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애 프로그램(연프)’ 인기가 지속되면서 특정 인물·상황에 대한 생각이나 분석을 담은 2차 콘텐츠의 유행도 이어지고 있죠. 연프와 현실 연애를 비교하며 인간관계 또는 연애 스타일에서 배울 점을 찾고, 연애에 대한 다른 사람들의 인식이 어떤지 파악하고자 하는 니즈가 관측됩니다.
대학내일20대연구소는 3개월 이상 연애 경험이 있고 현재 연애 중인 전국 19~39세 남녀 500명을 대상으로 ‘2030 남녀의 연애 관련 인식 및 행태 설문조사’를 실시했습니다. 이번 조사는 지난 2월 14일부터 18일까지 5일간 대학내일20대연구소의 리서치 서비스인 ‘라이트 서베이’를 통해 진행됐어요.
✅ 2030 남녀가 말하는 소개팅·썸·고백 트렌드는?
이번 조사에서 현재 연인을 처음 만난 경로 1위는 ‘소개팅(25.8%)’으로 나타났어요. 그다음으로 학교·학과(21.4%)와 직장(16.4%)에서 연인을 처음 만났다는 응답이 뒤를 이었습니다. 연령별로 보면 20대 초반(19~24세)의 응답률 3위는 SNS 채널(7.3%)인 반면, 30대 초반(30~34세)과 30대 후반(35~39세)의 3위는 데이팅 전용 앱(각각 10.3%, 10.5%)으로 나타나 차이를 보였어요. 30대 후반의 경우 데이팅 전용 앱과 함께 ‘우연한 만남(10.5%)’이 공동 3위였고요.
본격적인 교제 전 썸 기간은 1개월(45.6%)을 꼽은 비율이 가장 높았습니다. 소개팅·미팅 이후 본격적인 교제를 하기 전까지 최소 만남 횟수는 3회(48.0%)를 꼽은 응답이 가장 많았고요. 소개팅 이후 세 번째 만남에서 고백한다는 이른바 ‘삼프터의 법칙’이 작용한 것으로 추측돼요.
✅ 연애 대상으로 최대 몇 살 연상·연하까지 가능할까?
2030 남녀는 위아래로 몇 살까지 연애 대상으로 보고 있을까요? 이번 조사 결과, 연령대와 성별 차이가 두드러졌어요. 먼저 연인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연상의 나이를 살펴보면 20대 남성은 2살 연상(23.2%), 20대 여성은 5살 연상(26.4%)이 1위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30대 남성은 연상이 아닌 동갑(16.8%)을 꼽은 응답이 가장 많았고, 30대 여성은 5살 연상(24.8%)까지 연인으로 수용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어요.
연하의 경우 20대 남성은 5살 연하(25.6%)가 1위였고, 20대 여성은 연하가 아닌 동갑(24.7%)을 꼽은 응답이 가장 많았어요. 30대 남성은 10살 연하(19.2%)가 1위로 나타나 연인으로 받아들이는 연하의 나이 폭이 가장 넓었으며, 30대 여성은 5살 연하(24.0%)까지 연인으로 수용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습니다.
✅ 선호하는 데이트 비용 스타일, ‘더치페이형 연인’ vs ‘총무형 연인’
연애 스타일 선호도에 대해서는 성별 차이가 돋보였어요. 우선 일상 공유 스타일에 있어서 2030 남성은 ‘사생활을 존중하며 최소한으로 공유하는 연인(48.0%)’과 ‘모든 일상을 자세히 공유하는 연인(52.0%)’을 선호한다는 응답이 팽팽하게 나타났습니다. 반면 여성은 ‘일상 공유형’ 연인(68.4%)을 선호한다는 응답이 ‘사생활 존중형’ 연인(31.6%)보다 2배 이상 높게 나타나 눈길을 끌었어요.
데이트 비용의 경우 남성은 ‘공평하게 나누는 연인(78.8%)’에 대한 선호도가 ‘전적으로 담당하는 연인(21.2%)’을 압도했습니다. 여성은 ‘더치페이형’ 연인(56.8%)에 대한 선호도가 ‘총무형’ 연인(43.2%)보다 다소 높았고요. 이외에도 연락 스타일 및 감정 표현 스타일에 관한 연령대·성별 데이터는 웹리포트를 통해 무료로 확인할 수 있어요.
✅ 연인과 충돌하는 이유 : 30대 남성 ‘경제관’, 20대 여성 ‘연락 빈도’
2030 남녀에게 현재 연인과 자주 의견이 충돌했던 영역을 물어본 결과, 1위는 ‘생활 습관(32.2%)’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어 ‘전화·문자 연락 빈도(30.2%)’, ‘스킨십 및 애정표현 방식(28.6%)’ 순이었어요.
다만 연령대 및 성별 응답을 보면 차이가 두드러졌습니다. 30대 남성은 ‘경제관(저축, 소비 습관 등)(31.2%)’, 30대 여성은 ‘생활 습관(식습관, 수면 패턴 등)(37.6%)’, 20대 여성은 ‘전화·문자 연락 빈도(40.0%)’가 각각 1위였어요. 또한 30대 남성은 ‘결혼·자녀 계획(19.2%)’, 30대 여성은 ‘스킨십 및 애정 표현 방식(35.2%)’과 ‘취미·관심사(23.2%)’, 20대 여성은 ‘이성 친구·지인 관계(30.4%)’를 갈등 영역으로 꼽은 응답이 전체에 비해 돋보였습니다.
월 평균 데이트 비용, 연애하면서 받아 본 최고의 선물, 현재 연인과 자주 사용하는 앱 등 연인과의 소비 현황과 연애 프로그램 시청 행태도 살펴봤는데요. 자세한 내용은 아래 콘텐츠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하단 배너를 클릭하면 콘텐츠로 연결됩니다.
▼ <연프 VS 현실 연애, 2030 남녀의 연애 리포트> 콘텐츠 보러 가기 ▼
이 밖에도 대학내일20대연구소는 ‘2030 남녀의 연애 관련 인식 및 행태 설문조사’를 통해 연애 경험 관련 인식과 연애 콘텐츠 관련 인식 및 시청 행태, 연애 생활 및 소비 행태 등을 파악했습니다. 보다 상세한 결과는 ‘라이트 서베이’ 웹리포트를 통해 무료로 확인할 수 있어요. ‘라이트 서베이’는 20문항 이내의 간단한 설문조사가 필요할 때 전문 연구원이 문항 설계부터 조사 진행, 결과 분석까지 대행하는 서비스로, 신속하게 소비자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 ‘라이트 서베이’에 대한 정보는 하단 소개서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