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 인사이트

[특별 리포트] 10월 홈쇼핑에서 급상승할 키워드는 무엇일까요?

2022.09.26 08:00
1289
0
0

안녕하세요! 홈쇼핑모아입니다.

홈쇼핑모아 광고주센터에서 특별 모바일 홈쇼핑 트렌드 ‘급상승 키워드 콘텐츠’를 제공해드립니다.

 

모바일 홈쇼핑 트렌드는 홈쇼핑, 벤더사 등 홈쇼핑 업계 종사자에게 유의미한 상품 및 사용자 분석 데이터를

제공하는 국내 유일 모바일 홈쇼핑 빅데이터 서비스입니다.

 

국내 모든 홈쇼핑 및 T커머스가 모여있는

홈쇼핑모아의 빅데이터를 활용해 현재의 홈쇼핑을 분석하고,

앞으로의 홈쇼핑 트렌드를 예측해보세요!

 

 

 

2021년 9월과 10월의 검색키워드 변화 데이터를 통해 2022년 10월 급상승 키워드를 예측해보았습니다. 그중에서 2021년 9월 대비 10월 상승폭이 크고 지속적으로 콘텐츠에서 높은 순위에 올랐던 키워드들은 5개 선정해 분석했습니다. 선정된 키워드들이 과거에 왜 급상승했었고 예상대로 2022년 10월에도 수치가 급상승할지 살펴보세요!

 

 

10월 급상승 키워드 1. 여성경량패딩


 

첫번째 10월 급상승 키워드로는 여성경량패딩이 선정되었습니다. 데이터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2020년에는 8월 말부터 서서히 쿼리수가 오르다가 2020년 11월 1주차 쿼리수가 3개월 전 대비 287배(+) 상승해 수치가 가장 높았습니다. 그러다 2021년 8월까지 감소하다가 2021년 9월 20일부터 수치가 올라 2021년 10월 3주차 쿼리수가 3개월 전 대비 262배(+) 증가했습니다. 앞선 수치로 보았을 때 2022년에도 10월뿐 아니라 11월까지 인기가 꾸준히 상승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네이버 검색량은 30~60대 이상 여성을 기준으로 추출한 데이터입니다.

 

 

여성경량패딩 키워드의 홈쇼핑과 네이버 내에서의 검색량은 어떻게 달랐을까요? 앞선 그래프와 마찬가지로 홈쇼핑모아 내 쿼리수와 네이버 검색량이 9월부터 올라 10월, 11월에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습니다. 2020년 수치는 생략되어 그래프에 보이지 않지만 2021년과 마찬가지로 홈쇼핑모아와 네이버 검색량 모두 9월부터 올랐으며 특히 네이버 검색량의 경우 1월까지 인기가 이어졌습니다. 2021년에는 홈쇼핑모아 앱 내 쿼리수가 10월 3주차에 3개월 전 대비 262배(+), 네이버 내 검색량은 11월 4주차에 3개월 전 대비 373%(+) 올라 수치가 가장 높았습니다. 

 

이러한 여성경량패딩의 경우 실내외에서 간편하게 입을 수 있는 형태로 올겨울에도 큰 호응을 얻을 것으로 전망되며 코로나19 재확산과 경기 위축 등으로 인해 블랙, 베이지, 화이트 등 안정적이면서도 편안한 색상의 컬러가 인기를 끌 예정입니다. (관련 자료 : "등산 패딩부터 숏패딩까지" 올 겨울엔 어떤 패딩 뜰까)

 

 

 

10월 급상승 키워드 2. 여성코트

 

 

두번째 10월 급상승 예상키워드로는 여성코트가 뽑혔는데 이외에도 핸드메이드코트, 가을코트 등의 키워드가 인기있었습니다. 이 키워드는 2020년 11월 1주차 쿼리수가 3개월 전 대비 4,312%(+) 상승해 수치가 가장 높았습니다. 그러다 2020년 4월까지 감소하다가 2021년 10월부터 다시 수치가 올라 2021년 12월 1주차에 3개월 전 대비 쿼리수 1,758%(+), 방송상품클릭수 2,722%(+) 증가했습니다. 이렇듯 더위가 끝나갈 무렵부터 봄까지 수치가 지속되는데요. 2022년에도 10월부터 인기가 늘어 내년 3월까지 검색량이 늘어날 것으로 기대됩니다.

 

*네이버 검색량은 30~60대 이상 여성을 기준으로 추출한 데이터입니다.

 

 

여성코트 키워드의 홈쇼핑과 네이버 내에서의 검색량은 어떻게 달랐을까요? 홈쇼핑모아 앱 내 쿼리수는 2021년 10월 3주차 때 3개월 전 대비 1,758%(+), 네이버 검색량은 11월 4주차때 3개월 전 대비 164%(+) 증가했습니다. 이러한 니즈에 맞춰 e커머스 업계는 대규모 가을 프로모션을 진행하고 있는데요. 외출과 야외활동이 많아지며 패션과 뷰티 상품 수요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11번가에서 최근 한 달간 여성 트렌치코트의 거래액은 작년 동기대비 각각 144% 증가한 만큼 2022년에 코트의 수요가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10월 급상승 키워드 3. 극세사이불

 

 

생활용품 카테고리에서 10월 급상승 키워드로는 ‘극세사이불’이 2021년 9월 대비 10월에 높은 수치로 급상승해 선정되었습니다. 이 키워드는 2020년 12월 3주차에 가장 수치가 높았는데 3개월 전 대비 쿼리수 554%(+), 방송상품클릭수 2,933%(+) 상승했습니다. 2021년에도 8월말부터 수치가 증가해 2021년 10월 3주차에 정점을 찍었습니다. 이 기간에 3개월 전 쿼리수 886배(+), 방송상품클릭수 767배(+) 올랐습니다.

 

*네이버 검색량은 30~60대 이상 여성을 기준으로 추출한 데이터입니다.

 

 

극세사이불 키워드의 홈쇼핑과 네이버 내에서의 검색량을 비교해보겠습니다. 홈쇼핑모아 앱 내 쿼리수는 2021년 10월 3주차 때 3개월 전 대비 886배(+), 네이버 검색량은 3개월 전 대비 23배(+) 증가했습니다. 2022년에도 10월부터 날씨가 점차 추워지고 11월 7일 입동이 찾아오는 만큼 극세사이불의 수요는 상승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10월 급상승 키워드 4. 온수매트


 

4번째 10월 급상승 키워드는 ‘온수매트’로 앞선 극세사이불과 비슷한 모양을 보였습니다. 2020년에는 10월 3주차에 쿼리수가 3개월 전 대비 120배(+), 방송상품클릭수가 3개월 전 대비 1,398배(+) 상승해 수치가 가장 높았습니다. 2021년에도 비슷하게 쿼리수는 10월 3주차에 3개월 전 대비 186배(+), 방송상품클릭수는 3개월 전 대비 435배(+) 올랐습니다.

 

 

온수매트 키워드의 홈쇼핑모아 앱 내 쿼리수는 2021년 10월 3주차 때 3개월 전 대비 186배(+), 네이버 검색량은 3개월 전 대비 70배(+) 증가했습니다. 2022년도 8월부터 수치가 증가해 상승곡선을 그리고 있는 만큼 10월에 더욱 급상승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반면 홈쇼핑모아 앱 내에서는 온수매트 키워드뿐 아니라 귀뚜라미 카본매트, 경동나비엔 온수매트 등의 단어도 인기가 높은 것으로 보아 선호하는 브랜드에 따라 소비가 변함을 알 수 있었습니다. 한편 이러한 보일러업계는 난방가전이라는 이미지를 버리고 온수가전이라는 새로운 이름을 내세워 사계절 가전이라는 점을 부각시키는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2022년에도 난방매트 등을 출시하며 해외 시장으로 사업영역을 더욱 넓힐 예정입니다. (관련 기사 : 성수기 돌입 보일러 시장…올해 키워드 ‘온수’)

 

 

 

10월 급상승 키워드 5. 가습기


 

마지막 10월 급상승 키워드로는 ‘가습기’가 선정되었습니다. 이 키워드는 건조한 겨울에 급상승하는 만큼 2020년과 2021년 모두 9월부터 2월까지 인기였습니다. 2020년에는 12월 3주차때 가장 수치가 높아 3개월 전 대비 쿼리수 1,567%(+), 2021년에는 10월 3주차에 3개월 전 대비 쿼리수 7,885%(+) 올라 가장 인기가 높았습니다.

 

 

가습기 키워드는 2021년 10월 3주차 때 홈쇼핑모아 앱 내 쿼리수와 네이버 검색량 모두 가장 수치가 높았습니다. 홈쇼핑 앱 내 쿼리수는 3개월 전 대비 30배(+), 네이버 검색량은 3개월 전 대비 80배(+) 증가했습니다. 

 

이러한 키워드는 왜 가을부터 인기가 높아질까요? 건조하고 일교차가 큰 가을, 겨울에는 목감기나 코감기, 인후통, 콧물, 기침 등 여러 증상이 나타나기에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 호흡기를 촉촉하게 유지해야합니다. 그렇기에 가습기 수요가 늘어나는데 2022년에도 9월부터 환절기가 찾아온 만큼 인기가 상승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홈쇼핑 데이터, 광고, 제휴, 모바일 홈쇼핑 트렌드 솔루션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으시다면,

편하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문의 주소 : https://ad.buzzni.com/contact-ad

e-mail : ad@buzzni.com

 

홈쇼핑모아가 홈쇼핑 성공을 응원하겠습니다.

#모바일 홈쇼핑 #홈쇼핑 #겨울시즌
이 글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서로의 생각을 공유할수록 인사이트가 커집니다.

    추천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