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N잡러의 여유와 자유 찾기(2유 찾기 프로젝트)

열정과 꾸준함은 하나가 아닌 둘, 그리고 모방

디지털N잡러 깨비

2021.08.06 07:10
  • 899
  • 콘텐츠에 ‘좋아’해줘서 고마워요 -
    1
  • 1

안녕하세요. 저는 흙수저로 태어나 하루하루 살다 3년 전 빚과 0개의 재능에서 노력으로 재능을 만들어 12가지 직업을 가지게 된 3년 차 디지털 N 잡러 깨비라고 합니다. N잡 혹은 투잡, 부업 그리고 그걸 하려는 진짜 목적인 자유와 여유를 찾고 싶은 분들에게 필요한 마인드 셋과 3년 동안 겪어오며 알아온 노하우들을 이야기하려 합니다. 브랜드의 이미지를 만드는 것부터, 실제적으로 디지털로만 된 작업들의 노하우까지. 모든 것을 가감 없이 솔직하게 이야기해 드리겠습니다.

 

음(MM) 어플 커리어 부분 공식 크리에이터로 선정되어서 N 잡러의 실전 팁과 마인드로 매일 다른 주제로 이야기를 하는데 그것을 정리해서 이렇게 오픈애즈에 기고합니다

 

 

마인드 #3 열정과 꾸준함은 하나가 아닌 둘이다

 

많은 사람들이 동기부여나 우연한 계기들로 인하여 열정이 생기고 난 후 새로운 도전을 하지만 그렇게 도전을 하고 나서 금방 포기를 하게 됩니다.

 

왜 그럴까요?

 

바로 열정을 꾸준함으로 이어가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렇다면 열정을 어떻게 꾸준함으로 이어갈 수 있을까요? 제가 최근 발행한 나노 시간관리법에 있는 내용 에 있는 2가지 핵심포인트와 그리고 그걸 이용하여 재능을 만들 때 필요한 마음가짐에 대해 이야기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열정을 분배하여야 한다

 

열정이 넘치게 되면 때로는 원래 하려던 일보다 더 많은 일을 해내곤 하지만 반대로 나중에 너무 많은 일을 벌려 놓아 기존의 일조차 못하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래서 저는 열정을 분배하라는 말을 합니다. 지금의 마음이 더 하고 싶다는 것은 알지만 잠시 참을 필요가 있습니다. 영감이 떠올랐을때 다양하게 많은 아이디어를 적어 놓고 실행 하는 것은 좋지만 그로인해 기존의 일을 못하게 된다면 그건 큰 손해가 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아이디어나 콘텐츠, 기획을 할때 저는 시간은 여유롭게 짜더라도 그 시간이 끝나면 일을 하지 않습니다. 만약 아직도 아이디어가 생각난다면 메모장이나 아이디어 노트에 적어 놓아서 다음날 이어서 하는 편입니다. 그 다음날 아이디어가 이어지지 않는 경우도 있고, 반대로 더 좋은 아이디어가 생길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그렇게 열정이 넘치는 것을 배분하기 시작하면서 과도하게 넘치는 열정을 자연스레 나누어서 하다보니 그 열정이 오래가곤 합니다

 

 

2. 열정을 하는 습관을 만드는데 사용하자

 

미라클 모닝을 하시는 분들이 일어나는데 많은 열정을 쏟는 것을 봅니다. 물론 새벽기상 일찍 일어나는 것이 중요하겠지만 전에 이야기 했듯이 중요한건 습관을 만드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우리가 열정을 하는 습관을 만드는데 쏟는다면 열정이 떨어지더라도 우리는 계획한 일을 시작할 때 열정이 떨어지더라도 이미 습관을 형성해 놓거나 형성해 놓는 과정에 놓아져 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계획대로 하게 됩니다. 우리가 밥을 먹고 숨을 쉬는 것이 너무나 자연스러운 것처럼 하는 습관을 만드는 데 열정을 쏟는다면 자연스럽게 꾸준함을 만드실 수 있을 겁니다.

 

그럼 이렇게 꾸준함을 만든 다음 재능을 만들때 무엇을 생각해야할까요? 

 

재능은 누군가보다 아주 조금 잘하면 된다는 생각을 가지면 된다는 것입니다.

 

아무것도 모르는 왕초보

이제 막 배우는 초보

하란대로 하고 다 배운 아마추어

내 생각대로 응용하거나 수익을 얻고 있는 프로

 

왕초보가 보기에는 초보는 재능이 있어 보이고 초보는 아마추어, 아마추어는 프로, 프로는 베스트에 속한 분들이 재능 있어 보일껍니다. 베스트에 속한다면 좋지만 그것이 안된다면 우리는 프로까지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면 됩니다. 프로가 되는 것은 응용력에 있습니다. 배우고 습득한 뒤 꺼내지 않는 다면 그것은 결국 죽은 지식일 뿐. 산 지혜가 되게 만든다면 그 것을 수익화 시키는 방법만 알아가면 되는 겁니다.

 

누군가보다 조금만 뛰어나면 그 누군가에게는 재능으로 보인다.

 

재능이란 단어에 어렵게 생각하지 마시고 하고 또 하시길 바랍니다. 그 노력이 이런 저런 응용이 되어갈때 여러분은 자유의 길에 한걸음 더 다가서시게 될겁니다

 

 

실전팁#3 모방하고 또 모방하라 그리고 거기에 나를 집어 넣어라

 

N잡러를 하려다보면 어떤걸 해야할지 고민이 되는경우가 많습니다. 그렇게 콘텐츠를  어떻게 해야할지 고민한다면 나의 취미나 좋아하는 것, 관심 있는 것부터 시작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취미가 없다면 만들고 여러가지를 시도해야하고 그렇게 익숙해지고 누군가보다 잘하게 될때, 내가 겪어온 과정에서 겪은 나만의 노하우를 수익화 시킬 방법을 찾습니다. 먼저 스스로 연구하고 고민하다가, 잘 되지 않거나 이 정도면 될꺼 같다는 생각을 할 때 멘토나 그 분야의 전문가에게 도움을 요청해서 수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내 생각과는 다르게 콘텐츠가 평가 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그렇게 멘토의 도움을 받아서 콘텐츠를 만든다면 시행착오를 줄이며 나만의 콘텐츠를 만들 수 있습니다.

 

자 그럼 어떻게 콘텐츠를 스스로 연구할까요?

 

유튜브나 인스타에서 내가 관심이 있는 분야를 찾다 보면은 자연스럽게 그 분야의 유명한 사람들의 영상이 알고리즘으로 뜨게 되고, 그렇게 그 영상을 모방하는 것에서 시작하는 것입니다. 한 사람의 영상이 아닌 여러 영상에 재미 요소나 좋은 포인트를 우선 모방을 하고, 그 다음 그것을 나의 성격, 생각에 맞춰서 바꾸어나가면 됩니다.

 

중요한 건 한가지가 아닌 여러가지를 섞어야하고, 따라하기만 한다면 b급 영화 불리는 리메이크 작품처럼 되버릴 수 있으니 조심해야합니다.

 

그리고 이렇게 모방을 하기 전에 선행되어야 할 것이 바로 세분화 시키고 분석을 하는 것입니다.

 

내가 무엇을 좋아하는가?

내가 어떤 색을 좋아하는가?

내 성격은 어떤가?

내가 좋아하고 재미를 느끼는 포인트는 어디인가?

저 영상은 왜 떴을까?(댓글을 보는 것을 추천)

저 영상만의 특징은 무엇인가?

 

이렇게 최소한 나에 대해 4가지는 분석을 하면서 다른 영상에서 이 것을 가지고 분석을 하면 좀 더 쉽게 따라하고 섞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렇게 분석을 하고 나를 넣어가며 이미지를 만든다면 그것이 나의 브랜드 이미지가 되어가는 것입니다. 저 같은 경우도 도깨비를 귀엽게 만들고 표현하여 깨비라는 이미지를 만들고, 보라색 배경화면을 쓰거나 색감에 넣으면서 자연스럽게 보라색 하면 떠오르게 끔 만드는 방법으로 이미지를 구축하곤 합니다. 

뒤섞은 것에서 나의 개성을 넣는 것이 콘텐츠를 만들때 가장 쉽게 전체적인 틀을 잡는 방법이라 저도 자주 사용하며, 매번 새로운 콘텐츠를 유튜브. 오디오, 음, 인스타 등등 다양한 곳에 보고 배우며, 적용할 방법을 찾아보곤 합니다.

 

이 방법이 여러분들에게 조금더 쉬운 콘텐츠를 만드는 방법이 되길 바라겠습니다.

  • #열정
  • #재능
  • #모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