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4 완전정복 시리즈

GA4 필수 개념! 유입경로 탐색 보고서 맞춤 설정

오픈소스마케팅

2023.02.01 08:00
  • 2126
  • 콘텐츠에 ‘좋아’해줘서 고마워요 -
    0
  • 0

안녕하세요, 데이터 기반으로 성과를 도출하는 디지털 마케팅 컨설팅 팀, 오픈소스마케팅입니다.

 

지난 콘텐츠에서는 GA4 유입경로 탐색 보고서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하게 뜯어보았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내가 하고자 하는 분석 방향에 맞게 보고서를 커스텀 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GA4 유입경로 보고서 맞춤 설정하여 보기

 

날짜 설정하기

 

보고서를 만들 때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기준 날짜를 설정하는 것입니다.

 

 

 

날짜는 설정하는 것은 기본적으로 매우 간단합니다. 특히 이전 기간과 최근 기간 사이에 퍼널 전환율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변화가 생겼다면 비교 기능으로 그 수치를 확인해 보면 좋습니다. 다만 GA4 유입경로 보고서에서는 비교 설정 시 막대그래프가 누적되어 차트를 보는데 다소 어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세그먼트 설정하기

 

세그먼트는 쉽게 말해 사용자 그룹입니다. 직접 설정하는 것이 어렵다면 아래와 같이 미리 만들어진 세그먼트 템플릿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최근에 활동한 사용자

•  비구매자

• 구매자

• 최근 7일 동안 사라진 사용자

• 최근 7일 동안 사라진 구매자

• 7일간 알림을 받지 않은 사용자

 

세그먼트 이름에서 할 수 있듯 사용자를 특정한 조건에 따라 그룹으로 만드는 것을 세그먼트라고 하며, 맞춤 세그먼트 만들기로 직접 조건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GA4 맞춤 세그먼트 만들기

 

GA4 유입경로 보고서에서 맞춤 세그먼트를 만드는 화면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세그먼트의 이름을 작성합니다.

 

2. 세그먼트에 대한 간단한 설명을 작성합니다.

 

3. 새 조건 추가를 눌러 측정기준을 설정합니다.

ex1) 관심 분야가 여행/출장객 인 사용자

ex2) 첫 사용자 매체가 organic 인 사용자

 

4. 조건 그룹 추가를 설정하여 추가로 측정기준을 등록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먼저 설정한 측정기준과 새로 추가된 측정기준을 모두 만족해야 하기 때문에 세그먼트가 작아질 가능성이 큽니다.

 

5. 시퀀스 추가를 설정하면 측정기준 순서대로 발생하는 조건을 정의할 수 있습니다. 아래 예시처럼 설정된 순서대로 발생한 조건을 충족해야 하는 설정입니다.

    a. first_visit (첫 방문) 

    b. signup (회원가입)

    

    이처럼 순서뿐 아니라 단계가 충족되는 시간제한(예: 10분 이내 등)도 설정할 수 있습니다.

    

    1. 시퀀스 설정에서 우측의 시계 모양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2. 시간제한 토글을 활성화하고 다음 시간 이내 영역에 원하는 조건을 설정합니다.

 

6. 아래와 같이 조건 범위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a. 모든 세션

    b. 동일 세션 내

   c. 동일 이벤트 내

 

7. 설정한 모든 조건에 충족되는 세그먼트 사용자 수를 요약하여 보여줍니다. 설정한 기간 내 전체 사용자 중 세그먼트에 포함된 사용자 비율은 총 사용자 중 00% 영역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맞춤 세그먼트의 조건을 하나씩 설정하여 만들 수도 있지만, 우측 차트의 표 테이블에 우클릭하여 `사용자로 세그먼트 만들기` 혹은 `이탈수로 세그먼트 만들기` 기능을 이용해서 쉽게 세그먼트를 만들 수도 있습니다. 상황에 따라 편한 방법을 사용하면 좋습니다.

 

 

 

GA4 유입경로 보고서 측정기준 설정하기

 

측정기준은 GA4에서 가장 중요한 데이터라고 봐도 과하지 않습니다. 측정기준은 “어떤 데이터가 얼마나 쌓였는지 알고 싶어”에서 어떤 데이터에 해당합니다. GA4가 수집하는 기본적인 측정기준 외로 내 비즈니스에서 중요하고 고유한 정보를 수집하려면 반드시 맞춤 측정기준으로 등록해야 합니다. 

 

GA4는 사용자의 유입이 확인된 시점부터 브라우저를 사용할 때 수집되는 기본적이고 중요한 정보들을 자동으로 수집하는데 예를 들면 접속 기기 정보, 국가, 도시 등 위치 정보, 이전 페이지 url, 처음 방문한 source / medium 정보 등이 대표적이며, 이를 측정기준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GA4 유입경로 보고서에서 측정기준을 설정하는 이유는 유입경로 보고서의 단계별로 설정한 구간을 측정기준별로 나눠서 더 상세한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면 회원가입 > 장바구니 담기라는 단계를 설정했을 때, 측정기준으로 기기 카테고리를 넣어 단계를 수행한 사용자들의 모바일/PC 사용비율을 분리하여 볼 수 있습니다.

 

유입경로 보고서에서 측정기준을 설정하는 과정은 아래와 같습니다.

 

 

 

1. 내 GA4 속성에 등록된 측정기준 목록 중 보고 싶은 측정기준을 선택합니다.

 

2. 목록을 한 번에 펼치고 싶다면 우측 상단의 호환되는 열 모두 펼치기 를 클릭하세요.

 

3. 선택한 측정기준을 불러오려면 우측 상단의 가져오기 버튼을 눌러주세요.

 

4. 가져온 측정기준을 길게 클릭하면 우측에 측정기준을 내려놓을 수 있는 영역이 활성화됩니다.

    a. 세분화 : 유입경로 보고서 단계별 데이터를 측정기준에 맞춰 세부적으로 쪼개볼 수 있습니다.

    b. 다음 작업 : 설정 후 유입경로 보고서 단계별 막대그래프에 마우스를 올리면 해당 단계에 이어지는 다음 상위 액션 5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c. 필터 : 필터 영역에 불러온 측정기준을 올려놓으면 조건을 설정하여 데이터를 필터링할 수 있습니다.

 

 

 

GA4 유입경로 보고서 단계 설정하기

 

GA4에서 퍼널 분석 보고서를 보고 싶으신 분들이라면 이 기능에 주목해야 합니다. 단계 설정은 GA4 유입경로 보고서에서 가장 중요한 설정입니다. 

 

아래는 GA4 유입경로 보고서에서 단계 영역의 +버튼을 눌렀을 때 볼 수 있는 화면입니다.

 

 

 

1. 설정한 단계를 알아보기 쉽게 맞춤 이름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2. 단계에서 보고 싶은 이벤트 데이터를 불러오도록 설정합니다.

 

3. 이벤트에 매개변수를 추가하여 상세한 데이터만 가져올 수 있습니다.

 

4. AND 버튼을 눌러 단계를 새로 추가할 수 있습니다.

 

5. 이벤트에 매개변수를 추가했다면 어떤 조건으로 추가된 것인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6. 이전 단계를 수행한 후 다음 단계에 발생한 이벤트들에 시간 조건을 설정하여 볼 수 있습니다.

 

7. 각 단계를 설정된 상태로 복제 또는 이동시킬 수 있는 기능입니다.

 

8. 설정된 모든 단계를 순서대로 수행한 사용자의 수를 나타냅니다. 만약 마지막 단계까지 수행된 사람이 없다면 숫자는 0으로 표시되지만, 그 전 단계까지 수행한 사용자가 있다면 유입경로 보고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GA4 유입경로 보고서에서 단계가 집계되는 구조

 

마케팅 퍼널 보고서는 오픈퍼널과 클로즈퍼널이라는 두 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쉽게 말해 모든 단계를 순서대로 진행한 사용자인지 확인하려면 클로즈퍼널, 처음부터 단계를 순서대로 수행한 것은 아니지만 중간 단계부터 수행한 사용자의 수까지 포함하는 것은 오픈퍼널이라고 합니다. GA4 유입경로 보고서에서는 개방형 유입경로 만들기 버튼을 설정하여 이 두 가지 옵션을 설정할 수 있으며, 토글 스위치를 파랗게 만들면 오픈퍼널이고 회색으로 만들면 클로즈퍼널입니다.

 

쉬운 이해를 위해 구독형 B2B 비즈니스 서비스로 아래와 같은 단계별 사용자로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사용자 A,B,C,D는 각각 다른 행동패턴을 보입니다. 회원가입 완료라는 최종 전환 목표는 3개 이뤄냈으며, 4명 중 3명이라는 만족할만한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하지만 위에 설정된 것처럼 유입경로 보고서의 단계를 설정한다면 개방형 유입경로(오픈퍼널)인지, 폐쇄형 유입경로(클로즈퍼널)인지에 따라 아래처럼 서로 다른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폐쇄형 유입경로인 경우 - 클로즈퍼널

 

 

 

GA4 유입경로 보고서의 기본 유형은 클로즈 퍼널입니다. 예시처럼 회원가입 완료라는 전환이 3개 발생해도 첫 번째 단계부터 마지막 단계까지 모두 만족하는 사용자가 1명이기 때문에 마지막 단계에서 확인되는 사용자는 한 명입니다. 

즉, 설정한 모든 단계를 순서대로 거친 사용자만 퍼널 차트에 보여주기 때문에 직접 설정한 단계의 최종 결과 수가 너무 적다면 사용 경험에 맞지 않는 단계 설정일 수 있으니 단계를 설정할 때 사용자 경험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개방형 유입경로인 경우 - 오픈퍼널

 

 

 

폐쇄형 유입경로(클로즈퍼널)로 단계별로 모든 전환율을 보는 것도 중요하지만, 단계 설정에 따라 중간 단계에서 바로 유입되어 다음 단계로 전환되는 사용자도 많을 것입니다. 이때, 간단하게 개방형 유입경로 만들기 라는 기능을 사용하면 아주 쉽게 추가적인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단계별로 추가로 보이는 정보는 예시처럼 기존 클로즈퍼널에 +@ 로 누적되어 볼 수 있습니다.

 

 

 

비즈니스 별 GA4 유입경로 보고서 단계 추천 설정

 

웹사이트는 비즈니스의 목적에 따라 전환목적도 다르고 사용자들의 사용 경험도 매우 다릅니다. 심지어 비슷한 유형의 전자상거래 웹사이트나 B2B 웹사이트들도 사용자 경험에 따른 페이지 구조와 이벤트 구조에 차이가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GA4 유입경로 보고서를 만들기에 다양한 어려움을 겪는 분들이 참고해 보실만한 간단한 단계 설정을 추천해 드립니다.

 

 

 

전자상거래(이커머스) GA4 유입경로 보고서 단계 추천 예시

 

자연유입 방문자를 제외한 모든 사용자의 구매 전환 유입경로 확인을 위한 단계 설정

 

1. 자연유입 방문자를 제외한 총 사용자 (이벤트 : 첫 사용자 매체 / 매개변수 : organic 을 포함하지 않음)

2. 제품 상세 페이지 확인 ( 이벤트 : view_item) `이벤트 태깅 필요`

3. 장바구니 담기 ( 이벤트 : add_to_cart) `이벤트 태깅 필요`

4. 결제시작 (이벤트 : begin_checkout) `이벤트 태깅 필요`

5. 결제완료 (이벤트 : purchase) `이벤트 태깅 필요`

 

 

 

B2B 서비스 GA4 유입경로 보고서 단계 추천 예시

 

디스플레이 광고로 유입된 사용자의 온보딩 시작부터 회원가입완료까지의 유입경로 확인을 위한 단계 설정

 

1. 디스플레이 광고로 유입된 총 사용자 (이벤트 : 세션 매체 / 매개변수 : display와 정확하게 일치함)

2. 온보딩 프로세스 시작 (이벤트 : tutorial_begin) `이벤트 태깅 필요`

3. 온보딩 프로세스 완료 (이벤트 : tutorial_complete) `이벤트 태깅 필요`

4. 회원가입 완료 (이벤트 : sign_up) `이벤트 태깅 필요`

 

 

오랜 시간 유용하게 사용했던 UA가 정식으로 종료가 예고되며, GA4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많은 사용자가 어려움을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기존에 UA에서도 퍼널 보고서를 사용하지 않으셨던 분들도, UA에서 사용할 수 있었던 향상된 전자상거래 기능의 퍼널 보고서에 익숙하신 분들도 GA4의 유입경로 탐색 보고서의 달라진 모습이 낯설게 느껴지거나 더욱 어렵게 느낄 수 있는데요!

 

이 문서를 통해 GA4를 보다 유용하게 사용하시길 바라며, 직접적인 도움이 필요하신 분들은 언제든 오픈소스마케팅의 문을 두드려주세요!

 

  • #GA
  • #GA4
  • #유입경로 보고서
  • #데이터 분석
  • #마케팅 퍼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