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상세 광고 이미지

그로스해킹

사용자 인터뷰 분석하고 데이터 보는 방법

그로스해킹LABBIT

2024.03.21 09:00
  • 2330
  • 콘텐츠에 ‘좋아’해줘서 고마워요 -
    0
  • 1

안녕하세요. 데이터 연구소 래빗입니다.

 

이번글은 O,X 퀴즈로 시작해보겠습니다. 질문: 데이터는 모두 숫자 형식이다?

 

정답은 X 입니다!🙅‍♂️

 

숫자 형식의 정량 데이터 외에 인터뷰를 통해 주고받는 말도 데이터가 될 수 있답니다!

 

바로 그런 데이터를 '정성 데이터'라고 하는데요, ‘정성 데이터’는 왜 이런 데이터가 나왔는지, 어떤 데이터를 보아야 할지, A/B 실험은 어떻게 설계해야 좋을지 등등 데이터로 볼 수 있는 사용자 행동의 이면을 살펴보기 위해 꼭 필요한 데이터예요.

 

저희 데이터너겟에서는 고객 경험을 확인하고 피드백을 수집해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자 인터뷰를 진행하고 있어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사용자 인터뷰에서 인사이트를 얻고, 데이터를 통한 성장으로까지 연결시키려면 어떻게 분석해야할지 사용자 인터뷰 분석 방법을 단계별로 소개드릴게요.

 

1. 인터뷰 요약

 

인터뷰 분석을 위해 첫번째로 해야할 일은 인터뷰 요약입니다.

 

1) 카테고라이징

 


 

 

가장 기본적으로는 인터뷰 답변 중 유사한 내용들을 묶어 카테고라이징하는 방식으로 요약할 수 있어요.

 

2) 사용자 여정

 


 

 

또, 데이터 수집부터 분석까지의 경험을 사용자 여정으로 시각화하여 정리할 수도 있어요.

 

이렇게 인터뷰 답변을 요약하고 나면 인터뷰 답변을 통한 인사이트를 얻기에 훨씬 유용해진답니다.

 

2. 가설 설정

 


 

인사이트는 가설 형태로 정리해요. 사용자 인터뷰의 목적이 제품이나 서비스 개선에 있는 만큼 인터뷰를 통해 얻은 인사이트는 검증이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이죠.

 

예시 1.

 

 

예시 2.

 

 

3. 방향성 도출

 

각 인터뷰자 별로 도출한 가설들을 카테고라이징하면 앞으로의 검증 방향성을 도출할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행동방향도 설정해 볼 수 있어요.

 

예시 1.

 

 

예시 2.

 


 

 

예시 3.

 


 

 

이렇게 사용자 인터뷰 분석을 완료한 이후에는 실험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고 방향성을 수정하면서 제품이나 서비스를 실제로 개선하는 단계로 이어집니다.

 

이 단계까지 오니 서비스나 제품의 개선에 훨씬 가까워진 느낌이 들지 않으신가요?!

데이터 중심의 의사결정을 위해 가장 중요한 단계는 가설 설정이라고 생각해요.

 

어떤 인사이트를 가설 형태로 도출하면 가설 검증을 위한 실험을 설계하면서 어떤 데이터를 어떻게 보아야할지 구체화할 수 있고, 그럼 데이터를 훨씬 효율적이고 확실하게 볼 수 있기 때문이예요.

 

앞으로 데이터너겟은 사용자 인터뷰를 비롯하여 다양한 사용자 경험을 확인하고 검증하며 궁금하고 필요한 데이터들만 쏘옥, 맞춤형으로 제공해드릴 수 있게 노력하겠습니다. 그럼 계속해서 저희 데이터너겟과 성장 경험을 함께 해주세요 🙂

 

 

블로그 구독자 문의 주소 : info@weirdsector.co.kr

그로스 해킹 파트너, LABBIT 바로가기

LABBIT을 운영하는 Team 위어드섹터 만나러 가기

브랜드의 성장박스 Data Nugget 

  • #LABBIT
  • #그로스해킹
  • #정성데이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