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켓인사이트

인크로스 2025년 상반기 마케팅 트렌드 & 이슈 결산 리포트

인크로스

2025.07.01 09:00
  • 191
  • 콘텐츠에 ‘좋아’해줘서 고마워요 -
    0
  • 0

 

인크로스의 펭귄 사원 마인이의 마케팅 인사이트

이 아티클은 마인이의 블로그에서도 만나볼 수 있어요! (→ 마인이 마케팅로 보러가)

 

 

2025 6월 말, 어김없이 찾아온 마인이의 상반기 마케팅 트렌드 결산 리포트-!

 

2025년의 절반이 지나가는 현재
마케팅 시장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마인이와 함께 살펴봐요. 😎

 


| 2025년 상반기 꼭 알아야 할 마케팅 트렌드 키워드

 

 


2025년 상반기 인크로스가 꼽은 꼭 알아야 할 마케팅 트렌드 세 가지는 바로바로~~🥁

AI 에어전트의 부상, 콘텐츠 영향력 증대, 불황 마케팅: 가치 환원 전략이에요!

본격적으로 키워드들을 만나보기 전, 2025년 상반기 광고 시장부터 분석해볼게요.

 

 

| 2025년 상반기 광고 시장은 어땠을까?

 


출처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kobaco)가 발표한 6월 광고 경기 전망에 따르면, 2025년 상반기 월별 광고경기 동향 및 전망지수 추이에서 2월 소폭 상승했다가 4월 이후 점차 하락하는 모습을 보여요. 하지만 실제 광고경기 동향지수는 5월 기준 전월 대비 2.4p 상승한 103.5로 나타났어요. 매체별 광고경기 동향에서는 4월에 전 매체에서 하락하는 추세를 보였으나, 5월에는 지상파 TV 102.4, 온라인·모바일에서 103.5로 나타났어요.

 

6월의 전망지수는 지상파 TV의 경우 2.1p 감소한 100.3, 온라인·모바일은 4.0p 감소한 99.5로 전망돼요.

 


 

그렇다면 지금부터 마인이가 엄선한 세가지 트렌드 키워드를 만나볼까요? 첫번째로 만나볼 키워드는 바로 'AI 에이전트의 부상이에요.

 

 

📢 키워드 1. AI 에이전트의 부상

 

| 배경: 검색 유입의 시대는 저물고, AEO의 시대가 온다

 


출처 마켓앤마켓, 시밀러웹

 

 

AI 에이전트 시장은 2023 48억 달러 규모에서 2028년 연 평균 43%의 성장률로 285억 달러 규모로 증가할 것이 예상돼요. 생성형 AI의 챗봇 활용이 증가함에 따라 각 분야별로 검색 트래픽이 줄고 있으며, 여행 분야에서 20.2%로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어요.

 


출처 보도자료 취합

 

 

생성형 AI의 영향에 따라 검색 엔진에서의 알고리즘이 변화하고 있어요. 키워드 중심으로 검색 엔진이 크롤링하여 콘텐츠를 노출하던 구조에서 대화형의 답변 엔진 최적화(AEO)로 변화하고 있어요. 검색 엔진 최적화를 염두에 두고 작성되던 콘텐츠들은 생성형 AI에서 검색되고 인용·사용될 수 있도록 변화할 거예요.

 

 

 

키워드 1-1. AI 검색

 

| 변화하는검색행태, 제로 클릭 검색


 


출처 보도자료 취합

 

 

사용자가 검색 결과 페이지에서 다음 링크를 클릭하지 않고도 원하는 정보를 바로 얻어 이탈하는제로 클릭 검색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어요.

 

전 세계 모바일과 PC 트래픽을 종합해 데이터를 확인했을 때, 유기적 클릭률(Organic Click-Through Rate) 33.59%, 제로 클릭 검색 비중은 64.82%로 나타나요. 대표적 사례로는날씨검색의 경우가 있으며, 다음 정보 사이트로의 이동 없이 85%가 바로 이탈한 것으로 나타나요.

 


출처 Bain–Dynata Generative AI Consumer Survey

 

 

사용자들은 AI를 통해정보 조사·수집·요약·탐색 목적의 활용이 68%, ‘뉴스·날씨 등 실시간 정보 확인48%, ‘제품 추천 및 구매 결정 시에는 42%가 활용한다고 응답했어요. 사용자들은 검색 엔진에서의 탐색을 AI 중심으로 이동하고 있으며, 검색의 패러다임도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어요.


 

| 한 번의 대화로 필요한 요청을 모두 처리하는 AI 에이전트

 


출처 보도자료 취합

 

 

오픈AI는 지난 1, 사용자의 작업을 대신 수행하는 AI 에이전트오퍼레이터를 출시했으며, 5월에는 상위 버전의 o3 모델을 적용해 더욱 복잡한 지시 사항을 수행하도록 업그레이드했어요.

 


출처 보도자료 취합

 

 

사용자 대신 정보 수집을 넘어 예약·온라인 쇼핑까지 대신해주는 AI로 온라인 지식 공유 플랫폼들의 월 평균 방문자 수(MAU)는 빠르게 감소 중이에요. 위키피디아는 2022 1 6,500만 명의 방문자에서 2025년 동월 기준 1 2,800만 명이 방문해 약 22.4% 감소한 수치를 보였어요. 네이버 지식인의 경우, 2020 3,007만 개의 게시글 발행 건수를 보였으나 2025년에 들어서며 455만 개의 게시글 추이를 보이며 6년 만에 84.87% 감소한 추세예요.

 

| 네이버·카카오에서도 본격적으로 도입하는 AI

 

국내에서는 네이버와 카카오가 본격적으로 AI 서비스 및 기능을 출시하고 있으며, 플랫폼 내 AI의 통합으로 초개인화 및 맞춤형 경험을 제공해요.

 



출처 카나나 AI

 

카카오는 카나나(kanana) 서비스를 CBT(Closed Beta Test)로 출시했어요. 개별 앱으로 출시된 카나나는 메신저 내 AI 비서 역할을 하는 그룹 메이트카나 1:1로 개인화된 답변을 제공하는나나로 구성돼 있어요. 이들은 대화 내용의 요약이나 일정 및 장소 선정에 도움을 주는 기능을 수행해요.

 


출처 보도자료 취합

 

 

네이버는 기존 키워드 중심의 검색에서 벗어나 대화 중심의 결과를 제공하는 통합 에이전트 예상 UI 공개했어요. 2025년 검색 결과 개요를 보여주는 ‘AI 브리핑에서 2027년에는 대화 기반의 맞춤형 결과를 제공하는통합 에이전트로 탈바꿈할 계획이에요.

 

 

| 텍스트 검색에서 나아가 비주얼·음성 검색으로 진화

 


출처 보도자료 취합

 

 

검색 패러다임의 변화는 키워드 중심에서 대화형으로의 변화 뿐만 아니라, 비주얼과 음성 검색으로도 진화하고 있어요. 구글은 이미지 검색 기능인멀티모달 검색기능과 음성 검색 기능인서치 라이브(Search Live)’를 공개했어요. ‘멀티모달 검색은 구글 렌즈 기술과 결합하고, 제미나이 2.0 모델을 활용해 복잡한 질문에도 정보를 종합해 도출하는쿼리 팬아웃 기법을 활용해요.

 


출처 보도자료 취합

 

 

서치 라이브(Search Live)’는 사용자가 음성으로 질문하면 실시간으로 정보를 찾아주는데, 유튜브나 이메일 등에서 특정 정보를 찾는 등 비서 역할을 수행해요. 대화 중에 앱을 나가도 백그라운드에서 대화를 지속할 수 있어요.

 

 

키워드 1-2. AI 쇼핑

 

| 나의 잠재적인 니즈를 찾아주는 퍼스널 쇼퍼 에이전트

 

AI는 쇼핑에서 유저 개인별 잠재적인 니즈를 찾아줘 최적의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유도해요.

 



출처 보도자료 취합

 

네이버플러스 스토어는 개별 앱으로 출시되어 하이퍼클로버X 기반으로 데이터를 분석해요. 이를 통해 유저 선호도 및 과거 구매 이력에 따라 맥락과 구매 의도를 파악하고 맞춤형 상품을 제안해요. 카카오는 메신저 서비스의 카카오 선물하기 서비스에 특화하여 ‘AI 쇼핑 메이트를 출시했어요. 유저 개개인의 카톡 친구와 관련된 질문을 하면 이에 맞는 제품을 추천해줘요.

 

 

출처 보도자료 취합

 

오픈AI는 지난 4월 챗GPT에 쇼핑 기능을 도입했어요. 과거 챗GPT와 대화했던 내용을 기반으로 맞춤형 제품을 추천하며, 대화형 인터페이스에서 검색부터 제품 비교 및 구매까지 진행해요.

 

 

| 피팅부터 결제까지구글 AI모드에 쇼핑 통합

 

대화를 기반으로 조건에 맞춘 상품 추천에서 나아가, 가상 피팅 기술도 진화하며 온라인에서 경험하기 힘들었던 영역까지 확장하고 있어요.

 


출처 보도자료 취합

 

 

구글에서는 2023년에가상 입어보기(Try-on models)’ 기능으로 AI 버추얼 모델에 다양한 사이즈와 피부 톤을 반영한 피팅 서비스를 선보였으며, 2025 5월에는 유저가 자신의 사진을 업로드 하면 실제로 유저가 옷을 입어본 듯한 가상 이미지를 생성해주는가상 피팅(Virtual Try-On)’ 서비스가 출시됐어요.

 


출처 보도자료 취합

 

 

더 나아가에이전트 결제(agentic checkout)’ 기능을 통해 예산에 맞는 가격을 설정하면 희망 구매 금액 내 자동으로 결제해주는 시스템 구현해요.

 

 

키워드 1-3. AI 광고 자동화

 

| 광고 소재와 콘텐츠 제작에서 나아가 운영까지 자동화

 

매체에서는 더 높은 광고 효율을 위해 AI 마케팅 솔루션을 도입했어요. 이를 통해 기업 및 브랜드들은 간단한 세팅만으로도 원스톱으로 캠페인을 운영할 수 있게 됐어요.

 

 

출처 보도자료 취합

 

메타의 경우 2023어드밴티지+’를 도입하며, AI로 타깃 설정부터 노출, 크리에이티브 등 광고 운영을 자동화하는 솔루션을 선보였어요. 지난 2월에는 어드밴티지+ 내 새로운 기능을 추가로 선보이며 캠페인 목적에 따라 세팅을 변경하거나 최적화 정도를 점수로 분석하고 잠재 고객 확보를 위한 캠페인 운영이 가능해졌어요.

 

 


출처 네이버

 

네이버는 커머스 특화로 쇼핑 광고주가 활용할 수 있는 AI 전 과정 자동화 솔루션 ‘ADVoost 쇼핑을 출시했어요. 네이버 쇼핑에 등록한 광고주의 전체 상품을 자동으로 연동하고, 소재 제작·노출 지면 선정 등 운영을 자동화해요.


 

| AI 광고 운영 효율화 솔루션 사례

 


출처 보도자료 취합

 

AI를 통해 캠페인의 전 과정을 자동화하는 솔루션 외에도 매체의 개별 세팅을 더욱 고도화하는 기능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되거나 출시되고 있는 상황이에요. 유튜브의 경우 더 많은 광고 노출을 확보하도록 시청자 참여도가 가장 높은 순간 이후에 광고 노출을 하는 고효율 광고 배치 구간을 AI로 분석해요.

 


출처 보도자료 취합

 

또한, 구글은 검색 광고에서도 효율을 높이도록 돕는 ‘AI Max 검색 캠페인을 출시했어요. AI가 키워드와 크리에이티브 자산을 학습해 관련성이 더 높은 광고를 노출할 수 있도록 하며 소재도 자동 생성하는 기능을 지원해요.


 


 


📢 키워드 2. 콘텐츠 영향력 증대

 

| 재미·정보성·브랜드 임팩트 다 해결해주는 인플루언서 콘텐츠

 


출처 아스파이어

 

 

인플루언서 콘텐츠는 재미, 정보, 브랜드 임팩트를 동시에 전달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마케팅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어요. 아스파이어 조사에 따르면, 응답 기업의 71%가 인플루언서 마케팅을 집행할 예정이라고 밝혔어요.

 


출처 아스파이어, 유튜브 <선민>채널

 

 

인플루언서와 협업한 콘텐츠는 자사 SNS(79%), SNS 광고(62%), 웹사이트/제품 상세페이지(48%) 등 다양한 채널에서 2차 활용도가 높아 선호되는 것으로 보여요. 실제로 유튜브 리뷰 콘텐츠가 브랜드 상세페이지에 삽입되거나, 인플루언서 협업 콘텐츠가 커머스와 온드미디어 영역에서 활용되며 전환을 유도하는 등 실질적인 성과로 이어지고 있어요. 이러한 흐름은 콘텐츠 영향력이 점차 커지는 시장에서 인플루언서의 역할이 더욱 커지고 있음을 보여줘요.

 

 

키워드 2-1. 숏폼 활용성 증가


| 콘텐츠를 숏폼으로! 이젠 선택 아닌 필수

 

콘텐츠를 소비자 경험에 자연스럽게 녹여내는숏폼화가 다양한 분야에서 필수 전략으로 자리 잡고 있어요.

 


출처 보도자료 취합

 

 

지도/내비게이션 앱 중 카카오T는 장소 리뷰뿐 아니라 여행 꿀팁 등 실생활에서 유용한 정보를 짧은 영상 콘텐츠로 제공하며 사용자 체류시간과 탐색 효율을 높이는 방식으로 활용 중이에요.

 

 


출처 보도자료 취합

 

 

웹툰과 커머스 분야에서는 이미지 기반 콘텐츠를 숏폼으로 전환하는 서비스에 주력 중이에요. 카카오웹툰은 AI로 웹툰 이미지를 인식·분리한 뒤 배경음악과 효과를 더해 영상으로 자동 변환하는헬릭스 숏츠를 출시했어요. 커머스 영역에서 네이버 스토어플러스는 주로 이미지 카탈로그 형식의 쇼핑 페이지에 숏폼 콘텐츠를 큐레이션 형태로 추가해 제품 이해도를 높이고 구매 전환을 유도해요. 이미지 기반 콘텐츠의 영상화 및 숏폼화가 점차 일반화되고 있어요.


 

| 전문가 콘텐츠만 콘텐츠인가요? UGC 강화하는 플랫폼사들

 

전문가 중심의 콘텐츠 생산 구조에서 벗어나 일반 사용자도 쉽게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플랫폼들이 UGC(사용자 생성 콘텐츠)를 강화하고 있어요.

 



출처 보도자료 취합

 

 

네이버는 숏폼 애니메이션 기반 창작 플랫폼컷츠를 통해 기존 웹툰 작가뿐 아니라 일반 사용자도 웹툰 기반 숏폼을 업로드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개편했어요. 특히 애니메이션 형태의 웹툰 콘텐츠 제작 기능을 강화할 예정이며, ‘컷츠 2025 6월 초 BI를 공개하고 본격적인 시장 진입을 예고했어요.

 


출처 카카오맵, 네이버 지도 플랫폼 캡쳐 화면

 

지도 앱에서도 사용자가 직접 추천 장소나 방문 후기를 콘텐츠로 제작할 수 있는 기능을 확대 중이에요. 카카오맵은 리뷰 작성시 영상 형태로 업로드 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했어요. 네이버지도는 이전부터 리뷰 섹션 내 사진·영상 전용 영역을 최상단에 배치해 숏폼 형태의 리뷰가 잘 노출되도록 구성했어요.

 

 

| 광고를 작품으로 승화한오리지널 콘텐츠 광고

 


출처 오리지널 콘텐츠 광고 정의는 인크로스가 작성. 이외 각 보도자료 참고

 

전통적인 광고 영상에서 벗어나 콘텐츠로 승화한 형식의오리지널 콘텐츠 광고형식이 늘어나고 있어요. 애니메이션, 다큐멘터리, 영화, 뮤지컬 등 다양한 장르로 브랜드 메시지를 녹여낸 새로운 광고 접근 방식으로, 브랜드 노출을 작품처럼 풀어내는 것이 특징이에요.

 

2024 6월 현대자동차가 공개한 숏 필름 형식의 <밤낚시>는 이번칸 라이언즈 2025’에서 그랑프리를 포함해 총 5관왕을 달성했어요. 롯데웰푸드의 <식사이론>은 지난 해 애니메이션 광고 공개 이후 자사 라인업 홍보에 활용하며 세계관을 지속적으로 확장 중이에요.

 

2025 3, 제네시스가 다큐멘터리 형식으로 GV60의 신규 컬러트롬소 그린을 오로라 다큐로 녹여 감성적 몰입을 극대화하면서도 제품의 장점을 보여줬어요. 앞으로는 제품의 USP를 노골적으로 드러낸 광고 형식 보다는 작품으로 승화한 오리지널 콘텐츠 광고가 증가할 것으로 보여요.

 

키워드 2-2. 인플루언서 마케팅

 

| 2025년 상반기에 눈에 띈 인플루언서 마케팅의 3가지 변화

 

2025년 상반기, 인플루언서 마케팅은 크게매체화’, 세분화’, ‘고도화흐름으로 진화하는 현상을 보여요.

 

인플루언서 마케팅의매체화는 인플루언서의 콘텐츠를 광고 상품으로 구성해 자동화된 거래가 가능해진 형태로, 유튜브 피크포인트 광고 등 채널 기반 타기팅이 가능해진 점이 특징이에요. ‘세분화는 메가·마이크로에서 나아가 리뷰어, 일반 유저 등을 일컫는 시티즌 인플루언서로까지 확장되며, 실사용 기반 리뷰 콘텐츠로 전환된 것을 의미해요. 마지막으로, 인플루언서 마케팅의고도화 AI 기반 플랫폼을 통해 인플루언서 탐색부터 성과 측정까지 정교하게 수행하는 방식으로, 실질 성과 중심의 캠페인 운영을 가능하게 해요.

 

| 1) 인플루언서 매체화: 하나의 광고 상품이 된 인플루언서 채널

 

기존에는 브랜드가 인플루언서를 직접 탐색하고 협업해 콘텐츠를 제작하는 방식이었다면, 최근에는 인플루언서 콘텐츠를 활용한 광고 상품이 늘고 있어요.

 


출처 보도자료 취합

 

셀렉트 라인업은 유튜브 내 특정 카테고리(뷰티, 패션, 케이팝 등)의 채널을 선별해 광고를 노출할 수 있는 방식으로, 트렌드 중심의 캠페인 구성과 채널별 타기팅이 가능해요. ‘피크포인트는 시청자의 몰입도가 가장 높은 순간을 AI로 분석해 해당 시점에 광고를 배치하는 방식으로, 감정적 연결이 강한 타이밍에 브랜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어요. 이는 인플루언서 콘텐츠가 지닌 몰입도와 신뢰도를 유지하면서도, 광고 상품화로 자동화·정형화된 집행이 가능해져 효율성과 확장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게 됐어요.

 

| 2) 인플루언서 세분화: 메가·마이크로 인플루언서에서 시티즌 인플루언서로

 


출처 컬리, 다이소 플랫폼 화면 캡쳐, 네이버 홈페이지

 

인플루언서 마케팅이 메가·마이크로 중심에서 일반 사용자까지 확장되며 세분화되고 있어요. 관심 분야에 꾸준히 리뷰를 작성하는 시민 리뷰어들이 영향력을 확보하고, 이들의 콘텐츠가 플랫폼 내에서 큐레이션되며 광고 효과를 유도하는 방식으로 진화 중이에요.

 

컬리와 다이소는 사용자 리뷰를 에디터픽 콘텐츠나 숏폼 리뷰 등으로 가공해 콘텐츠처럼 노출하고 있으며, 네이버는 리뷰 콘텐츠에 상품 전용 링크를 삽입해 구매로 연결되면 수익을 정산해주는쇼핑 커넥트서비스를 출시했어요. 이는 브랜드가 실질적 영향력을 지닌 일반 사용자와 협업해 마케팅 효과를 극대화하려는 것으로 보여요.

 



| 3) 인플루언서 마케팅 고도화: 요즘 핫한 AI, 인플루언서 마케팅에도 적용

 



인플루언서 마케팅에도 AI 기술이 적극 도입되며 고도화되고 있어요. 인플루언서 마케팅이 확산되면서, 적합한 인플루언서 매칭과 단가 산정, 성과 측정에 어려움이 뒤따랐어요. 수많은 채널 중 브랜드에 맞는 인플루언서를 찾기 어렵고, 콘텐츠 중심의 협업이 대부분이라 단가 기준도 불명확하며, 성과 측정 역시 노출 중심에 머물러 실효성 판단이 어려웠어요.

 

 



이러한 인플루언서 마케팅의 한계를 개선하기 위해 등장한스텔라이즈 AI 추천을 기반으로 브랜드와 인플루언서를 자동 매칭하고, 캠페인 결과를 자동 분석·리포팅하는 서비스를 제공해요. 이러한 솔루션의 이용이 활발해질 경우, 플랫폼을 통한 거래 구조로 표준화가 가능해 실무 효율성과 투명성 모두를 강화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어요.

 

 

키워드 2-3. 스포츠

 

| 스포츠가 플랫폼 먹여 살린다! 스포츠 콘텐츠의 힘

 

스포츠 콘텐츠가 OTT 플랫폼의 프리미엄 전략 중 핵심 자산으로 부상했어요. 불황 속에서 OTT 플랫폼사들이 광고 요금제를 도입한 가운데, 스포츠 콘텐츠는 유료로 제공해 플랫폼 생존을 위한 핵심 콘텐츠로 자리잡고 있어요.

 


출처 보도자료 취합

 

 

쿠팡플레이는 스포츠 특화 유료 요금제스포츠 패스를 도입해 EPL, NBA, F1 등 주요 리그를 월 9,900원에 제공하며 유료 전환을 유도해요. 와우 회원 전용, 4K 화질, 티켓 선예매 등 프리미엄 요소를 결합해 차별화된 가치 제공에 집중해요.

 


출처 보도자료 취합, 인크로스 6매체력 평가 리포트

 

네이버는 치치직에 프라임 콘텐츠를 도입하며 스포츠 유료화를 본격화했고, 티빙은 KBO 스포츠 독점 중계로 6 9일주차 기준 5주 전 대비 MAU 48% 급등하며 스포츠 콘텐츠의 강력한 트래픽 견인력을 입증했어요. 이와 같이 OTT사들은 스포츠의 파워를 실감하며 스포츠 콘텐츠 퀄리티 강화에 노력 중이에요.

 


 


📢 키워드 3. 불황 마케팅_가치 환원 전략

 

| 불황기 매출 유지 방법: 소비자 지갑 NO, 기업 지갑 YES

 

가치 환원 전략이란 비용을 소비자 행동에 따른가치로 전환하고, 광고비를 소비자 혜택으로 전환하는 방식을 뜻해요. 최근 소비자는 실질적인 금전적 혜택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광고비를 소비자에게 직접 환원하는 방식의 마케팅이 주목받고 있어요.

 


출처 버즈빌 리워드 광고 트렌드 리포트(2025)

 

 

2024년 리워드 광고 시장은 참여 유지 수가 전년 대비 2배 이상, 연평균 지급액은 229% 증가하는 등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어요. 광고 참여자 수도 전년 대비 12% 증가하며 리워드형 구조에 대한 수요가 뚜렷해지고 있어요.

 

 


OTT 플랫폼 또한 기존의 요금제 기반 수익 모델에서 벗어나 광고 요금제를 통해 기업이 비용을 부담하고 소비자는 저렴하게 이용하는 구조로 전환 중이에요.

 

 

키워드 3-1. 리워드


| 리워드 수령 과정이 앱 내 체류로 이어지도록 하는 리워드 서비스

 

단순한 행동만으로 포인트를 지급하는 리워드 광고 상품이 앱 체류 시간을 늘리는 방식으로 고도화되고 있어요. 일정 시간 이상의 콘텐츠 스크롤과 같은 간단한 행동에 즉시 보상을 지급하여 소비자의 반복 이용을 유도해요.

 


출처 보도자료 취합

 

 

2025년 출시된 주요 사례로는 네이버의페이펫 키우기 시즌2’, ‘내릴수록 플러스이벤트 등이 있어요. 스크롤 유도, 콘텐츠 시청 등 특정 미션 수행 기반 참여를 통해 포인트를 지급하는 구조로, 리워드 수령 과정 자체가 앱 내 경험 축적과 체류로 이어지도록 설계했어요.

 

| 결과 데이터 쌓아주고 리워드 받는 서베이형 리워드


 


출처 각 사, 보도자료 취합

 

리워드 마케팅이 확산되며, 최근에는서베이형 리워드사례가 많아지고 있어요. 설문 응답이라는 단순 행동만으로 포인트를 즉시 지급받을 수 있어 소비자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해요. 소비자는 쉽게 금전적 보상을 얻고, 기업은 원하는 의견과 데이터를 확보해 마케팅 등에 활용해요. 서베이 플랫폼은 양측을 연결해주는 중개자로서의 역할을 확대하고 있어요. 아이앤서베이의돈 버는 설문서비스, 카카오뱅크의버는 서베이상품은 소비자에게 응답 즉시 리워드를 지급할 뿐 아니라, 응답 결과를 기반으로 한 콘텐츠·리포트 등 2활용까지 이어지는 구조를 보여요.

 

 

 

키워드 3-2. OTT 광고 요금제

 

| 광고 요금제 확대로 수익 다변화 시도하는 OTT 시장

 

광고형 요금제에 대한 꾸준한 수요에 따라 OTT 시장에서는 광고 요금제 모델을 중심으로 수익 다변화를 진행 중이에요.

 


출처 보도자료 취합

 

넷플릭스 광고 요금제의 글로벌 월간 활성 이용자수는 2년 만에 약 500만 명에서 9,400만 명까지 확대됐으며, 2025 1분기 기준 전체 신규 가입자의 절반 이상이 광고형 요금제를 선택했어요. 이에 따라 광고 생태계 확장을 위한 파트너십 강화를 진행 중이에요. 기존 단독 파트너십에서 벗어나 현재는 인크로스 등 타 미디어렙과의 협업을 확대하며, 애드테크 고도화를 통한 고효율 광고 집행 기반을 마련하고 있어요.

 


출처 보도자료 취합

 

국내에서는 쿠팡플레이가 광고형 요금제를 도입하며 기존와우 멤버십외 일반 회원까지 서비스 대상을 확대했어요. 이를 통해 가입자 확장과 수익 극대화를 동시에 추구하는 전략을 펼치고 있어요.


 

| 광고 요금제를 포함한 번들링 전략 사례 증가



출처 한국콘텐츠진흥원, 보도자료 취합

 

 

OTT 플랫폼들은 경쟁력 강화 및 고객 충성도 제고를 위해 광고 요금제를 포함한 번들링 전략을 적극적으로 활용 중이에요. 자사 광고 요금제와 OTT 서비스 간(비디오 온리) 또는 전혀 다른 업종 간(크로스 플랫폼) 결합을 통해 이용자에게 추가적인 가치를 제공해요. 대표 사례로는 넷플릭스가 네이버와의 제휴 이후 국내 월간 활성 이용자 수 증가세를 보인 바 있어요.

 


출처 보도자료 취합

 

올해 출시된 배민클럽과 티빙의 결합 상품은 크로스 플랫폼 번들링으로, 배달 구독 요금에 소액을 추가해 티빙 광고형 콘텐츠를 함께 이용할 수 있게 해요. 티빙과 웨이브의 더블 구독권은 비디오 온리 번들링으로, 하나의 요금제로 양 사 콘텐츠를 통합 제공해요. 특히 티빙 광고 요금제가 포함된 옵션은 할인 이벤트를 통해 가입자 유치를 강화해요.

 


 


| 하반기 광고 시장 전망

 

📌 #AI 에이전트의 부상
  • 검색의 패러다임이 변화하며 브랜드는 AI를 통한 응답 최적화 방식이 중요해질 것으로 보여요.
  • 쇼핑에서는 AI가 검색부터 결제까지 수행하며, 광고 클릭보다 즉시 구매 유도에 초점을 맞추게 될 거예요.
  • 광고는 AI를 통해 전략 전체가 자동화 되는 방향으로 전하며, 중소기업·1인 브랜드는 마케터 없이 광고 운영이 가능해질 거예요.

 

📌#콘텐츠 영향력 증대

  • 폼은 플랫폼 전반의 기능과 융합되어 검색-탐색-구매를 유도하는 콘텐츠형 광고의 표준 포맷으로 자리잡을 거예요. 
  • 인플루언서 마케팅은 성과 기반의 파트너십 모델과 AI 기반 정량 성과 분석 시스템이 결합된 고성능 마케팅 채널로 진화할 것이 예상돼요.
  • 정량 성과 분석 시스템이 결합된 고성능 마케팅 채널로 진화할 것이 예상돼요.
  • 스포츠 콘텐츠는 플랫폼 내 단독권 확보 경쟁이 심화되며, 인터랙티브 기술(AR 중계, 실시간 투표 등)과의 접목으로 콘텐츠 경험을 확장할 것으로 보여요.

 

 

📌#불황 마케팅_가치 환원 전략

  • 소비자의 체감 가치를 높이는 리워드 제공 전략은 지속될 거예요. 이를 통해 축적된 행동 데이터는 AI 기반 분석 및 최적화를 거쳐 리워드 시스템의 고도화와 경쟁 우위를 확보하는 수단으로 이어질 거예요.
  • OTT 플랫폼사들이 불황기에 도입한 광고 요금제의 정착기를 거치며, OTT 광고 상품 및 운영 방식이 안정화될 것으로 보여요.
  • 한편 스포츠 콘텐츠는 높은 수요를 바탕으로 별도 유료 상품화가 진행되고 있어 가치 환원 전략과는 별개로 프리미엄 전략이 더욱 강화될 것으로 예상돼요.

 

 

본 아티클은 인크로스 2025년 상반기 마케팅
트렌드 & 이슈 결산 리포트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로 확인해주세요! 😀

https://www.incross.com/ko/insight/report.asp?mode=view&idx=10457

  • #상반기 마케팅 결산
  • #마케팅트렌드
  • #AI에이전트
  • #콘텐츠영향력
  • #가치환원전략

추천 콘텐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