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상세 광고 이미지

오늘아침

카카오톡 15주년, AI 메신저로 진화할까? / 넷플릭스·티빙 광고요금제 1년, 판 달라졌다

오픈애즈

2025.03.24 06:00
  • 371
  • 콘텐츠에 ‘좋아’해줘서 고마워요 -
    0
  • 1

3월 4주차세상의 트렌드와 마케팅 인사이트를 전합니다.

 

 

 

 

#미디어 트렌드 #카카오톡

📣 카카오톡 15주년, AI 메신저로 진화할까?

 

카카오톡이 출시 15주년을 맞아 AI 메신저로 진화할 계획이라고 해요.

카카오는 AI 기술을 활용해 메시징 기능과 콘텐츠 제작을 강화하며, 초기에는 전문 콘텐츠 제공자를 중심으로 운영한 뒤 점차 AI 생성 콘텐츠(AIGC)까지 확대할 예정입니다. 이를 통해 AI와 사용자가 함께 콘텐츠를 제작·공유하는 플랫폼으로 발전하는 것이 목표인데요. 카카오는 AI 기술과 인프라 구축에 적극 투자하고 있으며, 새로운 기능 도입을 통해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고자 해요. 또한, 카카오톡을 단순한 메신저가 아닌 AI 기반의 콘텐츠 허브로 발전시키기 위해 다양한 실험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AI 챗봇, AI 기반 추천 시스템 등 사용자 맞춤형 기능을 강화하는 것도 주요 전략 중 하나입니다.



 

 

 

 

 

#비즈니스 #OTT

📣 넷플릭스·티빙 광고요금제 1년, 판 달라졌다

 

넷플릭스·티빙 등 복수 OTT 사업자가 광고요금제를 도입한 지 1년이 지났습니다. 광고요금제는 넷플릭스·티빙 매출 성장을 이끌고 있으며 쿠팡플레이도 콘텐츠에 광고를 삽입하는 것을 준비 중이라고 해요. 하지만 이용자에게 적정 수준의 광고를 제공하고, 광고주에게 광고효과를 줘야 한다는 과제도 남아있어요.

광고요금제는 OTT 성장을 이끌고 있는데요. 넷플릭스의 경우 지난해 한국·미국·일본 등 12개국 신규가입 이용자 55%가 광고요금제를 선택했다고 해요. 티빙의 지난해 매출은 전년도 대비 33.4% 증가한 4353억 원인데, 광고요금제가 매출 상승의 주요 요인으로 꼽혔죠. 지난해 상반기 기준 티빙 신규가입 이용자 30~40%가 광고요금제를 선택했습니다. 그러나 광고 삽입이 시청 경험을 방해할 수 있어 소비자 반응이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어요. 광고형 요금제가 OTT 시장의 새로운 표준이 될지, 기존 무광고 모델과 어떤 균형을 이룰지가 주목됩니다.




 

 

 

 

#업종별 트렌드 #크리에노믹스

📣 K뷰티+인플루언서...'크리에노믹스' 급부상

 

K뷰티와 인플루언서 마케팅이 결합한 ‘크리에노믹스’가 떠오르고 있습니다.

크리에노믹스는 크리에이터(창작자)와 이코노믹스(경제)의 합성어로, 인플루언서가 제품 기획부터 마케팅, 판매까지 전 과정에 직접 참여해 수익을 창출하는 경제 모델이에요. 최근 K뷰티 시장에서는 인플루언서가 개인 브랜드를 론칭하거나 기존 브랜드와 협업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으며, SNS를 활용한 직접 판매와 마케팅이 강화되고 있다고 하는데요. 소비자들은 인플루언서의 신뢰도를 기반으로 제품을 구매하는 경향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기업들도 크리에이터와의 협업을 적극 추진하는 분위기예요. 이러한 변화는 기존 브랜드 중심의 시장 구조를 변화시키고 있으며, 앞으로 K뷰티 업계에서 더욱 확대될 전망입니다.



 

 

 

 

 

🌞 '지난주 아침'으로 되돌아가기


📣 끝나지 않는 '숏폼 열풍'…OTT보다 사용시간 7배 많아

📣 전방위로 지출 줄이는 소비자, 연이어 나오는 짠내 마케팅

📣 뜨거워진 건기식 시장...다이소 이어 편의점업계도 동참

  • #오늘아침
  • #카카오톡
  • #OTT
  • #크리에노믹스

추천 콘텐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