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스타그램 릴스 기획의 정석! 퀄리티 높이는 Tip!
- 한눈에 보는 핵심요약
- ✔ 인스타그램 릴스, 이제는 UI까지 고려하는 사이즈 기획이 필요해요! ✔ 4:5 비율, 안전 영역에 핵심 내용을 담아 보세요! ✔ 소셜비즈가 제공하는 무료 릴스 안전 영역 템플릿도 확인하세요.
인스타그램 릴스, 이제는 UI까지 고려하는 사이즈 기획이 필요해요!
4:5 비율, 안전 영역에 핵심 내용을 담아 보세요!
요즘 인스타그램은 팔로워 수보다는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실제로 반응했는가'가 더 중요해졌어요. 게시물 피드에서 릴스로 사용자의 콘텐츠 소비가 이동하는 추세이기도 하고요. 콘텐츠의 인기는 팔로워 수가 아닌,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콘텐츠에 반응하고 행동하는지에 따라 달라져요.
그래서 릴스 콘텐츠로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더 많은 사람들에게 잘 보이는 전략이 필요해요. 인스타그램 릴스가 다른 숏폼 콘텐츠나 가로형 영상과는 다른 점, 세로형 영상과 UI 요소까지도 고려한 기획이 필요한 이유를 하나씩 알아보도록 할게요!
P.S
콘텐츠를 끝까지 읽어 보시면 소셜비즈가 드리는 릴스 가이드 템플릿 선물이 있어요!
인스타그램의 UI 요소로 가려지는 영역 확인!
많은 분들이 릴스를 전체 화면으로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UI 요소에 일부가 가려지는 구조예요. 화면 위에는 계정명, 좋아요·댓글 아이콘, 캡션, 음악 정보 등이 오버레이 되어 텍스트가 겹쳐 보이는 경우가 많아요.
이러한 UI 요소들이 영상의 상/하/좌/우의 일부를 가릴 수 있기 때문에 전체 UI를 고려하지 않은 기획은 나중에 곤란해질 경우가 생겨요. 특히 영상에 자막을 넣거나 광고를 진행할 경우 자막이 UI 요소에 가려져서 제대로 보이지 않을 가능성도 있어요. 이 때문에 영상의 자막이나 문구가 UI에 가려지면 전달력이 떨어지고 클릭률도 낮아져요.
✔️ 상단 UI 요소: 시계, 안테나, 충전 정보 같은 디바이스 정보 + 이전 버튼, 카메라 아이콘 등 릴스 정보
✔️ 하단 UI 요소: 프로필 정보, 캡션, 리포스트 계정 등의 아이콘
✔️ 우측 UI 요소: 좋아요, 댓글, 리포스트, 공유 등의 아이콘
핵심 내용은 4:5 비율, 안전 영역을 확인!
릴스는 UI 요소가 오버레이 되어 영상위에서 보이기 때문에 해당 영역을 제외한 4:5 영역에서 영상의 핵심 내용이 보여야 해요. 그리고 4:5 비율 영역에서도 안전 영역을 잘 고려해서 영상의 핵심 내용을 보여주고 자막과 같은 텍스트를 배치해야 해요.
또한 텍스트의 경우 해상도가 낮으면 보이지 않을 경우가 있어서 최소 720p를 권장하지만 퀄리티 높은 1080p를 추천해요. 모바일과 PC를 모두 고려한다면 해상도는 높을수록 좋아요.
영상 대표 섬네일과 자막도 전략적으로!
릴스 사이즈만큼 중요한 것은 릴스 구성 요소를 어떻게 구성하느냐에 따라 달라져요. 구성 요소는 영상의 대표 섬네일, 텍스트 자막을 뽑을 수 있어요. 각 요소에 대해서 팁을 알려드릴게요.
① 섬네일 팁
릴스 업로드 시 프레임 하나를 섬네일로 지정하거나, 별도로 섬네일 이미지를 넣을 수 있는데요. 섬네일은 영상을 대표하는 이미지이기 때문에 영상을 대표로 하는 프레임을 설정하거나, 별도의 섬네일을 제작해서 넣는 것을 권장해요. 특히 인스타그램에서 한눈에 들어오게끔 중앙에 핵심 내용을 잘 보이게 하는 게 설정하는 게 포인트에요.
✔️ 중앙에 핵심 메시지 배치
✔️ 인물이나 제품은 화면 중심에
✔️ 피드 미리 보기(1:1)에서도 잘리지 않게 구성
② 텍스트 자막 팁
텍스트 자막은 안전 영역 안에 넣어야 하고 배경과 대비되는 컬러를 사용해야 가독성이 확보돼요. 특히 인스타그램 UI 요소에 따라 안 보일 수도 있으니 꼭 텍스트는 안전 영역을 중심으로 해야 하고 지나치게 많은 텍스트를 한 프레임에 넣지 말고 핵심 텍스트만 강조해서 넣는 게 좋아요.
✔️ 배경 대비가 뚜렷한 색상 사용
✔️ 안전 영역 안에서만 배치
✔️ 한 프레임에 2줄 이하로, 핵심 문장만 강조
릴스에서 이런 요소들을 꼭 고민해야 할까요?
네! 당연하죠! 많은 분들이 콘텐츠를 제작할 때 이런 세세한 것까지 신경 쓰면 오래 걸리고 복잡해서 싫어하실 거예요. 하지만 이렇게 콘텐츠를 제작해야 하는 이유는 이러한 사소한 부분 때문에도 퍼포먼스 차이가 크기 때문에요.
① 짧은 시간 내 핵심 정보 노출
유저는 빠르고 직관적인 콘텐츠를 원해요. 짧은 시간 안에 핵심 정보를 얻고 싶어 하기 때문에 유저가 콘텐츠를 소비하는 시간을 늘려야 해요. 그래야 릴스에서 유저의 행동을 이끌어낼 수 있어요.
② 시선의 고정 및 가독성 높이기
인스타그램 내 UI 요소에 영상의 내용이 가려지면 충분한 정보를 얻지 못하고 시선은 분산될 거예요. 시선은 안전 영역에 중앙에서 모든 것을 확인할 수 있게 해 가독성이 높아야 해요.
③ Meta의 공식 가이드
Meta 블로그에서는 릴스(광고)에서 세로 방향 제작 + 안전 표시 영역 내 배치를 권고하고 있어요. 안전 표시 영역 내에서 제작을 해야 하며, 다른 요소로 가려지지 않도록 릴스 안전 표시 영역 안에 핵심 메시지를 배치하라고 안내하고 있어요. 그리고 안전 영역에서 후킹 할 수 있는 메시지로 타깃의 관심을 사로잡거나 다음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는 CTA를 제시하고 있어요.
릴스는 단순한 세로 영상이 아니라 플랫폼의 UI를 기반으로 한 콘텐츠에요. 릴스뿐만 아니라 유튜브 숏츠, 틱톡 등 세로 영상이 전체 화면으로 나오지 않고 각 플랫폼의 UI에 따라 아이콘들이 영상의 일부를 가리게 돼요. 그래서 사이즈 기획부터 핵심 내용을 노출할 영역, 구성 요소까지 잘 고려해야 릴스 영상의 퀄리티는 높아지게 됩니다!
소셜비즈에서 준비한 릴스 안전 영역 템플릿으로 릴스 기획과 편집할 때 활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