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마케팅

검색 시장의 변화 - 유튜브는 더 이상 영상 플랫폼만이 아니다.

프로필 TBWA 데이터랩
2025.07.23 14:00
37
0
0

유튜브는 더 이상 영상 플랫폼에 머물지 않고, 사용자들이 정보를 검색하고 학습하는 주요 채널로 자리잡았습니다
특히 MZ세대를 중심으로 텍스트보다 영상으로 정보를 습득하는 경향이 강해지면서, 유튜브 검색 기능의 중요성은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이제 사용자들은 제품 사용법부터 리뷰, 비교 콘텐츠까지 유튜브에서 검색하는 것이 일상화가 되고 있습니다.
그만큼 기업과 브랜드도 유튜브 SEO와 검색 전략을 함께 고려해야 하는 시점입니다.
영상 콘텐츠는 홍보 수단을 넘어, 검색 유입을 이끄는 중요한 채널로 기능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AI시대 유튜브 생태계: 콘텐츠 생성부터 AI 검색 노출까지’ 시리즈의 첫번째 글에서는 유튜브의 검색 플랫폼화가 시장에 어떤 변화를 가져오는지 살펴보고, 검색 채널로서 유튜브가 왜 중요한지 알아보겠습니다.

 

유튜브, 국내외 검색 트래픽 상위권 채널

출처: Forbes Advisor

위 그래프는 세대별로 소셜 미디어를 Google보다 검색 수단으로 더 선호하는 비율을 나타낸 그래프입니다.
Z세대(1997-2006)는 약 47%, 밀레니얼 세대(1981-1996)는 약 35%가 소셜 미디어를 더 많이 활용하며,
세대가 높아질수록 이 비율은 낮아져 X세대는 약 20%, 베이비붐 세대는 약 10%, Silent세대는 5% 이하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특히 젊은 세대일수록 TikTok, 유튜브, 인스타그램 등 소셜 플랫폼을 정보 검색의 주 수단으로 활용한다는 점을 시사합니다.

그렇다면, 젊은 세대가 소셜 미디어 중 가장 많이 이용하는 플랫폼은 무엇일까요?
소셜 미디어 중 가장 많이 이용하는 플랫폼을 파악하기 위해서 Z세대의 디지털 플랫폼 사용 비율을 알아봤습니다.

출처: EMARKETER

미국 Z세대(1997~2012년 출생 인터넷 사용자) 중 89.3%가 YouTube를 월 1회 이상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Z세대가 가장 활발히 사용하는 디지털 플랫폼이 YouTube임을 보여줍니다. 그 뒤를 이어 Instagram(72.5%), TikTok(71.2%), Snapchat(70.3%), Netflix(67.9%)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이 다섯 플랫폼 모두 Z세대의 2명 중 1명 이상이 꾸준히 사용하는 채널로 분석됩니다.

전통적인 SNS인 Facebook의 경우 49.0%로 절반 수준에 그쳤고, Disney+는 44.7%, Pinterest는 34.0%로 확인되었습니다.

이외에도 X(구 트위터)는 26.4%, Reddit 26.1%, WhatsApp은 24.7%로 상대적으로 낮은 이용률을 보였으며, 콘텐츠 소비보다는 커뮤니케이션이나 커뮤니티 중심의 니치 채널로 사용되는 양상이 강했습니다. 결국, Z세대는 구글 다음에 유튜브를 이용해서 검색 활동을 하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미국만 그럴까요?



출처: 오픈서베이

최근 조사에 따르면, 국내에서도 유튜브는 검색할 때 많이 사용하는 플랫폼 중 2위라고 합니다. 구글이 3위입니다. 검색 수단으로서의 유튜브는 국내외 할 것 없이 검색 플랫폼으로써 영향력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주목할 만한 점은, 인스타그램(38.6%)이나 카카오톡 내 검색 기능(33.9%)처럼
전통적인 검색엔진이 아닌 소셜 및 커뮤니티 기반 플랫폼들도 검색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이러한 변화는 시각 중심의 정보 탐색 수요가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검색 포털에서도 유튜브 영상이 상위 노출된다.


두 이미지는 구글 검색 결과에서 유튜브 영상이 어떻게 상단에 노출되고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왼쪽은 ‘20대 건성 기초 화장품 추천’, 오른쪽은 ‘여자 신발 추천’을 검색한 사례이며,
두 검색어 모두 텍스트 기반 웹페이지보다 유튜브 영상이 먼저 노출되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검색 결과 상단의 ‘동영상’ 섹션에는 썸네일과 함께 유튜브 영상이 3~4개씩 정리돼 있으며,
이는 유튜브 콘텐츠가 구글 내에서도 주요 정보 제공 수단으로 간주되고 있다는 점을 보여줍니다.

 
유튜브, 이제는 선택이 아닌 필수 채널
젊은 세대일수록 유튜브를 검색 수단으로 활용하는 비중이 높아지면서, 정보 탐색의 핵심 채널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또한 구글 검색 결과에서도 유튜브 영상이 상단에 노출되며, 웹사이트뿐 아니라 영상 콘텐츠 역시 중요한 유입 경로가 되고 있습니다.
이렇게 유튜브 영상이 검색 결과 상단에 노출되는 흐름 속에서, 기업은 유튜브 채널을 소유하고 콘텐츠 기획부터 제작가지 이뤄져야합니다. 하지만 영상을 만드는 것은 리소스가 많이 투입되는 과정이기에 제작 인력이 부족한 기업은 영상 제작이 큰 벽으로 느껴집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자막 자동 생성 AI 부터 최근에는 자막 자동 생성 AI부터 텍스트 기반 영상 편집, 아바타 영상 생성, 썸네일 디자인까지, 콘텐츠 기획부터 업로드 전 과정에 AI를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고 유튜브 SEO를 위한 AI툴도 인기를 얻어 콘텐츠 제작자의 부담을 줄이고 있습니다.

특히, 누구나 짧은 시간 안에 일정 수준의 콘텐츠를 완성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툴들이 등장하면서 소규모 브랜드나 비전문가도 쉽게 유튜브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 시리즈의 다음 글은 유튜브 콘텐츠의 기획부터 제작, SEO까지 다룰 수 있는 AI 툴에 대해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검색시장 #유튜브 #유튜브전략 #SEO
이 콘텐츠가 도움이 되셨나요?
이 글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서로의 생각을 공유할수록 인사이트가 커집니다.

추천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