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의 기획 상품
숏폼 마케팅! 어디까지 왔나?
구독자님! 유튜브나 넷플릭스 보실 때 배속 설정하시나요? 콘텐츠 소비에 들어가는 시간을 줄이고자하는 니즈는 갈수록 증가하고 있어요. 숏폼이 그 니즈에 대한 정답이 될 수 있을 것 같은데요.
💡 숏폼이란?
1분 이내의 짧은 영상을 뜻한다. 인스타그램 '릴스', 유튜브 '쇼츠', 틱톡이 3대 숏폼 콘텐츠 플랫폼이다.
비단 MZ세대 뿐만 아니라 이제는 모두가 숏폼에 주목하고 있어요. 콘텐츠의 노출과 확산이 굉장히 빠르고 쉬울 뿐만 아니라, 길이가 짧다보니 제작 비용 측면에서도 가성비가 좋기 때문입니다. 또한 짧은 시간 안에 다양한 영상을 통해 생생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특장점이 있어 주요 마케팅 수단으로 활용 되기도 하죠.
😲편의점 콘텐츠가 1억뷰?
MZ세대가 주 고객층인 편의점 업계는 숏폼을 가장 활발하게 이용하는 업계 중 하나입니다.
(출처=각 사 홈페이지)
편의점 3사(GS25, CU, 세븐일레븐)는 각각 유튜브 채널을 운영 중인데요. 최근에는 ‘편텐츠(편의점+콘텐츠)’라는 신조어도 등장했어요.
유튜브 'CU [씨유튜브]'
특히 CU의 유튜브 콘텐츠 ‘편의점 뚝딱이’는 공개와 동시에 ‘인기 급상승 쇼츠’에 연달아 올랐고, 약 4개월 만인 이번 달 초 1억 조회수를 돌파하기도 했습니다. 지난 해 같은 채널에서 공개됐던 ‘편의점 고인물’ 콘텐츠에 이은 기록이죠.
📈숏폼으로 빌보드 진출한 신인 아이돌
케이팝 업계 또한 숏폼의 특성을 적극 활용한 프로모션 비중을 늘리고 있어요. 최근 컴백하는 아이돌들은 댄스 챌린지를 통해 신곡을 홍보하곤 하는데 그 영향력도 굉장히 큽니다.
'knock' 챌린지(출처=유튜브 'LEE CHAE YEON')
한편 신인 걸그룹 ‘피프티 피프티(Fifty Fifty)’의 사례가 눈에 띄는데요. 신곡 ‘큐피드(Cupid)’가 데뷔 약 5개월 만에 미국 빌보드 차트에 입성했고, 이는 K팝 역사상 최단 기록입니다. 영국 오피셜 차트에서의 성적은 더 높아요. 금주(5월 5~11일) 싱글 차트 톱100에서 9위를 기록했죠.
유튜브 'FIFTY FIFTY Official'
신인 걸그룹이 이렇듯 세계적으로 유명해지게 된 배경을 꼽아보면 1️⃣지난 몇 년 간 유행 중인 ‘신스팝’ 형태의 음악 2️⃣영어 버전 음원 3️⃣틱톡 배경음악으로의 활용 등이 있어요. 해외 틱톡 사용자들이 노래 가사나 분위기와는 상관 없이 ‘큐피드’ 음원을 사용하기 시작하면서 음악이 빠르게 확산 되었는데요. 특히 원곡 속도를 1.3~1.5배속한 버전인 ‘스페드’ 버전까지 큰 인기를 끌며 블랙핑크가 미국과 영국에서 세운 기록을 앞서게 됩니다.
트렌디한 음악, 영어 버전 음원, 숏폼 플랫폼. 이 3가지 요소가 시너지를 이뤄 좋은 성과까지 낸 사례이죠.
⚽스포츠 업계와 숏폼이 만나면?
스포츠 마케팅 또한 틱톡과 같은 숏폼 플랫폼을 활용하고 있어요. 대개 스포츠 경기 영상은 가로로 시청하는 것이 더 적합하다는 견해가 주를 이루는데요. 세로형인 숏폼의 경우 선수 개개인에게 초점이 맞춰지기 때문에 팬들과 더 생생하게 소통하고 팀을 널리 알리기 위한 매체가 될 수 있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닐슨(리서치 회사)에 따르면 특히 스포츠 콘텐츠는 페이스북이나 유튜브보다는 트위치나 틱톡을 통한 소비가 더 많이 이뤄진다고 하는데요. 최근 틱톡이 발표한 트렌드 리포트에는 스포츠 관련 해시태그 비디오 생성수가 작년 동기 대비 36배 증가했다는 내용도 있어요.
틱톡 'Jeonbuk Hyundai Motors FC'
틱톡 'Jeonbuk Hyundai Motors FC’
한편 ‘전북현대모터스FC’는 팬들과 소통하기 위해 틱톡을 활용하고 있어요. 실제로 국내 구단 중 가장 많은 틱톡 팔로워(약 48만여 명)를 보유하고 있기도 하죠.
틱톡 관계자는 "단순히 중계 방송을 보는 것이 아니라 선수들의 비하인드 영상 등에 열광하고 있다"며 "스포츠를 즐기는 방식이 다양하게 확장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이밖에도 커머스 업계의 경우 영상에서 바로 상품 상세페이지나 결제 화면으로 직접 이어질 수 있는 숏폼의 특성을 활용하고 있으며, 구글과 메타 등도 숏폼 영역을 강화시키는 추세입니다. 국내에서는 네이버와 카카오가 이미 다양한 분야에 숏폼을 적용 중이죠.
관련 상품
클릭하여 비슷한 주제의 다른 글을 확인하세요.
문화편의점은 점주님들의 이야기가 듣고 싶어요. 여러분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 건의사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