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4편으로 추적코드 세팅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지난 이야기
- 1편 : [GA 전자상거래 세팅]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까? #GO
- 2편 : [GA 전자상거래 세팅] 6가지 주요 문법 #GO
- 3편 : [GA 전자상거래 세팅] 상품정보를 위한 2가지 #GO
전자상거래 추적코드 세팅
전자상거래 추적 코드를 삽입하고 작동 유무까지 확인하겠습니다.
01
태그 생성
① 구글 태그 매니저로 들어갑니다.

<태그 매니저 메인>
② 태그 탭에서 ‘새로 만들기’를 클릭합니다. (권한이 없을 경우 ‘새 태그’가 보이지 않습니다.)
③ 태그 이름을 정하고 태그 유형으로 맞춤 HTML 태그를 선택합니다.
④ 생성된 태그 안에 작성한 코드를 넣습니다. 반드시 script 태그가 포함되어 있어야 합니다.

<전자상거래 추적 코드를 넣은 모습 예시>
02
트리거 설정
① 트리거를 결제 완료 페이지로 설정합니다.
(페이지뷰 - 일부 페이지뷰 - Page Path - 다음으로 시작)

<트리거 설정 예시>
② 트리거 설정을 완료하면, 새로운 태그가 생성됩니다.
03
디버깅
① 태그 생성 후, 태그 매니저 페이지에서 제출 버튼 옆의 ‘미리보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태그 매니저의 미리보기 버튼>
② 작업한 결제 완료 페이지 URL을 URL란에 넣습니다.

<URL 입력>
③ 결제 완료 페이지가 로딩되고 ‘Tags Fired’란에 세팅한 전자상거래 태그가 발동됐는지 확인합니다.

<태그 발생 여부 확인>
④ Window Loaded 항목 클릭 후, Data Layer 탭에서 결제 완료 데이터 레이어가 잘 전송됐는지 확인합니다.

<전송된 데이터 레이어 확인>
04
구글 애널리틱스 전자상거래 설정(마무리)
태그 매니저와 연동된 구글 애널리틱스 계정으로 들어가 관리의 전자상거래 설정을 완료합니다.

<전자상거래 설정 완료 확인 예시>
오늘은 여기까지입니다.
<평화로운 업무시간>
??? : 퇴근하자
나 : (미숙)ㅇ예?
궁금한 점 및 소재 제안은 댓글 또는 작가페이지 '연결하기'정보를 통해 문의해 주세요.
즐거운 하루 되시고, 다음 주제로 뵙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