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편의점의 매거진

[콘.스.프] 👀아마존도 눈독 들인다는 시장은??

문화편의점

2023.04.10 08:00
  • 819
  • 콘텐츠에 ‘좋아’해줘서 고마워요 -
    0
  • 0


 

 

이주의 기획 상품      

 

💸NFT 거래가 자유로운 웹3 시대가 도래할까?

 

최근 미국의 인터넷 종합 쇼핑몰 ‘아마존’의 NFT 시장 진출이 임박 했다는 소식이 들려오기 시작했어요.

 

 

 

(출처=아마존)

 

 

아마존이 공식 계정을 통해 일부 회원을 대상으로 NFT 관련 서비스 제공 내용을 알리는 메일을 발송한 것인데요. 외신은 아마존이 빠르면 오는 4월 중으로 NFT 마켓플레이스를 선보일 것이라 예상하고 있어요.

 

💡 NFT 마켓플레이스란?

NFT를 생성, 저장, 공유하는 전용 플랫폼이자 사용자간 거래가 이루어지는 장이다. 대표적인 예시로는 대규모 자산을 제공하는 오픈씨(Open Sea) 등이 있다.

 

 

 

❓아마존의 NFT 마켓플레이스는 어떤 모습일까?

 

외신에 따르면 아마존의 NFT 마켓플레이스를 통해 고객은 구입한 NFT를 실제 상품에 연결할 수 있고, 실제로 배달까지 받아볼 수 있을 전망입니다.

 

 

 

이더리움(ETH) 등 가상자산(암호화폐)을 보관, 송금, 관리할 수 있는 지갑 '메타마스크'

 

 

뿐만 아니라 NFT 거래에 사용되는 ‘메타마스크’와 같은 가상 지갑 없이도 쉽게 NFT를 구매할 수 있는 형태로 서비스가 제공될 예정이에요.

 

시장 전문가들은 아마존이 이미 보유하고 있는 넓은 고객층과 전자상거래 인프라를 통해 NFT 마켓 구축 시 같은 시장 내 타사 대비 경쟁 우위를 점할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어요.

 

 

 

(출처=pixabay)

 

 

또한 아마존의 NFT 마켓플레이스 사업이 본격화될 경우, 수백만 명에 달하는 사용자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게 될 것이라는 분석도 있었습니다.

 

이렇듯 다양한 의견이 쏟아지고 있긴 하지만 외신, 전문가들의 추측일 뿐 아마존은 아직까지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는 것이 실상입니다.

 

 

 

📢 라인 넥스트: “웹3의 대중화를 이뤄내겠습니다!”

 

 

(출처=라인)

 

 

한편 라인의 글로벌 NFT 플랫폼 자회사인 ‘라인 넥스트’는 지난 30일 ‘라인 글로벌 웹3 사업 스터디 세션’을 온라인으로 진행했어요.

 

 

💡 Web3(웹3)이란?

암호화 기술을 기반으로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의 권리를 온전히 보장하여 데이터의 신뢰도를 확보하고, 플랫폼 종속 및 중앙 통제에서 벗어나는 차세대 인터넷 기술을 뜻한다.

 

최근 관심을 받는 인공지능(AI)이 웹의 생산성을 올리는 기술이라면, 블록체인은 웹 이익과 주권을 사용자들에게 나눠주는 기술이다. 

- 라인 넥스트 김우석 사업이사

 

 

라인 넥스트 김우석 사업이사(출처=한국경제)

 

 

김 대표는 그간 웹3가 대중화를 이뤄내지는 못했다고 말하면서, 실제로 주변에서 블록체인 서비스를 직접 쓰는 경우는 거의 없다며 지적했죠. 그러면서 NFT와 블록체인을 누구나 쉽게 쓸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웹3의 대중화를 이뤄내겠다는 포부를 밝혔어요.

 

지난 🔗루나-테라 사태를 인식해서인지 '제로 리저브(사전 발행 물량이 없는 상태)' 전략을 통해 **라인 블록체인 전용 화폐인 ‘링크(LN)’ 발행을 철저히 계획된 범위 내에서 조절하겠다**고 언급하기도 했죠. 🔗기사 더보기

 

 

 

💭 라인 넥스트가 그리는 NFT 플랫폼

 

모건스탠리는 블록체인이 지금과 같은 속도로 성장할 경우 2025년에는 약 5억 명의 사용자가 생겨날 것이라고 전망하기도 했습니다. 그렇다면 웹3의 대중화를 꾀하는 라인 넥스트의 NFT 플랫폼은 어떤 식으로 구성되어 있을까요?

 

 

1️⃣ 글로벌 NFT 플랫폼

 

 

(출처=라인)

 

 

지난 9월 출시한 글로벌 NFT 플랫폼 '도시(DOSI)'는 출시 5개월만에 주간 활성 월렛(가상 지갑) 이용자 수 100만명을 돌파** 했고 **NFT 누적 거래 건수는 25만건을 기록했어요.

 

‘도시’의 중심 전략은 ‘편리한 NFT 결제’인데, 암호화폐 뿐만 아니라 현금 등으로 쉽게 결제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접근성을 높였죠. 실제로 NFT 거래중 약 47%는 네이버페이와 신용카드로 이뤄졌다고 해요.

 

 

2️⃣ 팬덤 기반 NFT 플랫폼 (feat. YG)

 

 

에이바 속 첫번째 아티스트가 될 '트레저(Treasure)'(출처=YG)

 

 

‘에이바’에서는 사용자들이 직접 아티스트의 이미지 혹은 영상을 이용한 NFT를 만들 수 있어요. 이는 기존 팬덤 시장에서의 팬들이 직접 아티스트의 사진과 영상으로 2차 창작물을 만든 뒤 커뮤니티 등을 통해 가치를 재생산하는 활동과 접목된 서비스인 셈이죠.

 

 

3️⃣ 아바타 및 메타버스, 게임 플랫폼

 

 

(출처=라인)

 

 

이외에도 웹3 아바타 및 메타버스 플랫폼인 '알파크루즈', 게임 플랫폼인 '게임 도시' 등의 플랫폼들도 있는데, 모두 올해 2분기 내에 앱 혹은 마켓 베타서비스를 통해 공개될 예정입니다.

 

이더리움보다 400배 빠른 메인넷(핀시아)을 기반으로 아시아 1위, 글로벌 3위를 기록한 라인 넥스트의 NFT 플랫폼. 과연 목표대로 웹3 대중화와 함께 글로벌 1위 플랫폼으로 자리 잡을 수 있을지 그 귀추가 주목됩니다.

 

 


 

문화편의점은 점주님들의 이야기가 듣고 싶어요. 여러분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 건의사항 🚧

문화편의점 🔗위픽레터 🔗인스타그램에도 놀러 오세요. 더 많은 이야기가 기다려요.

  • #아마존
  • #NFT
  • #웹3
  • #라인 넥스트
  • #메타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