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랜딩

⚽바르셀로나는 왜 여행 위험 국가 콩고와 스폰서쉽을 맺었을까?

2025.08.11 12:45
109
0
0
  • 한눈에 보는 핵심요약
  • 재정난 바르셀로나 x 이미지 브랜딩을 원하는 콩고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진 스폰서십 이야기

🤔음? FC바르셀로나가 콩고랑 스폰서십을 맺었다고? 

 

 

 

이 뉴스를 처음 보고 솔직히 놀랐어. 세계적인 축구팀 바르셀로나가 전쟁과 가난으로 힘든 나라, 아프리카 콩고민주공화국과 무려 700억 원 규모의 스폰서 계약을 맺었거든. 이제 바르셀로나 훈련복에는 ‘콩고’ 이름이 붙게 된 거야. 그런데 콩고는 지금도 반군과 정부군이 싸우고, 수많은 사람들이 집을 잃고 떠도는 나라야. 심지어 대한민국에서도 일부 지역을 여행 위험 국가로 지정하고 있어. 

 

2025년 7월 30일, 바르셀로나와 콩고민주공화국 정부는 4년간 약 4,400만 유로(연간 약 1,100만 유로, 한화 약 700억 원) 규모의 스폰서 계약을 공식 발표했어. 클럽은 이번 계약이 단순한 광고 후원이 아니라, 축구 외교와 문화 교류를 포함한 종합적 상호 협력 프로그램이라고 설명했어. 

 

이에 따라 바르셀로나의 모든 프로팀은 앞으로 4시즌 동안 훈련복 뒷면에 ‘R.D. Congo(아프리카의 심장)라는 문구를 달고, 경기장에는 콩고의 문화와 스포츠를 소개하는 몰입형 전시 공간도 마련할 예정이라고 해. 자 그럼 이제 바르셀로나와 콩고의 입장을 들어보자.  

 

⚽ 바르셀로나: 우리는 돈이 필요했어 

 

사실 바르셀로나는 지금 유럽 축구에서 가장 심각한 재정 위기 구단 중 하나야. 부채가 13억 유로(한화 약 1조 8천억 원) 달하고, 쿠티뉴·뎀벨레·그리즈만 등 굵직한 선수들 영입에만 4억 유로를 쓰고도 대부분 실패했고, 코로나 팬데믹까지 겹쳐 재정은 거의 무너질 지경이었어. 자유로운 선수 영입은커녕 팀 운영 자체도 어려운 상황이었지. 이런 절박한 현실에서 콩고와의 계약은 말 그대로 ‘가뭄의 단비’였을 거야. 

 

 

 

출처- 바르셀로나 공식 홈페이지 

 

🌍 콩고: 우리는 이미지 브랜딩이 필요해 

 

콩고는 여전히 내전으로 피폐한 국가야. 르완다의 지원을 받는 반군과 정부군 충돌이 계속되고 있고, 수십만 명의 어린이가 난민이 되었어. 그리고 100개 넘는 무장단체가 광물 자원을 둘러싸고 경쟁 중이지. 그런데 콩고 정부는 이런 혼돈의 현실을 이번 이미지 전략으로 돌파하려 해. 스포츠 외교를 통해 ‘아프리카의 심장’이라는 긍정적 브랜드를 구축해서 관광과 투자를 끌어오려는 시도지. 

 

🏆 아프리카의 ‘스포츠 이미지 전쟁’ 

 

콩고가 바르셀로나 스폰서를 잡은 건 이웃 르완다를 따라 한 거야. 르완다는 아스널, PSG, 바이에른 뮌헨에 ‘VisitRwanda’ 로고를 달아 나라 이미지를 세탁했거든. 이런 걸 스포츠워싱이라고 해. 축구 유니폼에 로고 하나 붙이면, 분쟁이나 인권 문제보다 “관광지” 이미지가 먼저 떠오르니까. 

 

문제는 콩고와 르완다가 원래 사이가 안 좋다는 거야. 콩고는 르완다가 콩고 반군을 돕는다고 의심하거든. 그래서 르완다가 전 세계 축구팬들 앞에서 홍보하는 게 눈엣가시였던 거지. 결국 콩고도 “우리도 한판 붙자” 하면서 바르셀로나 스폰서십으로 맞불을 놓은 거야. 

 

⛏ 사실 자원 부국인 콩고 

 

콩고는 사실 자원 부국이야. 전 세계 코발트의 약 75%, 구리의 10%, 다이아몬드의 30%를 갖고 있어. 덕분에 전기차 배터리부터 스마트폰까지, 첨단 산업에 꼭 필요한 자원들이 콩고 땅에서 나오지. 특히 리튬이 많은 마노노 광산은 글로벌 기업들의 눈길을 끌고 있는데, 아이러니하게도 이런 풍부한 자원이 오히려 내전과 외국의 개입을 부르는 불씨가 되고 있어. 돈 되는 땅을 차지하려는 싸움 때문에 평화는 더 멀어지는 거지. 

 

🥶 바르셀로나 팬들은 싸늘해 

 

바르셀로나는 100년 넘게 유니폼 메인 스폰서 없이 명예를 지켜온 클럽이야. 한때 유니세프 로고를 달고 뛰던 모습은 팬들에게 자부심 그 자체였지. 그런데 이번엔 내전으로 고통받는 콩고와 거액 스폰서 계약이라니, 팬들 반응은 냉랭해. “재정난이 심하다고 해도 모든 가치를 팔 순 없다”는 목소리부터 “이건 윤리적 기준을 버린 거래”라는 비판까지 쏟아지고 있어. 심지어 콩고 내부에서도 “국내 축구도 못 챙기면서 왜 해외에 돈을 쓰냐”는 불만이 터져 나오는 상황이야. 

 

⚖️ 현대 축구의 모순 

 

이번 바르사와 콩고의 계약은 축구의 복잡한 현실을 그대로 보여줘. 한편으론 돈이 급한 바르사가 명성을 지키기보다 돈을 택한 전형적인 ‘스포츠워싱’처럼 보이지만, 다른 한편으론 힘든 상황 속에서도 국제 교류와 이미지 변화를 노린 현실적인 선택 같기도 해. 결국 중요한 건 바르사와 콩고가 앞으로 얼마나 진심을 보여주느냐야. 이 계약이 정말 문화 교류와 평화로 이어질지, 아니면 그냥 돈벌이로 끝날지는 앞으로 어떻게 실행하고 얼마나 투명하게 하느냐에 달려 있어. 

 

🧾 한 줄 요약 

 

"바르셀로나..그렇게까지 돈이 필요했어?" 

 

썸네일 사진 출처- 생성형 ai 

 

#브랜딩 #스포츠워싱 #축구 #바르셀로나 #마케팅
이 글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서로의 생각을 공유할수록 인사이트가 커집니다.

    추천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