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3분기에는 홈쇼핑 시장 점유율을 어떻게 변화했을까요?
홈쇼핑모아의 데이터를 통해 카테고리별 점유율과 3분기 홈쇼핑・티커머스 방송 시청수를 보고
다가온 4분기 판매계획도 세워보세요!
카테고리별 점유율
2022년 3분기 방송횟수를 살펴보면 패션・잡화 부분만 유일하게 점유율이 상승했습니다. 가을이 찾아오면서 각종 브랜드에서 F/W시즌 의류를 출시해 방송 횟수가 늘어난 것으로 보입니다. 식품・건강 부문에서는 8월이 방송 횟수가 가장 늘어 8월 전체 점유율 1위를 했는데요. 다가올 추석을 대비하고자 하는 소비자의 움직임이 컸던 것이 원인으로 예측됩니다.
2022년 2분기와 비교했을 때, 식품・건강 부문은 3.0%(+), 생활・주방 부문은 4.4%(+), 가전・디지털 부문은 5.6%(+) 상승했습니다. 반면 패션・잡화 부문은 10.0%(-), 화장품・미용 부문은 1.9%(-), 여행・레저 부문은 0.3%(-), 유아・아동 부문은 0.16%(-), 보험 부문은 0.46%(-) 감소했습니다.
방송알람 설정수는 소비자의 수요를 가감 없이 보여주는 수치로 판매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입니다. 2022년 3분기 방송알람 설정수는 패션・잡화, 식품・건강, 화장품・미용이 7,8월 평균 수치 대비 9월에 상승했습니다.
2022년 2분기와 비교했을 때, 식품・건강 부문은 11.0%(+), 생활・주방 부문은 3.8%(+), 가전・디지털 부문은 6.0%(+) 상승했지만 패션・잡화 부문은 20.3%(-) 화장품・미용 부문은 0.06%(-), 여행・레저 부문은 0.41%(-), 유아・아동 부문은0.22%(-), 보험 부문은 0.32%(-) 감소했습니다.
2022년 3분기 판매량에서는 패션・잡화, 가전・디지털 부문의 수치가 늘어났습니다. 가전・디지털 부문의 방송횟수와 방송알람 설정수는 9월에 수치가 낮았지만 판매량은 가장 높았습니다. 또 방송횟수 수치보다 판매량 점유율이 높은 경우 효율성이 좋다고 볼 수 있는데, 이 효율성은 패션・잡화, 식품・건강, 화장품・미용 부문이 높았습니다.
2022년 2분기와 비교했을 때, 식품・건강 부문은 12.4%(+), 생활・주방 부문은 5.7%(+), 화장품・미용 부문은 0.7%(+), 가전・디지털 부문은 2.0%(+) 상승했지만 패션・잡화 부문은 18.6%(-), 여행・레저 부문은 0.23%(-), 유아・아동 부문은 0.32%(-), 보험 부문은 0.98%(-) 감소했습니다.
홈쇼핑 VS 티커머스
7월 방송 시청수는 홈쇼핑 52.3%로 티커머스보다 4.6% 더 높은 시청수를 보였습니다. 8월에는 티커머스 방송 시청수가 1.3% 증가해 격차가 2%로 줄어들었습니다. 9월에 다시 티커머스 방송 시청수가 0.2% 늘어나 격차가 줄어들었습니다. 점차 TV방송에서 모바일 라이브 커머스로 트렌드가 변화하는 만큼 홈쇼핑과 티커머스의 간격이 감소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2022년 3분기 '카테고리별 점유율'과 '홈쇼핑사와 티커머스'를 비교해 보았습니다.
다음 포스팅은 '카테고리별 판매량 트렌드'에 대해 전달드리겠습니다.
홈쇼핑 데이터, 광고, 제휴, 모바일 홈쇼핑 트렌드 솔루션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으시다면,
편하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문의 주소 : https://ad.buzzni.com/contact-ad
e-mail : ad@buzzni.com
홈쇼핑모아가 홈쇼핑 성공을 응원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