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 인사이트

🎯 MZ 타겟팅, 아직도 2030으로 묶으시나요?

2025.03.25 10:30
1250
2
1

MZ를 공략하고 싶으신가요? 

그렇다면 먼저 그들이 ‘어디에 있었는가’부터 살펴봐야 합니다. 같은 MZ라도 관심사와 소비 방식은 다 다르니까요.


누군가는 전시 공간에서 감성을 채우고, 누군가는 대학 캠퍼스를 오가며 진로를 준비하고, 또 다른 누군가는 성수동 거리에서 새로운 브랜드를 경험하고 있죠. 이처럼 소비의 차이는 단순한 연령보다 행동과 맥락에서 더 뚜렷하게 나타납니다. 그런데 아직도 많은 캠페인에서는 이들을 단순히 ‘2030’이라는 숫자로만 묶고 있죠.

 

이번 글에서는 오프라인 방문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MZ 타겟팅 전략을 소개해보려고 합니다.

 

 

😎 오프라인 데이터로 MZ 타겟팅하기

1. 자기계발/학습 지원 캠페인📚

MZ세대 중 학습 공간을 자주 찾는 이들은 뚜렷한 목적을 가지고 정보를 탐색하고 소비합니다. 취업 준비, 자격증 시험, 어학 공부 등 현실적인 목표에 맞춘 콘텐츠에 관심이 높고 실용성과 효율성이 강조된 서비스에 잘 반응합니다.

 

추천 타겟: 주요 대학 캠퍼스, 작심스터디카페, 공공도서관 등 학습 공간 방문자

  • 교육 플랫폼은 캠퍼스 방문자를 타겟으로, 온라인 광고에서 취업 특강·자격증 강좌 관련 콘텐츠를 노출해 관심을 끌 수 있어요.
  • 온라인 강의 서비스는 자격증 시험 대비, 단기 강의 중심 콘텐츠를 활용해 검색보다 먼저 도달하는 광고 전략을 운영할 수 있어요.
💡로플랫은 대학 캠퍼스, 스터디카페 등에 주기적으로 방문한 이들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실질적인 자기계발 타겟을 구성할 수 있어요.

 

 

 

2. 신상품 론칭, 체험형 마케팅 캠페인 🧴

트렌디한 공간을 자주 찾는 MZ는 새로운 것에 민감하고 브랜드 경험을 적극적으로 공유합니다. 이들은 패션, 뷰티, 라이프스타일 제품에 활발히 반응하는 핵심 소비층이에요.

 

추천 타겟: 성수동, 연남동, 이태원, 가로수길 등 트렌디 상권 방문자

 

  • 패션 브랜드는 트렌디 상권 방문자를 타겟으로 시즌 신상품 콘텐츠를 활용한 스타일 제안 광고를 집행할 수 있어요.
  • 뷰티 브랜드는 메이크업 팁, 제품 체험 후기와 함께 체험단 모집 광고를 SNS 피드에 노출시켜 자연스러운 유입을 유도할 수 있어요.

 

💡 로플랫은 MZ에게 인기 있는 상권 내 방문 데이터를 기반으로 브랜드에 민감한 트렌디 소비층을 추출할 수 있어요.

 

 

3. 감성 콘텐츠·문화 경험 캠페인 🖼

전시나 문화 공간을 자주 찾는 MZ는 예술·디자인 콘텐츠에 대한 관심이 높고 전시 관람을 취미이자 일상 속 여가로 즐기는 경향이 있습니다. 전시와 관련된 굿즈를 구매하거나, 전시 콘텐츠를 SNS에 공유하는 등 직접 경험한 문화 콘텐츠를 기반으로 소비 활동을 확장하는 모습도 자주 나타납니다.

 

추천 타겟: DDP, 서울시립미술관, 아크앤북 등 전시·문화공간 방문자

 

  • 독립 출판 브랜드는 예술·디자인 서적, 아트북, 굿즈 등 소장형 콘텐츠를 문화 공간 방문자 타겟에게 브랜딩 중심 광고로 노출할 수 있어요.
  • 문화 플랫폼/예매 서비스는 새로운 전시 콘텐츠나 큐레이션 소식을 타겟에게 노출해 실질적인 방문 또는 전환을 유도할 수 있어요.

 

💡 로플랫은 주요 전시 공간의 방문 데이터를 기반으로 감성 콘텐츠 소비에 적극적인 MZ 타겟을 추출할 수 있어요.

 

 

4. 팬심 기반 소비 캠페인 🎁

굿즈를 수집하거나 좋아하는 브랜드의 콘텐츠에 반응하는 MZ는 한정판, 협업 굿즈, 스토리가 담긴 제품에 높은 관심을 보입니다. 이들은 단순한 소비를 넘어 ‘소장’과 ‘팬심’을 중심으로 브랜드를 즐깁니다.

 

추천 타겟: 텐바이텐, 29CM 오프라인 매장 등 브랜드 굿즈숍·편집숍 방문자

 

  • 브랜드는 팬심을 기반으로 한 굿즈 추천, 한정판 알림, 팬 참여형 이벤트 콘텐츠를 통해 MZ 타겟의 클릭 유도나 제품 구매 전환을 이끌 수 있어요.
  • 팝업스토어 오픈 알림 광고는 오프라인 방문 경험을 중시하는 타겟에게 효과적이에요. 굿즈숍 방문 이력이 있는 MZ 타겟에게 ‘한정 기간 팝업 오픈’, ‘현장 한정 굿즈 증정’ 등의 메시지를 전달해 실질적인 방문 유도와 온라인 사전 관심 유입을 동시에 이끌 수 있어요.

 

💡 로플랫은 굿즈숍이나 편집숍 등 브랜드 팬 행동이 활발한 공간 방문 데이터를 기반으로, 굿즈 수집과 팬심 소비 성향을 가진 MZ 타겟을 식별할 수 있어요.

 

 

오프라인 공간은 취향과 목적이 드러나는 장소입니다. 누가, 언제, 어디를 방문했는지를 보면 그들이 지금 어떤 관심사를 가지고 있는지, 어떤 메시지에 더 반응할지를 더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소개한 타겟팅 전략은 모두, 실제 오프라인 공간을 찾은 MZ의 행동 데이터를 기반으로 구성된 시나리오인데요. 로플랫은 이런 오프라인 방문 데이터를 바탕으로 온라인 광고 플랫폼에서 활용 가능한 타겟 세그먼트를 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어요.

 

예를 들어 한 달 이내 특정 공간을 2회 이상 방문한 이들을 기준으로, 문화 관심층, 자기계발형 타겟, 트렌디 소비층 등으로 세그먼트를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단순한 연령 타겟팅을 넘어, ‘지금 이 메시지를 누구에게 보여줘야 할까?’라는 질문에 ‘어디에 있었던 사람인가?’로 답하는 방식. 

지금 마케팅에 필요한 건, 바로 이 행동 기반 타겟팅일지도 모릅니다.

 

📍오프라인 데이터 기반 로플랫 DMP 서비스 소개서 받아보기

 

 

 

 

 

 

#DMP #광고 #타깃팅 #광고전략 #데이터
이 글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서로의 생각을 공유할수록 인사이트가 커집니다.

    추천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