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데이터 마케팅 전문 에이전시
지아이코퍼레이션 입니다.
이번에는 구글태그매니저(GTM)에서
정규식 표 변수가 무엇인지
어떻게 활용하면 좋은지 안내드리겠습니다.
페이지 제목, 왜 중요할까요?
기본적으로 애널리틱스에서
측정기준 '페이지 제목'을 걸었을 때,
어떠한 페이지를 조회하고, 페이지 체류시간 등
쉽게 구별이 가능합니다.
맞춤 보고서를 통해 '페이지 경로' 또는
'페이지 위치' 측정 기준으로 페이지를
구별할 수도 있습니다.
다만,
아래와 같이 어떠한 페이지인지
직관적으로 확인 가능한 측정기준은
역시 '페이지 제목'입니다.
참고로, 페이지 제목은
브라우저 상단에서 쉽게 확인 가능하며,
HTML 헤드 영역 title 값에서도 확인 가능합니다.
페이지 제목 구별이 되지 않을 때?
페이지 제목을 설정하는 건
결국 사이트를 개발하고 관리하는 개발자 혹은
IT 부서에서 진행하곤 합니다.
따라서, 페이지 제목은 결국 담당자가
메뉴명 혹은 페이지의 성격에 맞게 지정을
해줘야 한다는 얘기가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간혹 리소스상을 이유로
페이지 제목을 브랜드명으로만 통일해서
운영하는 사이트도 있곤 합니다.
https://www.heydealer.com/
헤이딜러를 예시로, 메인 페이지
그리고 이력 찾기, 자주 묻는 질문 탭을
클릭할 경우 페이지 제목이 동일합니다.

이럴 경우, 처음에 안내드린 바와 같이
애널리틱스 내 측정 기준 '페이지 제목'에서는
[헤이딜러 - 중고차 세로고침]으로 입력되겠죠.
물론 지금의 예시는 3개 페이지이니
페이지 경로, 페이지 위치로 쉽게 구별되겠지만,
URL이 시퀀스 넘버링으로 되어있거나
그 수가 너무 많다면
페이지 분석이 매우 어려워집니다.
페이지 제목 맞춤 설정 예시
구글애널리틱스에서 헤이딜러와 같은
케이스를 확인했습니다. 페이지 경로는
시퀀스 넘버링으로 구별되어 있으나
페이지 제목은 공식 사이트로 모두 일치합니다.
따라서, 위와 같이
해당 페이지에 진입할 때,
제가 임의로 설정한 페이지 정보가
애널리틱스 데이터로 수집되도록 설정했으며,
어떠한 차종(mobility) 페이지를 많이
접속하는지 확인 가능합니다.
GTM & GA4 설정하기
1) 구글태그매니저(GTM) 변수 설정에서
사용자 정의 변수로 접근합니다.
그리고 변수 유형을 '정규식 표'로 진행합니다.
정규식 표에 익숙하지 않으신 분은
'참고표'로 진행해 주셔도 무방하나,
데이터 분석을 뎁스 있게 진행하시려면
정규식 숙지를 권장 드립니다.
2) 입력 변수는 페이지에서
구별 가능한 URL로 설정해 주세요.
그리고 정규식을 활용한 패턴과 출력값을
설정해 줍니다. 각 용어에 대한 설정은 아래를
참고해 주세요.
✅변수 : 구별하려는 기준
✅패턴 : 변수가 해당하는 조건
✅출력 : 원하는 값(결과물)
3) 새로 생성한 해당 변수를 참고하여
GA4로 데이터를 쏘는 태그를 생성합니다.
저는 특정 URL의 페이지뷰가 로드될 때(트리거)
enter 이벤트와 같이 제가 설정한 커스텀 정보가
같이 GA4로 전달되도록 설정했습니다.(매개변수)
4) GA4에서 맞춤 측정 기준을 설정합니다.
맞춤 측정 기준의 이름과 매개변수는
구별하기 쉽게 태그매니저에서 설정한
사용자 정의 변수와 통일해 주시면 됩니다.
이후에 데이터가 축적되고 난 뒤
측정기준에 보시면 'pageTitleCustom' 이
새로 생성되어 있고, 구글태그매니저(GTM)
사용자 정의 변수에서 기재한
'출력' 값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앞서 기재한 페이지 제목 맞춤 설정 예시를
다시 한번 확인해 보시면서
이벤트명 + 맞춤 측정기준 그리고
이벤트 수로 데이터를 확인해 보세요!
지금까지 구글태그매니저(GTM)
정규식 표를 활용한 변수 설정
그리고 GA4에서 맞춤 측정기준을
세팅하는 방법 등을 안내하였습니다.
해당 정규식 표를 활용할 경우,
단순히 페이지 제목을 구별하는 역할 외에도
페이지 카테고리 혹은
버튼 유형을 설정하는 등
다양하게 디벨롭하실 수 있습니다.
다음에도 더 유익한 콘텐츠로
찾아뵙겠습니다!
▲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지아이코퍼레이션 웹사이트로 이동합니다.▲
※ 데이터 기반의 퍼포먼스 마케팅 관련 문의사항은 웹사이트를 통해 문의하시면 빠르게 상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