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4주차, 세상의 트렌드와 마케팅 인사이트를 전합니다.
#업종별 트렌드 #검색 #챗GPT
📣 '챗GPT 검색' 개방…구글에 도전장
오픈AI가 유료 사용자에게만 제공하던 '챗GPT' 검색 기능을 모든 사용자에게 개방했습니다.
구글이 지배하는 세계 검색 시장에 인공지능(AI) 검색 기능으로 도전장을 던졌다는 평가인데요. 국내 포털 최강자 네이버가 독주하는 지식검색 시장에도 적잖은 영향이 예상돼요. 문자 검색에서 동영상까지 미래형 검색 시장을 향한 치열한 경쟁이 예상됩니다. 오픈AI는 16일(현지시간) 챗GPT의 검색 기능을 모든 로그인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고 해요. 지난 10월 말 출시 당시 검색 기능은 챗GPT 플러스 등 유료 구독자들에게만 제공됐죠. 한 달 반 만에 무료 이용자까지 서비스를 확대한 거예요. 서비스 제공 속도도 전반적으로 한층 빨라졌다고 합니다.
#업종별 트렌드 #앱
📣 한국인이 가장 많이, 오래, 자주 사용하는 앱은?
애플리케이션(앱)·리테일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리테일·굿즈는 한국인이 가장 많이, 가장 오래, 가장 자주 사용하는 앱을 조사해 17일 발표했습니다.
와이즈앱·리테일·굿즈가 한국인 스마트폰(Android+iOS)을 표본 조사한 결과, 2024년 11월 가장 많은 사람이 사용한 앱은 ‘카카오톡’으로 사용자가 4850만명으로 조사됐다고 해요. 이어 ▲유튜브 4673만명 ▲네이버 4426만명 ▲쿠팡 3220만명 ▲네이버 지도·내비 2929만명 ▲인스타그램 2604만명 ▲토스 2472만명 ▲배달의민족 2181만명 ▲당근 2100만명 ▲카카오뱅크 1836만명 순이었습니다. 가장 오래 사용한 앱은 ‘유튜브’로 사용시간이 1063억분이었어요. 이어 ▲카카오톡 322억분 ▲인스타그램 225억분 ▲네이버 192억분 ▲틱톡 61억분 ▲X 57억분 ▲네이버 웹툰 52억분 ▲티맵 44억분 ▲넷플릭스 42억분 ▲쿠팡 38억분 순이었습니다. 가장 자주 사용한 앱은 ‘카카오톡’으로 실행횟수가 761억회였는데요. 이어 ▲인스타그램 161억회 ▲네이버 144억회 ▲유튜브 139억회 ▲토스 63억회 ▲X 52억회 ▲쿠팡 42억회 ▲당근 34억회 ▲업비트 24억회 ▲밴드 22억회 순이었다고 합니다.
#업종별 트렌드 #다이어리 마케팅
📣 연말 카페 다이어리 마케팅 '썰렁'
카페업계가 연말마다 진행했던 ‘다이어리(플래너)’ 마케팅이 점점 사라진 모습입니다.
18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매출액 기준 최대 카페 브랜드 스타벅스를 제외한 투썸플레이스, 이디야커피, 커피빈, 탐앤탐스 등 다른 대형 카페 브랜드들은 연말 다이어리 이벤트를 진행하지 않았다고 해요. 카페 다이어리 마케팅이 실종되다시피 한 가장 큰 이유는 전체적인 수요가 줄어서라는 게 업계 공통된 의견입니다. 각 브랜드는 대신 모델을 활용한 마케팅이나 컬래버레이션(협업) 굿즈 등을 판매하며 다이어리 마케팅을 대체하고 있죠. 별걸 다 꾸민다는 뜻의 신조어인 ‘별다꾸’ 트렌드와 함께 일관된 디자인의 기성품보다는 자신의 취향을 드러낼 수 있는 다이어리를 찾는 경향이 뚜렷해진 것도 카페 다이어리 마케팅이 실종된 또 다른 이유로 꼽혀요. 카페업계 관계자는 “다이어리 증정 이벤트는 예전만큼 호응이 없는 게 사실”이라며 “자신만의 개성을 담은 다이어리를 직접 꾸미는 ‘다꾸’ 열풍으로 카페 다이어리 수요가 줄어든 측면이 크다”고 설명했습니다.
🌞 '지난주 아침'으로 되돌아가기
📣 "한마디면 영상 뚝딱" 오픈AI '소라'
📣 유통업계, 마케팅에 ‘놀이 요소’ 담는다
📣 대형마트가 '그로서리' 강화하는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