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톡 오픈채팅 사용자 76% 쑥 / 메타, 음악수익 공유 서비스 출시
카톡 오픈채팅 사용자 76% 쑥
📣 카카오톡 전체 대화량에서 지인이 아닌 관심사 기반 채팅 방식인 오픈채팅 비중은 최대 40%에 달한다고 합니다. 이는 10% 수준이던 2018년과 비교해 괄목할 만한 변화인데요.
오픈채팅은 카카오톡에서 같은 관심사를 지닌 사람끼리 채팅방을 만들어 대화할 수 있는 채팅 서비스입니다. 카카오가 2015년 8월 선보였는데요. 카카오톡 일반채팅과 달리 전화번호나 아이디 등 이용자 친구 추가 절차 없이 서로 모르는 사람들이 공통의 관심사에 따라 소통할 수 있습니다. 쉽게 말해 사회관계망서비스(SNS) 기반의 익명 커뮤니티인 셈인데요.
카카오에 따르면 올해 오픈채팅 사용자 수는 코로나19 팬데믹 전인 2019년 대비 76% 늘었다고 합니다. 오픈채팅 수신·발신량도 같은 기간 78% 증가했는데요. 카카오 관계자는 "다른 사람과 필요 이상으로 관계를 맺는 것을 부담스러워하는 젊은 세대 성향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습니다. 팬데믹 때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를 중심으로 확산된 비대면 소통도 오픈채팅 사용자 유입에 한몫했다는 분석입니다.
메타, 음악수익 공유 서비스 출시
📣 페이스북의 모기업인 메타가 음악 저작권자와 유저들 모두에게 수익을 돌려줄 수 있는 음악 수익 공유사업을 공개했다는 소식입니다.
그간 메타의 유저들이 저작권이 있는 음악을 영상에 사용할 수 있었지만, 이를 통한 수익 창출 방안이 마련된 것은 이번이 처음인데요. 블룸버그에 따르면 메타는 ‘라이츠 매니저(Rights Manager)’ 음악 서비스 툴을 기반으로 해당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합니다. 크리에이터가 신규 프로그램으로 영상을 제작해 업로드하면, 음악 저작권자와 크리에이터 각각이 영상 내 광고 수익의 20%를 배분받는 방식인데요. 영상 내 광고 수익의 영상의 길이는 60초 이상이어야 하며 시각적인 효과가 포함되어야 한다는 것이 조건입니다. 해당 서비스는 미국에 먼저 도입되며, 앞으로 몇 달에 걸쳐 다른 나라에도 적용될 예정이라고 하네요.
LG U+, 온라인 광고대행사 인수
📣 LG유플러스가 온라인 광고대행사인 이엠넷의 인수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업계 관계자들에 따르면 LG유플러스는 최근 인수 추진을 시작해, 회계자료 및 재무실적을 실사 중인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LG유플러스의 이엠넷 인수 추진은 디지털 광고사업, 커머스 분야 사업 경쟁력 강화의 일환으로 분석됩니다. 올해 초 황현식 LG유플러스 CEO는 신년사를 통해 "신사업 강화 차원으로 데이터·광고·콘텐츠 사업방안을 검토했다"고 밝힌 바 있는데요. 이후 지난 5월에는 CEO직속 사업인 광고사업단장으로 다음과 SK 등을 거친 광고커머스 전문가 김태훈 상무를 영입하기도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