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의 아티클
필자는 회사가 재미있었다고 해요. 마치 ‘오늘은 누가 누가 더 이상한 일을 겪었을까’ 대회처럼 이상한 일들이 넘쳐났다고요.
AE에게 가장 중요한 덕목은 바로 ‘꼼꼼함’이라고 합니다. 많은 일이 동시다발적으로 돌아가고, 특히 막내 AE는 스케줄, 비용, 파일 등을 다 잘 챙겨야 하기 때문에 꼼꼼함이 가장 중요하다는 거죠.
또한, 작은 수정부터 아예 틀을 바꿔버리는 수정까지, 수정의 한계는 없기에 지나간 파일들을 절대 버리지 않고 가지고 있는 것도 필요합니다.
글 : 재완 방송국 마케터
광고대행사는 주로 이럴 때 바쁘다 😵
일단 연말 연초가 가장 바쁘다. 연초에 신제품을 론칭하거나, 브랜드 PR 광고를 하는 광고주가 많기 때문에 연말은 경쟁 PT가 가장 많은 시즌이다. 11월 정도부터 PT를 준비하고 실제 온에어하는 연초까지 일이 끊이지 않았다.
“재완 씨, 이번 연말 TF야.”
입사 후 처음 소집된 연말 TF. 당연히 경쟁 PT의 TF인 줄 알았는데, 소환되자마자 내가 한 일은 교보문고에 가서 <오즈의 마법사> 동화책을 산 뒤 한 장 한 장 스캔하는 일이었다. 스캔한 후에는 도로시의 얼굴에 광고주 얼굴을 합성했다. 그렇다, 내가 맡은 TF는 연말 광고주와의 송년회 준비 TF였다.
광고주가 광고의 신을 찾아 떠나며 한 명 한 명의 멤버들을 만나는(도로시는 광고주 상무였고, 멤버들은 광고주 팀장이었다.) 이야기는 마지막에 내가 속한 광고대행사 상무님을 만나며 해피 엔딩으로 끝났다. 광고대행사에서 1년 중 가장 바쁜 연말에 나는 광고주 얼굴을 한 장 한 장 동화책에 합성하고, PPT로 슬라이드 쇼를 만들고, 광고주별 맞춤 선물도 다 준비했다. 그리고 이 연말 송년회는 매해 이뤄졌고, 나는 퇴사 전까지 3번 정도 회식 TF를 했었다.
그리고 또 명절 전후로 바쁘다. 가전 제품, 건강 식품, 생활 용품, 화장품 등 명절에는 모든 제품이 광고를 하고 세트 상품들이 나온다. 간단한 온라인 광고부터 지면 광고, TV CF까지 자잘한 일부터 큰 건까지 끊이지 않는다. 그리고 광고주의 실적을 올려주기 위해서도 바쁘다.
“이거 샴푸 세트 네이버 최저가보다 비싼 거 같은데?”
“참치 세트 지난 추석에 산 것도 아직 남아있는데…”
우리 회사에 무슨 광고주가 있는지 언제 뭘 따왔는지 전혀 모르고 관심도 없었는데, 명절이 되면 사내 게시판에 올라오는 명절 세트 덕분에 세세하게 알게 된다. ‘아, 여전히 이 샴푸랑 치약 우리랑 하는구나’ ‘참치랑 스팸도 있네’ ‘아웃도어 제품도 판매하네’ 등 게시판을 둘러보며 주로 동기가 담당하는 제품들을 사게 된다.
“이거 2개씩 할당이다”
아예 구매해야 하는 할당이 내려올 때도 있었다. 생활 용품 할당은 그래도 쓰고 사라지는 제품이니까 괜찮았는데, 가전 제품 할당이 내려왔을 땐 좀 당황스러웠다. 내가 쓰지도 않을 20만 원짜리 제품을 2개씩이나 사야 하다니, 아무리 을이라지만 너무한 거 아니냐며 울컥했지만 팀장님은 본인은 3개 이상 사야 한다며 더 억울해했다. 결국 나도 더 이상의 할 말을 잃은 채 바로 중고거래 사이트를 접속했다. 포장도 뜯지 않은 새 제품들이 갑자기 중고 거래로 우르르르 올라온다면, 할당으로 제품을 산 광고회사 직원들이 내놓는 것일지도 모른다. 😇
또 언제가 바쁘냐면 봄에 바쁘다. 가정의 달, 다른 말로 하면 ‘소비의 달’이 있기 때문이다. 가정의 달을 준비하는 광고들이 초봄부터 준비가 들어가기 때문에 바빠진다. 특히 냉장고, 세탁기, 정수기 등 백색가전 담당이었던 나는 그때가 제일 바쁠 때였다. 가정의 달 행사 광고, 신혼부부 타깃 광고들이 TV CF부터 온/오프라인 지면 광고까지 정말 많았다. 그나마 김치냉장고는 내 담당이 아니라 가을 준비는 안 해도 돼서 얼마나 다행이었던지.
가정의 달이 지나가면 여름 휴가철을 맞이한 워터파크와 여행사 광고가 오고, 여름이 지나가면 추석이 되고, 추석이 지나가면 다시 연말이 되고 연말이 지나가면 다시 구정이 오고, 구정이 지나면 다시 봄이 되고. 이 정도가 광고대행사에서는 바쁜 시즌이다.
AE의 가장 중요한 덕목은 ‘꼼꼼함’ 🔍
대체로 사계절이 다 바쁜 AE에게 가장 중요한 덕목은 바로 ‘꼼꼼함’이라고 생각한다. 많은 일이 동시다발적으로 돌아가고, 막내 AE는 스케줄, 비용, 파일 등을 다 잘 챙겨야 하기 때문에 꼼꼼함이 가장 중요하다. 나의 첫 사수는 정말 꼼꼼한 스타일이라 비즈니스 메일 쓰는 방법부터 PC 폴더 정리까지 세세하게 가르쳐 줬다.
‘내가 자리를 비웠을 때 누가 갑자기 내 PC를 열어 파일을 찾더라도 바로 찾을 수 있을 만큼 폴더와 파일명이 보기 쉽게 정리되어 있어야 한다’가 그의 지론이었다. 프로젝트별 파일이 섞이면 안 되고, 어떤 순서로 수정되었는지 히스토리도 중요하기 때문에 모든 걸 폴더로 나눠 정리하게 가르쳤다. 그의 가르침을 받아 나는 지금도 폴더 정리를 강박적으로 많이 하는 편이다.
“지난번인가, 지지난번인가 시안이 더 나은 거 같은데, 지금 볼 수 있나?”
그 폴더 정리가 빛을 발한 때가 있었다. 몇 차례 수정한 광고 시안을 보고하러 간 자리였고, 내 노트북을 프로젝터에 연결해 다 같이 보고 있었다. 광고주 상무님이 갑자기 이전 시안들을 보고 싶다고 하자, 나는 바로 파일을 찾았다. 다만 폴더를 너무 세분화한 탓에 바탕화면에서 회사 업무 폴더로, 광고주별 폴더로, 연도별 폴더로 다시 들어가고, 그중 프로젝트 폴더로 들어가, 또 월별 폴더에서 진행 중과 완결 건 중 진행 중 폴더로 들어가 이전 파일을 찾아야 했다. 클릭만 한참 하고 있자니 광고주 상무님이 한마디 했다.
“재완 씨, 일이 너무 많은 거 아냐?”
수많은 폴더 사이에서 혹시 욕이라도 쓴 파일명이 나올까 봐 긴장해서 클릭하던 나는 그의 말에 민망한 웃음이 터졌고, 주변 사람들도 다 같이 웃음이 터졌다. 그 덕에 보고 분위기는 조금 부드러워졌고, 일이 많은 나를 위해 수정사항도 기존 시안을 조금 변형하는 걸로 마무리됐다. 이 외에도 실제로 연차일 때 다른 사람들이 내 PC에서 예전 보고 파일 등을 찾을 때가 종종 있었고, 그럴 때마다 칭찬을 받았다. 그리고 깔끔한 폴더와 파일 정리는 내가 일할 때도 훨씬 편하다.
아무리 꼼꼼하고 완벽하게 보고해도,
결과물은 내 마음대로 되지 않는다
수많은 폴더 정리와 지나간 파일들이 중요한 이유는 광고가 한번 나올 때까지 수정을 정말 많이 하기 때문이다. 아주 자잘한 수정부터 아예 틀을 바꿔버리는 수정까지, 수정의 한계는 없기에 지나간 파일들을 절대 버리지 않고 가지고 있는 것이 중요하다.
빌트인 가전 지면 광고를 할 때는 이런 일도 있었다. 빌트인 광고는 세팅이 어려워 새로 촬영을 잘 하지 않았다. 예전 광고 사진에 일부만 합성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때도 냉장고만 최신 제품으로 합성하는 작업이었다. 1차 시안을 보낸 이후로 이어진 수정들은 아래와 같다.
💙 뒷 이야기가 궁금하다면? 클릭하고 전체 아티클 이어 읽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