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0
#미디어 트렌드 #커머스
📣 네이버, 1년 만에 ‘커머스 솔루션’ 유료화
네이버가 중소상공인(SME)에게 제공하는 ‘커머스 솔루션 마켓’ 서비스를 1년 만에 유료로 전환했습니다.
커머스 솔루션은 맞춤 상품 노출, 리뷰 노출 등 SME가 사업 규모를 키우고, 기술 스타트업으로 성장하는 데 유익한 관리 기술로, 네이버는 지난 해 초부터 내·외부 개발자와 기술 스타트업 등과 연합해 다양한 솔루션을 베타 서비스 차원에서 무상 제공해 왔습니다. 하지만 올 들어 주요 솔루션을 순차적으로 유료로 전환하는 동시에 솔루션 규모와 종류도 다양화하는 등 커머스 솔루션 제공 사업을 새 수익원으로 본격적으로 키우는 분위기인데요. 그간 무료로 제공하던 솔루션을 유료화 함에 따라 일부 스토어들의 서비스 이용 중단도 예상되지만 커머스 솔루션의 효과가 커 중장기적으로는 이용 스토어가 더 늘어날 것이라는 게 업계의 관측입니다.
#미디어 트렌드 #세대별
📣 유튜브와 OTT 이용률 세대별 차이 극명
60대 이상부터는 유튜브 외 ‘유료 구독형’ OTT 플랫폼인 넷플릭스와 티빙, 웨이브, 쿠팡플레이, 디즈니플러스 등 이용률이 현저히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70세 이상은 유튜브 이용률이 100%로 압도적이었습니다.
지난달 30일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이 최근 한국미디어패널조사를 바탕으로 ‘OTT 서비스 플랫폼별 이용행태 비교’ 보고서를 냈는데요. 이 조사는 8487명이 응했고, 복수 응답이 가능했습니다. 우선 모든 연령대에서 유튜브 이용률이 가장 높았습니다. 10대(94.3%), 20대(89.9%), 30대(93.1%), 40대(91.5%), 50대(95.4%), 60대(99.3%), 70세 이상(100%) 수치를 기록했습니다. 다음으로 많이 이용하는 OTT플랫폼은 넷플릭스였습니다. 20대는 다른 연령대와 비교했을 때 넷플릭스 이용률이 51.5%로 가장 높았습니다. 20대부터 40대까지는 OTT 플랫폼별 이용률 추이가 유사하지만, 20대의 경우 아프리카TV 이용률이 높다는 점에서 차이점을 보였습니다. 고령층의 유튜브 이용률이 가장 높은 반면 유료 구독 OTT 이용률이 현저히 낮았습니다. 60대의 유튜브 이용률은 99.3%를 기록했고 70대 이상 유튜브 이용률은 100%였습니다.
#업종별 트렌드 #식품
📣 식품업계, "찍혀야 뜬다"
식품업계가 주 소비층으로 떠오른 MZ세대를 잡기 위해 '인스타그래머블' 마케팅에 한창입니다. '인스타그래머블(Instagram+able)'은 '인스타그램에 올릴 만한'이란 뜻을 지닌 신조어로, SNS를 통해 일상을 공유하는 MZ세대의 문화를 뜻합니다.
인스타그래머블 트렌드가 MZ세대의 새로운 소비 기준으로 자리 잡게 되면서 식품업계는 이들의 취향에 맞춰 SNS에 업로드하기 좋은 트렌디한 감성의 팝업스토어를 통해 브랜드 경험을 제공하는가 하면 굿즈, 제품 패키지, 한정판 제품 등을 출시하며 눈길을 끌고 있습니다.
● 글로벌 위스키 아이콘 ‘시바스’가 압구정로데오에서 진행한 브랜드 팝업스토어 '시바스 리갈 길(CHIVAS REGAL GIL)’이 지난 2월 성황리에 마무리됐습니다.
● 롯데제과는 MZ세대 사이에서 높은 인기를 자랑하고 있는 캐릭터 '잔망루피'와 함께 봄 맞이 한정판 딸기맛 빙과를 선보였습니다. 이번에 선보인 딸기맛 제품은 ▲옥동자 딸기 ▲티코 딸기 ▲찰떡아이스 하트딸기 ▲셀렉션 더싱글딸기 등 총 4종이다.
● 배스킨라빈스가 캐릭터 ‘페코’와 손잡고 출시한 3월 이달의 맛을 기념해 ‘페코 캔디 디스펜서’를 굿즈로 선보였습니다.
➕ 인사이트 더하기 | 눈과 입이 즐거운 '요즘 디저트 트렌드'
🌞'어제 아침'으로 되돌아가기>
📣 네이버 스마트스토어 사업자, 인플루언서 제휴 쉬워진다
📣 '마케팅 영상생성 AI' 브이캣, 시리즈A 유치
📣 MZ세대 가장 관심있는 분야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