하는 등 활발한 행보를 보여주었어요. 독일, 아랍에미리트(UAE), 싱가포르, 일본 등 해외 통신사와의 AI 합작법인 설립 소식도 알렸습니다.

또한 옷에 꽂는 AI 디바이스를 개발하는 휴메인, 대화형 AI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퍼플렉시티 등 신흥 기업과 제휴하며 PAA(Personalized AI Assistant; 개인형 AI 비서) 사업 고도화를 위한 전략을 구체화했어요. 서버 및 스토리지 제조 기업 슈퍼마이크로와 글로벌 AI 데이터센터(DC) 사업을 위한 협약도 체결했죠.

 

📃 KT
KT 초거대 AI 믿:음(출처=공식 홈페이지)
 

KT의 신규 CEO는 “내부 교육 강화를 통해 KT의 DNA를 AI 중심으로 완전히 바꾸겠다”는 포부를 발표했습니다. 또한 아마존웹서비스(AWS)와의 파트너십 체결을 기반으로 생성형 AI 분야에서의 협력을 강화하는 전략을 세웠어요. AI 기반 문맥 맞춤 광고 서비스를 공개하기도 했죠.

 

⏫ LG유플러스
(출처=각 사) 

LG유플러스 CEO는 올 상반기 중으로 자사 생성형 AI 모델 익시젠(ixi-GEN)을 공개할 예정이라고 밝혔어요. 더불어 AWS와의 협약을 통해 1) 고객 경험 혁신과 2) 클라우드 보안 수준 향상, 3) 최신 AI 기술을 활용한 사례 발굴 등을 위해 힘쓸 예정이에요.

 

💨AI가 통신 업계를 뒤집어 놓을 수 있었던 진짜 이유

그런데 통신3사는 왜 더 이상 5G가 아닌 AI에 집중하는 것일까요?

1️⃣ 지지부진했던 5G 성과
5G 상용화 이후 약 5년이 지난 현재, 국내 5G 가입자는 2,200만 명을 넘어섰고 속도도 핀란드 등 주요 국가 대비 월등히 빠른 수준입니다. 그런데 제대로 된 5G 환경이 구축되지 못했고 이렇다 할 성과를 냈다고 보기에도 어려움이 있어요.

(출처=pixabay) 

 무엇보다 소비자 인식이 그리 좋지 않습니다. 근본적으로 체감 가능한 서비스나 속도 변화가 적다 보니 합리적이지 않다는 의견은 존재하기 마련이죠.최근 5G 중간 요금제 출시로 통신비 부담이 감소하긴 했지만 선택의 폭은 여전히 좁습니다. 

 
2️⃣ 게임 체인저 “챗GPT”의 등장
인터넷, 스마트폰 등 대부분의 서비스는 통신 인프라를 기반으로 작동하는데요. 이는 곧, 우리의 의사소통 과정에 통신 서비스가 필요하다는 뜻이에요.이러한 상황에서 등장한 생성형 AI 기술은 기존의 인간-인간 의사소통 방식을 인간-사물 형태로 확장했습니다. 다시 말해 의사소통을 지원하는 통신사에게 새로운 사업 기회가 된 셈이죠.


일상에 빠르게 스며든 SKT AI 서비스 사례(출처=유튜브 'SK telecom’)

게다가 통신사는 이미 통신 요금 구독 구조를 기반으로 두꺼운 고객층을 확보하고 있어요. 전 국민에 가까운 고객을 대상으로 하는 각종 서비스에 AI를 적용한다면 고객 경험 고도화와 이익 증대로 이어질 확률도 높아지겠죠.

통신사가 AI에 집중할 수밖에 없는 구조입니다.

 

🐍모든 걸 삼켜버릴 AI?!

통신3사의 AI 집중 전략, 이른바 "탈통신" 전략의 고도화가 정말 승산이 있는 게임이 될지 그 귀추가 주목됩니다. 비단 통신 서비스뿐만 아니라 UAM 등 도심 항공 서비스나 로봇, 노인 돌봄, 더 나아가 6G 서비스 상용화에도 AI가 접목된다면 또 어떤 시너지를 일으킬지 기대가 되네요:)

 


 

문화편의점은 점주님들의 이야기가 듣고 싶어요. 여러분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 건의사항 🚧

문화편의점 🔗위픽레터 🔗인스타그램에도 놀러 오세요. 더 많은 이야기가 기다려요.

 

 

  • #통신사
  • #AI
  • #SKT
  • #KT
  • #LG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