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마케팅

1년 만에 뒤집힌 딜 라카, 인수에서 매각까지

2025.08.26 08:54
277
0
1
  • 한눈에 보는 핵심요약
  • 구다이글로벌, 라카 인수 1년 만에 매각 발표. IPO를 앞두고 스킨케어 중심 포트폴리오 재편 전략으로 업계 이목이 집중돼요.

 


뷰티 업계에서 기업 인수합병(M&A)은 장기적 시너지와 성장 전략을 염두에 두고 진행되는 경우가 많아요.

 

 

그런데 최근 구다이글로벌이 보여준 행보는 이례적인 관심을 모으고 있습니다. 지난해 6월, 구다이글로벌은 색조 브랜드 라카(Laka)의 지분 88%를 425억 원에 인수했는데, 불과 1년 만인 2025년 7월에 매각을 발표했어요.

 

특히 구다이글로벌의 기업공개(IPO)를 앞둔 시점에서 단기간 보유 후 매각을 선택했다는 점에서 업계의 시선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이번 매각은 단순한 브랜드 정리 이상의 메시지를 담고 있으며, 한국 뷰티 기업의 경영전략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사례로 평가되고 있어요.

 

 

인수에서 매각까지, 1년의 타임라인

 

구다이글로벌과 라카의 인수·매각 과정은 빠르게 전개되었어요.

 

     

  • 2024년 6월 : 구다이글로벌이 라카코스메틱스의 지분 88%를 425억 원에 인수. 창업자 이민미 대표는 전량 매각 후에도 브랜드 총괄 디렉터로 남아 브랜드의 성장을 도왔어요.
  •  

  • 2025년 7월 : 불과 1년 만에 매각을 발표. 매각 가격과 인수자는 비공개 상태예요.

구다이글로벌은 공식적으로 “라카가 국내에서는 인지도가 있으나 글로벌 확장성은 제한적이다”라는 이유를 밝혔고, 성장 잠재력이 큰 핵심 브랜드에 자원을 집중하겠다고 설명했습니다.

 

 


 

 

인수 당시의 기대

 

라카 인수는 당시 업계에서도 주목을 받았어요.

 

구다이글로벌은 스킨케어 브랜드 조선미녀를 보유하고 있었는데, 색조 브랜드 라카를 인수하면서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하려는 전략으로 해석되었어요.

특히 라카는 일본 시장에서 강점을 보이고 있었는데, 로프트, 플라자, 앳코스메 등 주요 리테일 채널에 이미 입점해 있었기 때문에 일본 내 입지 강화와 색조 카테고리 확장이 동시에 가능하다는 기대가 있었죠.

 

즉, 라카는 구다이글로벌에게 “스킨케어 중심 기업에서 색조까지 확장한 뷰티기업”으로 도약할 수 있는 중요한 연결고리였어요.

 

 

 


 

 

매각의 배경, 드러난 이유와 숨은 맥락

 

그렇다면 왜 불과 1년 만에 매각이라는 결정을 내렸을까요?

     

  • 공식 입장 : 색조 화장품의 성장성 한계. 글로벌 시장에서 색조보다는 기초 화장품 카테고리의 성장이 더욱 가파르기 때문에, 기업의 역량을 집중하기로 했다는 설명이에요.
  •  

  • 비공식 해석 : 구다이글로벌이 IPO를 앞두고 있다는 점이 가장 큰 배경으로 꼽혀요. 기업공개 과정에서는 ‘핵심 브랜드에 집중된 구조’와 ‘성장성이 명확한 포트폴리오’가 더 높은 평가를 받는 경향이 있어요.

라카는 국내 인지도는 높지만 글로벌 확장성에서는 한계가 있었기 때문에, 단기간 내 기업가치를 극대화하려는 선택으로 보이는 거예요.

이례적으로 짧은 기간의 보유 후 매각은, 브랜드 전략 차원에서 진행되었다기보다 기업의 자본 시장 전략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요.

 

 


 

업계가 읽는 시그널

 

이번 사례는 한국 뷰티 산업의 구조적 흐름을 다시 보여주고 있어요.

 

첫째, 글로벌 시장에서는 여전히 스킨케어가 강력한 성장 동력이라는 점이에요.

K-뷰티가 기초 화장품을 중심으로 해외에서 자리 잡았다는 사실은, IPO를 준비하는 기업에게 가장 안정적인 성장 포인트가 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둘째, 색조 브랜드가 글로벌 확장에 성공하려면 명확한 차별성과 지속 가능한 포용력이 필요하다는 시그널이에요.

라카가 국내에서는 감각적인 색조 브랜드로 자리잡았지만, 글로벌 시장에서 스케일업할 수 있는 포지셔닝은 부족했던 것으로 분석됩니다.

 

셋째, IPO를 준비하는 기업은 단기적 시너지보다 장기 성장성과 투자자 관점을 우선순위에 둔다는 사실이에요.

이번 매각은 투자자 신뢰를 위한 포트폴리오 정리의 일환으로도 읽힙니다.

 

 

 

 

마치며

 

구다이글로벌의 라카 매각은 한국 뷰티 기업이 글로벌 자본 시장에서 어떤 전략을 택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사례예요.

 

색조의 매력과 가능성은 분명히 존재하지만, IPO라는 현실적 목표 앞에서 기업은 안정적인 스킨케어 중심 전략을 택했어요.

이번 사례는 K-뷰티 기업들에게 글로벌 확장성과 자본시장 전략 사이의 균형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출처 : 조선비즈

카드뉴스 출처 : @dailybeauty.drop


💄유익한 뷰티 인사이트를
매일 확인하고 싶다면?

 

 

#라카 #구다이글로벌 #뷰티 #코공고 #dbd
이 글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서로의 생각을 공유할수록 인사이트가 커집니다.

    추천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