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기술 트렌드

AI광고모델 시대, 브랜드는 어떻게 해야 진정성을 보여줄 수 있을까?

234
0
0
  • 한눈에 보는 핵심요약
  • 브랜드는 이제 단순히 ‘AI를 쓸 것인가 말 것인가’의 선택지가 아니라, ‘AI를 어떻게 쓰면서도 신뢰를 유지할 것인가’라는 복잡한 전략적 질문에 답해야 한다.

패션·뷰티 업계는 지난 몇 년간 AI 기술을 빠르게 흡수하며 광고와 콘텐츠 제작의 판도를 바꿔왔다. AI 생성 모델은 제작비 절감, 속도 향상, 무제한으로 다양한 이미지를 만들 수 있다라는 매력적인 가치를 제공한다. 브랜드는 이상 촬영 스튜디오나 복잡한 계약 절차 없이, 클릭 번으로 새로운 캠페인을 제작할 있게 됐다. 이러한 변화는 단순한 기술 도입이 아니라, 마케팅 운영 모델 자체의 혁신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 혁신은 동시에 브랜드의 핵심 자산 중 하나인진정성(Authenticity)’을 시험대에 올려놓았다. 소비자가 광고 속 인물과 메시지를 신뢰하지 않는다면, 아무리 세련된 이미지를 만들어도 구매로 이어지지 않는다. 특히 패션·뷰티 산업처럼 감성적 연결과 신뢰가 구매 의사 결정의 중심에 있는 분야에서는 이 문제가 더 심각하게 작용한다. 


2025년 8월, 미국판 보그(Vogue) 실린 게스(GUESS) AI광고모델 ‘비비안’ 광고는 이러한 논의를 폭발적으로 촉발시켰다.
틱톡에서실존하지 않는 사람과 비교 당해야 하냐는 댓글이 6만 건 이상의좋아요를 받으며 확산됐다. 해당 사례는 소비자가 AI광고모델에 대해 느끼는 불편함과 불신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출처:Vogue 'GUESS' 광고


브랜드는 이제 단순히 ‘AI를 쓸 것인가 말 것인가의 선택지가 아니라, ‘AI를 어떻게 쓰면서도 신뢰를 유지할 것인가라는 복잡한 전략적 질문에 답해야 한다.

 


소비자 신뢰와 진정성의 균열

게스비비안사례는 AI 광고모델 활용의 가능성과 한계를 동시에 드러냈다. 한편으로는 제작 효율성과 시각적 다양성을 제공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소비자가 광고 메시지를 받아들이는 근본적인 토대를 흔들 수 있다.

AI광고모델을 광고에 사용하면 여러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AI광고모델은 실제 사람이 아니기 때문에 제품을 직접 사용해본 경험이 없다. 그런데 광고에서는 마치 실제로 그 제품을 사용해본 것처럼 표현하게 된다.


소비자들은 이런 광고를 볼 때 그 내용이 진짜 경험인지 확인할 방법이 없다. 실제 사람이라면 그 사람의 후기나 경험담을 다른 곳에서도 찾아볼 수 있지만, AI광고모델은 가상의 존재이므로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은 광고 메시지의 신뢰성을 떨어뜨리게 된다. 특히 화장품이나 패션 광고에서 이 문제가 더욱 심각해질 수 있다. 이런 광고들은 보통 외모나 생활 방식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는데, AI광고모델이 실제로 그런 변화를 경험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알게 되면 소비자들은 속은 듯한 기분을 느끼게 된다결국 소비자들은 AI광고모델이 등장하는 광고에 대해 거리감을 느끼고, 그 광고의 내용을 신뢰하지 않게 된다.


미국 시장조사에 따르면, 소비자의 71% AI 생성 이미지나 콘텐츠의 신뢰성에 우려를 표하고, 83% AI 생성 콘텐츠에 법적 표시 의무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이 수치는 소비자가 ‘AI인지 아닌지를 중요하게 생각하며, 정보 비대칭에 민감하게 반응함을 보여준다.

AI가 사람처럼 보이고 행동할수록 소비자는 더 높은 완성도를 인정하면서도, 동시에이게 진짜일까?”라는 의심을 품는다. 이를 AI 신뢰 역설(AI trust paradox) 이라 부른다. 브랜드가 정교한 AI광고모델을 만들수록 기술적 완성도는 올라가지만, 진정성 확보를 위한 장치는 더욱 절실해진다.


H&M,
망고, 에스티로더 등 글로벌 브랜드는 이미 AI광고모델을 마케팅에 활용 중이다. 이들은 AI를 통해 비용 절감과 빠른 캠페인 론칭을 실현했지만, 일부 소비자와 업계 관계자들은 직업 대체, 창의성 침식, 인권·이미지 권리 침해 등의 문제를 제기한다. 브랜드는 이 양면성을 이해하고, 단기 효율성만이 아닌 장기적인 평판 리스크를 고려해야 한다.


AI
기술을 과도하게 포장하거나 실제 적용보다 부풀려 홍보하는 ‘AI 워싱(AI Washing)’은 규제 당국과 소비자로부터 부정적 평가를 받는다. 이는 신뢰 훼손의 지름길이며, 브랜드가 장기적으로 피해야 할 위험 요소다.


브랜드 진정성을 유지하기 전략적 조건


브랜드가 AI광고모델을 활용하면서도 진정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전략적 조건이 필요하다.

1. 실존 모델 병행 노출:
 AI광고모델만 사용하지 말고, 실제 모델도 함께 광고에 등장시킨다. 이렇게 하면 소비자들이 더 현실감을 느끼고 감정적으로도 연결될 수 있다.

2. 출처 명시:
 "이것은 AI로 만든 광도모델입니다"라고 명확히 표시한다. 숨기지 않고 솔직하게 말하면 소비자들이 속았다는 기분을 덜 느끼게 된다.

3. 메시지 진정성 강화:
 브랜드 스토리와 제품 메시지를 실제 고객들이 그 제품을 사용한 후기나 이야기를 함께 보여준다. 이렇게 하면 더 진실하게 느낄 수 있다.

4. 규제 준수 및 설명 가능성 확보:
 AI 이미지 표시 의무와 알고리즘 설명성(Explainable AI)을 준수해 투명성을 높인다.

 

AI광고모델을 광고에 사용하는 것은 새로운 마케팅 방법이 아니다. 이것은 브랜드와 고객 사이의 관계 자체를 바꾸는 매우 중요한 변화이다.

많은 사람들이 "기술이 발전하면 자동으로 소비자들이 신뢰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아무리 AI 기술이 뛰어나고 정교해져도, 그것만으로는 소비자들의 신뢰를 얻을 수 없다.

오히려 기술이 더 발전할수록 더 큰 노력이 필요하다. AI광고모델이 더 실제 사람처럼 보일수록, 소비자들은 "이것이 진짜인가? 가짜인가?"에 대해 더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마케팅 실무자는 AI광고모델을효율적이면서도 투명하게활용하는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실존 모델과의 병행, AI 출처 명시, 소비자 경험과 연결된 스토리텔링, 그리고 규제 준수는 더 이상 선택이 아니라 필수다. 이러한 원칙을 지킬 때만이 AI광고모델 광고는 진정성의 시험대를 통과하고, 기술 혁신과 브랜드 신뢰를 동시에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 'AI마케팅 인사이트' 홈페이지에서 더 많은 최신 AI마케팅 트렌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AI마케팅 교육] 기업의 AI마케팅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AI마케팅 #AI광고 #AI모델 #AI브랜드 #진정성
이 글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서로의 생각을 공유할수록 인사이트가 커집니다.

    추천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