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상세 광고 이미지

Insight

식품 앱 활성화 전략 (Feat. 성장형 게임)

포뉴어 for newer

2024.06.13 17:00
  • 562
  • 콘텐츠에 ‘좋아’해줘서 고마워요 -
    0
  • 1

 


 

"성장형 게임 도입을 통한 식품 앱 활성화 전략"

 

운영 중인 식품 앱에서 지난 번에 도입을 준비하고 있던 앱 성장형 게임이 내부적인 이슈로 좀 미루어졌다가 이번 달부터 라이브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앱 성장형 게임은 올웨이즈의 올팜, 컬리의 마이컬리팜 등 이미 몇몇 기업에서는 앱 유입 및 지속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해 활용하고 있는 분야인데요.

 

올팜에서 시작해서 컬리, 토스 등이 성장형 게임을 활용하는 이유는 실제 거래량과 평균 사용 시간 증가로 이어지는 뚜렷한 성과가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해당 기능을 도입했다고 앱이 바로 활성화되는 것은 아닙니다. 

기존 고객을 대상으로는 바로 반응이 나올 수 있지만, 실질적인 앱 활성화를 위해서는 신규 유입을 만들어내는 것이 중요합니다.

 

저희도 해당 기능을 도입 후 신규 유입을 위한 캠페인을 준비하고 있는데요. 신규 유입을 만들어내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있겠지만 우선, 광고를 활용해볼 예정입니다.

 

-------

 

1) 광고 플랫폼 : 메타

(*단일 플랫폼에서 테스트 후 성과에 따라 미디어 믹스 예정.)

2) 캠페인 목적 : 앱 설치수 극대화

3) 광고 예산 : 일 10만원

(*예산 설정은 CBO 방식으로 진행하고, 일반 전환이 아닌 앱 설치 캠페인은 처음이라 머신러닝 단계가 필요하다고 생각해서 성과 파악해보면서 증액할 예정.)

4) KPI
- 앱 설치수 극대화
- CPI 2,000원 미만
- 앱 설치 후 구매 전환 비율 40% 이상
5) 광고 소재 컨셉

- 앱 성장형 게임 메인

- 최종 보상 메인

 

광고 소재를 기획하는데 있어서 컨셉은 2가지로 정리를 했는데요.

 

첫 번째는 앱 성장형 게임 자체를 메인으로 진행하는 것입니다. 해당 부분은 실제 게임을 이용하는 화면에서 보상, 혜택, 게임 방식 등을 녹화하여 게임 자체에 대한 내용을 소구점으로 잡아가는 것이고,

 

두 번째는 성장형 게임의 경우 일정 목표에 도달하면 혜택(상품,쿠폰 등)을 제공하는 것으로 유입 및 활성화에 활용하기 때문에 최종 보상으로 제공하는 혜택을 메인으로 진행하는 것입니다.

 

저희는 식품 쇼핑몰이다보니 일정 레벨에 도달하면 사용자가 선택한 보상(*상품)을 무료로 보내주는 형태로 진행할 예정입니다. 즉, 게이미케이션에 리워드 형태를 추가한 방식이라고 봐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또한, 해당 소재들은 모두 영상 소재로 제작할 예정이며 각각 컨셉마다 다른 디자인 업체에 요청하여 2개씩 제작하여 테스트 해볼 예정입니다.

 

------

 

이커머스 분야가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고는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신규 유입을 만들고 리텐션을 증가시키는 것에 대한 장벽이 높아지고 있다는 것을 크게 느끼고 있다보니 락인(lock-in)은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고 있는 시기인 것 같습니다.

 

앱 성장형 게임을 도입하는 것에 대한 접근성이 <이벤트키키>를 통해 상당히 좋아졌다는 점에서는 정말 놀랍고 만족스럽지만, 앞으로 보편화가 이어짐에 따라 해당 기능만으로는 경쟁력을 갖을 수 없게 될 것을 알기에 운영에 대한 고민은 다양하게 해보고 있는 상황입니다.

 

오늘은 앱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 "앱 성장형 게임"의 운영 및 광고 기획에 대한 내용을 작성해봤습니다.

 

이후에는 운영 및 광고에 대한 데이터 분석을 통해 KPI 검증, 성과 분석, 운영 방향성에 대한 내용을 다루어보도록 하겠습니다:)

 

  • #앱 활성화
  • #버티컬커머스
  • #앱 마케팅
  • #앱 광고 전략
  • #앱 유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