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케팅 사례

같은 카드 광고, 다른 느낌

2025.08.22 11:16
122
0
0
  • 한눈에 보는 핵심요약
  • 같은 카드 광고지만 전혀 다른 전략을 취한 두 카드사의 광고의 전략을 알아봅니다.
최근 용산 아이파크몰 CGV에 영화를 보러 갔다가 이 광고를 보고 갖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신한카드의 'Discount plan' 카드 광고

출처- 신한카드 discount plan+ 카드 광고

영상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신한카드가 새롭게 발매한 'discount plan' 카드 시리즈는 시간대별로 다양한 분야에서의 할인 혜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출처- 신한카드 사이트


현재 신한 카드 사이트에 들어가면 신청량 급증으로 배송 지연이 된다는 팝업창이 뜨는데요.
이 카드가 인기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그리고 왜 이런 카드를 발매했을까요?

1년간 발매한 신한카드의 종류를 살펴보면, 이런 카드들이 있습니다. 

- SOHO SOLution 카드 (개인사업자 대상)
- 스타필드 신한카드 (쇼핑/라이프스타일 소비자 초점)
- SOL트래블j 체크카드 (여행 초점)
- 배민 신한카드 밥친구 (배민제휴/배달앱 초점)
- 처음 체크 신한카드 (중고등학생 초점)

 
공통점은 바로 
특정 테마에 한정된 혜택을 제공하는 카드를 발매하고 있다는 것인데요.

그렇기 때문에 더더욱 생활과 밀접한 전 분야를 아우르는 할인 카드에 대한 소비자들의 욕망이 커진 상태였을 것입니다. 신한카드 또한 이런 수요를 데이터를 통해 파악하고 있었고, 그렇게 탄생한 것이 이 'discount plan' 카드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 카드의 장단점을 살펴보면,


1. 폭넓은 할인 범위 vs 특정 브랜드 혜택 부족

2. 할인 구조가 직관적 vs 할인 항목이 중복 안 되는 경우 有

3. 할인 금액 기준이 합리적 vs 할인 한도 도달이 빠를 수 있다는 한계점


분명히 단점은 있지만 그에 반하는 완벽한 장점이 존재하죠. 
그것이 discount plan 카드를 선호하는 이유일 것이라 예측할 수 있습니다. 

따져보면 신한카드는 전국구 제휴처를 두루두루 확보한 범용 카드사로, 특정 그룹에 종속되지 않습니다.그래서 할인이 되는 곳을 명확하게 안내하는 전략을 사용했죠. 
소비자들이 카드의 할인 혜택을 비교하는 피로감을 광고 초반에 언급하며 해당 카드가 '언제/어디에서/얼마'의 할인 혜택을 제공하는지 간단한 시각자료로 풀어 더 눈에 띄었습니다.

사실상 '이 카드를 쓰면 이만큼 할인돼요~"를 비주얼 중심의 광고로 쉽게 설명했다는 것이 핵심이죠.

추가적으로 discount card의 슬로건 '계획한 모든 일상에 따라오는 할인'도 인상적이었는데요.

이 슬로건은 시간대별, 일별, 월별마다 할인 혜택을 제공하는 discount card의 USP를 강조함과 더불어 이 카드를 통해 나의 계획을 완벽하게 소화할 수 있을 것 같다는 기대감을 심어줍니다. 신한카드 홈페이지에서 discount card를 '소비를 계획해 드려요', '나만의 소비 계획' 등으로 소개한다는 점에서 이는 증폭되죠.


반면, 전혀 다른 컨셉의 광고를 한 카드사도 있습니다.

롯데카드의 '네 롯데로 사세요' 광고입니다. 이 광고 또한 엄청난 호응을 받으며 인기를 끌었는데, 신한카드가 제공하는 할인 혜택 등 기능적인 면을 초점으로 했다면 롯데카드는 결이 좀 다른 광고라 볼 수 있습니다.



롯데카드의 '네 롯데로 사세요' 광고 (롯데멤버스카드 광고)

출처- 롯데카드 <네 롯데로 사세요> 광고

제목에서도 알 수 있듯이 다소 욕설이 연상되는듯한 자극적인 멘트로 소비자의 관심을 이끄는 광고로, 모델인 '비비'의 캐릭터성과 시너지를 내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롯데카드는 왜 이런 비범한 선택을 했을까요?

롯데카드는 신한카드와 달리 계열사 기반의 카드사로, '혜택 특화 카드'를 출시했습니다.

롯데 계열사에서 해당 카드 사용 시 다양하고 많은 혜택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을 USP로 강조하고 있죠. 신한카드와 달리 타깃이 다소 롯데 계열사를 자주 이용하는 충성 고객으로 초점이 맞춰져 있기 때문에 고객의 충성도를 유도하고자 한 전략이라 볼 수 있습니다.

즉, '롯데그룹 내에서 이렇게 다양한 혜택, 카드 하나로 누릴 수 있는데 안 할 거야?'라는 도발적인 의도를 비추는 것이죠.

롯데카드는 브랜드의 아이덴티티를 강조하고자 비주얼 중심의 슬로건으로 강조한 정체성 각인 전략을 사용해 비교적 친근함이 느껴지는 구어체로 시청자에게 말을 거는 듯한 느낌을 줍니다.

따라서 고객이 자사 계열사와의 정서적 연대를 바탕으로 롯데 기업에 대한 소속감을 더 느낄 수 있도록 감성적 포지셔닝을 취했다면, 신한카드는 실질적인 혜택을 한눈에 보여주는 광고를 팩트 중심으로 소개한 실익을 강조한 형태라고 볼 수 있어요.
이 글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서로의 생각을 공유할수록 인사이트가 커집니다.

    추천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