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랜딩

관세청 유튜브에 강아지 브이로그가?

  • 한눈에 보는 핵심요약
  • 정부 부처 유튜브가 바뀌고 있습니다. 콘텐츠적 재미 위에 마케팅 메시지를 쓱 얹는 공력까지 관세청 유튜브 채널의 <킁킁로그> 사례를 설명해 드립니다.

 재미 위에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자연스럽게 얹어야 하는 이유

 

 정부 부처 유튜브 담당자 분들을 교육할 기회들이 있었습니다. 몇 년 전 담당자들의 가장 큰 고민은 재미와 조직 분위기의 조화였습니다. 좀 더 재밌게 하고 싶지만, 딱딱한 조직 분위기상 어렵다는 이야기들이 많았습니다.

 

당시 제가 느낀 바로는 대부분 담당자분들이 생각하는 재미의 포인트가 <충주시> 유튜브처럼 B급 감성이 대부분이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하지만 재미를 너무 B급 감성에만 집중할 필요는 없습니다. 정부 기관이 전하고 싶은 메시지에 맞는 무리하지 않는 재미도 얼마든지 있기 마련입니다.

 

관세청의 유튜브 <킁킁로그>가 사랑받고 있습니다. 누구나 사랑할 수밖에 없는 강아지들이 출연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단순한 강아지 브이로그라면 관세청 유튜브에 올라올 이유가 없겠죠. 마약 탐지견들의 성장기를 브이로그에 담아냈습니다.

 

역시나 편집 방식은 최근 유행하는 포맷을 채택했습니다. <하나투어> 쿼카 영상에서도 사랑받았던 한국어 같은 영어 나레이션을 중심으로 센스있는 편집을 반영했습니다. 결국 강이지 브이로그 + 최근 사랑받는 편집 포맷등 재미적인 측면의 합격점을 줄 수 있습니다. 여기에 관세청의 마약 탐지 활동, 이를 위한 마약 참지견의 치열한 노력은 자연스럽게 드러납니다.

 

초기의 정부 기관 유튜브는 재미보다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에 집중했습니다. 콘텐츠라기 보다는 정책 홍보 영상에 가까운 적도 많았습니다. 정책적 메시지를 최대한 직접적으로 전달하려 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그런다고 사람들이 안보면 의미가 없습니다. 그저 정책 담당자의 욕심일 뿐이었습니다. 그 이후 점차 콘텐츠적 재미에 집중했습니다. 연예인과 유튜버를 출연시키며 재미에 몰두했지만, 뚜렷한 성과를 남긴 영상은 많지 않습니다. <킁킁로그>는 유튜브 주요 이용자들에게 사랑받을 수 있는 콘텐츠적 재미의 방향을 제대로 적용한 사례입니다.

 

유튜브 담당자에게 자율권을 최대한 보장해야 하는 것은 이제 상식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상사의 다양한 제약은 콘텐츠적 재미를 망가뜨리기 십상입니다. ‘충주맨김선태 주무관도 콘텐츠 기획의 자율권을 보장해주지 못할 것 같아 대기업의 제안도 거절했다고 밝힌 이유가 있습니다.

 

유튜브 주 이용자들이 좋아하는 출연자, 포맷 + 직접적이지 않은 메시지 전달

 

이것이 정부 부처 유튜브 콘텐츠가 나아가야할 방향입니다. 아직 이 기준에 부합하지 못하는 채널들이 여전히 많습니다. 이 부분을 혁신해 나가면서 국민들과 즐겁게 소통하는 정부 부처 유튜브 채널들이 많이 생기길 기원합니다.

 

 

<출처: 관세청 유튜브>  

 

#유튜브 #관세청 #강아지 #브이로그 #마케팅
이 글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서로의 생각을 공유할수록 인사이트가 커집니다.

    추천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