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마케팅

2026년 베트남 진출을 고려하는 기업이 간과해서는 안 되는 세무 리스크와 투자 전략

42
0
0
  • 한눈에 보는 핵심요약
  • 2025년 베트남은 실로 중대한 변화의 시기를 맞고 있으며, 이러한 정책 변화를 면밀히 주목하고 대응하는 것이 한국 기업들에게 필수적입니다.

🕊️ 한 주를 마무리하는 금요일 오후 1

     주간 인사이트와 최신 업계 뉴스등 비즈니스 성장에 도움이 되는 프레미아 티엔씨 뉴스레터를 받아보세요!

 

-----------------------------------------------------------------------------------------------------------------

 

최근 베트남은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역동적인 경제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3분기 GDP 성장률이 8.22%에 달하며, 자본 시장에서도 외국인 투자 유입이 활발한 상황입니다. 이러한 성장세 속에서 특히 주목해야 할 점은 시장 규모뿐 아니라, 정책 및 제도 변화 속도가 매우 빠르다는 사실입니다.

특히 베트남 법인 설립, 세무·회계, 베트남 투자 진출 등을 지원하는 기업들에게는 이러한 규제 변화가 새로운 수익 기회이자 동시에 리스크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이에 2025년 10월부터 시행된 베트남의 주요 정책 변화를 정리하여, 한국 기업 등 해외 진출 기업이 반드시 점검해야 할 사항들을 안내해 드리고자 합니다.

 

베트남 주요 정책 변화 2025

 


 

1. 인도적 목적의 대리모(보조생식) 규정 강화 

이 정책은 2025년 10월 1일부터 시행되며, Decree 207/2025/NĐ‑CP (2025.7.15 발표)를 근거로 합니다. 주요 내용은 대리모 허용 기준을 명확히 하고, 의료기관 요건을 강화하며, 익명성 보호 조치를 삽입한 것입니다. 보건·의료 서비스 및 생식 의료 관련 외국계 기업의 경우, 관련 절차, 라이선스, 그리고 내부통제 시스템을 재검토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2. 금(Gold) 수출입·거래 관리 개편 

2025년 10월 10일부터 시행되는 이 정책은 Decree 232/2025/NĐ‑CP (2025.8.26 발표)에 기반을 둡니다. 베트남 중앙은행(State Bank of Vietnam, SBV)의 직접적인 원자금 수출입 방식이 종료되고, 라이선스 및 쿼터제가 도입됩니다. 또한, 연 2,000만 베트남 동(VND) 이상의 금 거래에 대해서는 계좌이체 의무가 부과됩니다. 귀금속 수출입 유통 기업뿐만 아니라 해외 진출 기업들도 보고 체계, 허가 요건, 외환 관리 절차 등을 재정비해야 합니다.

 

3. 글로벌 최소세율(Global Minimum Tax, GMT) 이행을 위한 세부 시행령

이 시행령은 2025년 10월 15일부터 발효되며, Decree 236/2025/NĐ‑CP (2025.8.29 발표)를 근거로 합니다. 다국적 기업(MNE) 중 연매출이 EUR 7.5억 이상인 기업을 대상으로 2024 회계연도부터 적용되는 QDMTT/IIR(Qualified Domestic Minimum Top-up Tax / Income Inclusion Rule) 신고·납부 지침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베트남 내 법인을 둔 한국 기업 및 해외 모기업-자회사 구조를 가진 경우, 이전가격 전략, 세무 구조, 이중과세 방지 등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합니다.

 

4. 산업 진흥 인센티브 확대 

2025년 10월 15일부터 시행되는 Decree 235/2025/NĐ‑CP에 따라, 베트남은 첨단 제조, 디지털 전환, 친환경 건자재, 수출 지향 제조 등 특정 분야를 우대 대상으로 지정하고 인센티브를 확대합니다. 중소기업 및 협동조합까지 수혜 대상을 넓히며, 세제 감면 및 토지 임대료 감면 등의 혜택을 제공합니다. 이는 생산 거점 다변화를 고려 중인 기업들에게 베트남 법인 설립 및 사업 확장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주요 시사점 

✅ 세무 리스크 관리의 중요성: 

 

GMT 도입은 단순한 세율 인상이 아닙니다. 해외 자회사 간의 이익 배분 구조, 이전가격 정책, 그리고 세무 신고 절차 전반을 재설계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특히 싱가포르, 홍콩, 베트남 등 여러 허브에 법인을 둔 기업은 국가 간의 세무 이슈(예: 이중과세, 세액 공제)에 대한 사전 검토가 필수적입니다. 

 

✅ 규제 투명성 강화와 컴플라이언스 역량의 중요성: 

 

최근의 제도 개편은 베트남 정부가 국제 기준에 맞춰 규제 투명성을 강화하려는 의지를 보여줍니다. 이에 따라 외국 기업의 경우, 단순히 진출하는 것을 넘어 지속 가능한 운영 체계(Compliance Management System)를 구축하는 것이 핵심 경쟁력이 될 것입니다. 

 

✅ 새로운 산업 진출의 기회 모색: 

산업 진흥 인센티브 확대는 베트남이 단순한 제조 기지를 넘어 고부가가치 산업 허브로 전환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디지털 제조, 전기차 부품, 반도체 조립, 물류 자동화 등 고부가가치 산업 분야에 대한 투자를 고려하는 기업들은 지금이 좋은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2025년 베트남은 실로 중대한 변화의 시기를 맞고 있으며, 이러한 정책 변화를 면밀히 주목하고 대응하는 것이 한국 기업들에게 필수적입니다. 베트남은 아세안 및 글로벌 시장 중에서도 정책 변화 속도가 매우 빠른 국가로 정평이 나 있습니다. 그만큼 현지 법인 설립, 회계·세무, 고용·허가 등 각 분야별로 변화에 대한 대응 민첩성이 기업의 경쟁력을 좌우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베트남 투자에 관심이 있으시다면, 아래 추천 콘텐츠를 통해 2025년 변화하는 베트남 시장의 기회와 정책 변화를 더욱 깊이 있게 살펴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1:1 무료 상담 통해 프레미아 티엔씨 베트남 컨설턴트들의 맞춤형 솔루션을 받아보세요

 

 

#베트남정책개편 #premiatnc # 프레미아티엔씨 #해외진출 #글로벌컨설팅
이 글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서로의 생각을 공유할수록 인사이트가 커집니다.

    추천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