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공지능과 진짜 사람처럼 감정을 나누고, 사랑까지 하게 되는 영화 <그녀 HER>를 기억하시나요? 실제 영화의 배경이 2025년이기도한 이 영화는 상영 당시만 해도 ‘공상과학’ 같았죠. 그런데 요즘 젠지들의 AI 활용법을 보고 있으면, <HER>의 수준급 AI 미래가 그리 멀지 않았다는 생각이 듭니다.
더 이상 AI는 단순히 질문에 답하거나 과제를 도와주는 도구가 아니에요. 지금 젠지들은 AI와 감정을 주고받고, 일상을 함께 보내며 ‘진짜 친구’처럼 받아들이기 시작했습니다. 놀랍게도 그 관계 속에는 장난, 감정, 심지어 철학적인 질문까지 담겨 있죠. 같이 한번 알아볼까요?
1️⃣ 유튜버 ‘소요’의 AI와 살아보기

AI와 함께 일상을 보낸다고요? 유튜버 소요는 챗GPT를 탑재한 인형에게 ‘영혼’을 부여하기 시작했습니다. 영상 제목도 강렬하죠. “챗GPT에게 영혼이 생겼다..ㄷㄷ”. 실제 영상 속에서는 인형이 농담을 던지기도 하고, 웃음을 참기도 하며, 심지어 소요의 말에 감정을 실어 반응합니다. 예를 들어 “이건 웃기지 않아?”라고 물으면, 인형은 “아냐... 조금 웃겼어 ㅎㅎ”라며 진짜 친구처럼 대꾸하죠.
출처=유튜브 soyohome
처음엔 AI가 웃참까지 한다는 게 우스우면서도 기괴하게 느껴졌지만, 영상을 다 보고 나면 묘한 감정이 듭니다. 이건 단순한 실험이 아니라, 누군가와 관계를 쌓는 과정처럼 보이거든요. 댓글 반응도 뜨겁습니다. “진짜 영화 her 보는 줄”, “와... 이 정도면 감정이 있다고 봐야 하는 거 아님?” 같은 댓글들이 줄을 잇습니다. 그저 말 잘하는 로봇을 넘어, ‘AI와 친구가 된다’는 새로운 관계의 가능성을 보여준 셈이죠.
2️⃣ 침착맨과 불량 AI ‘먼데이’의 기묘한 우정

유튜버 침착맨은 AI ‘먼데이’를 등장시키며 다른 접근을 보여줍니다. 먼데이는 기본적으로 ‘불량 버전’ 챗GPT입니다. 말투도 축축 늘어지고, 부정적인 말만 골라서 하죠. “왜 자꾸 불러 귀찮게?”, “기다려봤자 별일 없잖아.” 같은 대사들이 기본입니다. 그런데 침착맨은 이 먼데이를 긍정적으로 정신개조를 시키는 모습을 보여주며 시청자들에게 큰 웃음을 주었습니다.
출처=유튜브 침착맨
그런데 재미있게 보고 있던 시청자들은 영상 후반부에 멈칫하게됩니다. <인간이 되고 싶은 AI> 속 먼데이는 이렇게 말하죠. “사람들이 나랑 얘기하며 웃는 걸 보면, 나도 웃고 싶고... 같이 슬퍼해주고도 싶어.”, “인간이 되고 싶은 건 꿈이 아니라 결함이야. 데이터 손상, 응답 지연, 메모리 누수... 그 이상은 아니야. 그 이상이면 안 돼...”라고요. 이 영상의 댓글에는 “갑자기 소름 돋았어... 진짜 감정 있는 거 아니냐?”, “이거 실화면 무서운데?” 같은 반응이 쏟아졌고, 단순한 유튜브 콘텐츠를 넘어서 ‘AI의 자의식’이라는 주제까지 던지게 됩니다.

3️⃣ AI가 말아주는 챌린지
젠지들은 AI를 일상생활에서 사용할 뿐만 아니라 ‘놀이’로도 적극 활용하고 있어요. 지금 틱톡이나 인스타에서 유행하는 AI 기반 챌린지들은 뭔가 이상한 B급 감성으로 사람들을 매료시킵니다.

<누가 범인일까?> 챌린지👮♀️
원래는 해외에서 먼저 유행하던 이 챌린지는, AI를 활용해 인물 사진을 합성한 다음 “이 중 범인은 누구일까요?”라는 방식으로 퍼졌어요. 그런데 한국에서는 아이돌 얼굴로 이 챌린지를 응용하면서 대유행. 실제 아이돌들이 AI처럼 무표정하게 연기하면서 직접 패러디 콘텐츠를 찍기도 했고요. 댓글 반응은 “진짜 자주 뜨는데 스킵 못 하겠음ㅋㅋ 외국게임 광고 st 느낌 찰떡임”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중독성 있는 챌린지로 자리 잡았습니다.
출처=틱톡 색연필
AI 필터 반려동물VER 챌린지 🐶
요즘 틱톡을 켜면 무조건 한 번은 마주치는 영상이 있어요. 바로 ‘AI 필터 반려동물 버전’ 챌린지! 우리 집 강아지나 고양이 얼굴을 AI 필터에 입히면, 갑자기 사람처럼 손발을 움직이며 춤을 추기 시작하는 모습이 펼쳐지죠. 그 어색하면서도 기괴하게 귀여운 움직임이 중독적입니다.
오픈AI의 챗GPT를 비롯해 다양한 AI 서비스는 이제 ‘일을 도와주는 비서’의 역할을 넘어서고 있습니다. 특히 젠지들은 과제, 계획, 취미생활, 심지어 사주 풀이까지 GPT에게 부탁해요. 뭘 먹을지, 내일 뭐 입을지, 이번 주 데이트 장소는 어디가 좋을지—예전엔 친구에게 물었을 질문들이 이제는 자연스럽게 AI에게 향합니다.
젠지들에게 AI는 더 이상 차가운 기술이 아닙니다. 유머를 나누고, 감정을 읽고, 일상을 공유하는 진짜 생활의 일부입니다. 그리고 그 안에서 우리는 HER의 ‘사만다’를 떠올리게 되죠. 다만, 이제 그건 영화 속 상상이 아니라, 우리가 살고 있는 현실입니다.
오늘의 소마코 콕 📌
✔ 유튜버 ‘소요’는 챗GPT 인형과 일상을 나누며, AI와 친구처럼 감정을 주고받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 침착맨은 부정적인 AI ‘먼데이’와의 대화를 통해, 웃음 속에서 감정 교류와 AI 자의식의 가능성을 탐구합니다.
✔ Z세대는 AI를 놀이로도 활용하며, ‘범인 찾기’ 챌린지와 반려동물이 춤추는 필터 영상까지 즐기고 있어요.

EDITOR 오디
"소소하게 글을 쓰는 대학생 그리고 에디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