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순당, 양조장을 ‘성지’로 열다> 공간이 브랜드가 되는 순간
- 한눈에 보는 핵심요약
- 국순당은 옛 양조장을 복합문화공간 ‘박봉담’으로 열어 술이 아닌 기억을 빚습니다. 공간을 성지화해 브랜드의 철학과 지역 상생을 증명합니다.
많은 브랜드가 ‘콘텐츠’를 외칠 때, 국순당은 ‘공간’을 열었습니다. 화성의 옛 양조장 문이 다시 열리던 순간, 오래된 벽돌의 숨결과 술 향기가 맞이한 것은 단순한 건물이 아니라, 시간이 쌓아올린 기억이었습니다. 복제가 쉬운 시대에 브랜드가 지닐 수 있는 유일한 원본은 그들이 지나온 시간과 그 시간이 스며든 공간입니다. 국순당이 18년간 술을 빚던 양조장을 다시 연 ‘박봉담’은 술이 아니라 기억을 빚어낸 성지입니다. 우리를 초대하는 것은 제품이 아니라, 시간 그 자체입니다.

🧱 기억을 짓는 시공
지난 10월 2일, 국순당은 경기도 화성의 옛 양조장을 복합문화공간 '박봉담'으로 재탄생시키며 ‘헤리티지 투어’를 시작했습니다. 이곳은 1986년부터 2004년까지 백세주 신화를 만들어낸 심장 같은 공간입니다.
투어는 산책처럼 시작됩니다. 곳곳의 QR코드를 스캔하면 전문 성우가 아닌 국순당 임직원의 목소리가 흘러나옵니다. 꾸며내지 않은 진짜 목소리로 듣는 옛 이야기 속에서, 우리는 브랜드의 시간과 마주합니다. 단순히 듣는 데서 그치지 않습니다. 다섯 구역을 거치며 스탬프를 모아 ‘누룩이’ 캐릭터를 완성하는 경험은, 흩어진 역사의 조각을 직접 이어 붙이는 의식과도 같습니다. 관람객은 구경꾼에서 참여자로, 소비자에서 공저자로 변화합니다.

🧩 기억의 독점권
그렇다면 질문을 던져야 합니다. 왜 브랜드는 공간과 기억에 이토록 집착하는 것일까요? 단순한 레트로 마케팅의 변주일까요? 정보의 홍수 속에서 더 크고 더 화려한 광고는 이미 힘을 잃었습니다. 이제 브랜드가 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자신만의 진짜 이야기가 담긴 공간으로 소비자를 불러들이는 것입니다. 애플이 플래그십 스토어를, 현대카드가 라이브러리를 여는 이유도 같습니다. 결국 브랜드가 노리는 것은 ‘기억의 독점권’입니다. 박봉담은 국순당이 세상에 내놓은 가장 진솔한 자기소개서이자, 민족 고유의 술 문화를 되살리겠다는 신념을 증명하는 공간입니다.

🌏 지역과 함께 자라는 성지
국순당의 ‘박봉담’이 특별한 이유는, 단순히 오래된 양조장을 복원했기 때문이 아닙니다. 그 공간이 ‘로컬을 브랜드 전략의 중심축으로 끌어올린 실험’이기 때문입니다. 최근 브랜드 전략에서 ‘지역’은 더 이상 배경이 아닙니다. 지역은 브랜드가 정체성과 신뢰를 재구축하는 핵심 무대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로컬을 이해하고, 그 안의 사람과 문화를 존중하는 태도는 곧 ‘진정성 있는 브랜딩’으로 연결됩니다.
일본의 사례는 이를 가장 잘 보여줍니다. 양조장이 지역 문화와 관광의 거점이 되면서, 지역 주민의 참여, 관광객의 체류, 그리고 지역 경제의 순환이 한 구조 안에서 이루어졌습니다. 공간이 ‘생산’에서 ‘경험’으로, 경험이 다시 ‘지역의 가치’로 환원된 선순환 구조입니다.
국순당의 박봉담 역시 같은 가능성을 품고 있습니다. 화성이라는 지역성, 그리고 ‘한국 전통주’라는 문화적 자산이 결합하면서 브랜드의 의미가 단순한 상품에서 ‘문화적 플랫폼’으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이제 브랜드는 전국적 인지도보다 지역에서 얼마나 깊이 신뢰받는가로 평가받습니다. 지역은 브랜드의 무대가 아니라, 브랜드가 뿌리내릴 토양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우리가 박봉담에서 경험하는 것은 단순히 잘 짜인 투어 프로그램이 아닙니다. 그것은 18년의 시간을 버텨낸 한 브랜드의 철학과 자부심입니다. 이 순간 우리는 단순한 소비자가 아니라, 이야기에 귀 기울이는 순례자가 됩니다. 브랜드가 성지를 여는 이유는 분명합니다. 기억을 공유하고, 시간을 함께 버티는 법을 배우기 위해서입니다.
그렇다면, 다음 시대의 성지는 어디에서 열릴까요?
<이미지출처: 국순당 공식 인스타그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