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타의 매거진

콘텐츠 마케팅 대행사를 고를 때 필수 체크항목 5가지

콘텐타

2021.10.22 08:33
  • 1786
  • 콘텐츠에 ‘좋아’해줘서 고마워요 -
    0
  • 0

콘텐츠 마케팅은 아시다시피 타깃 고객이 관심을 갖고 있는 주제나 흥미를 끌 수 있는 소재의 다양한 콘텐츠를 통해 고객에게 우리 브랜드를 알리고 신뢰를 얻는 과정입니다. 이미 90%이상의 브랜드가 마케팅의 필수 영역으로 공을 들이고 있는데요.

 

2020년 콘텐츠 마케팅 트렌드 조사에서 콘텐츠 마케팅의 가장 어려운 과제는 양질의 콘텐츠를 꾸준히 만들어내는 것으로 나타났고, 콘텐츠 마케팅 업무 중에서도 제작 부문에 대행사나 외부 인력을 가장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어요.

 

2020년 B2C 마케터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콘텐츠 제작에 대행사를 활용하고 있는 응답자 비율은 76%, 다음으로 콘텐츠 배포 및 광고(70%)였습니다.

 

 


 

2020/2021 콘텐츠 마케팅 트렌드 리포트 – B2C

 

 

올 해도 예산 시즌을 맞아 어떤 대행사를 파트너로 맞이해야 하나 고민이 많을텐데요. 정말 괜찮은 콘텐츠 마케팅 전문가를 가려내고 싶다면 마케팅 대행사 선정 시 아래 5가지 사항을 꼭 체크해 보세요.

 

 

 

 

 

1) 파트너십이 가능한가?

 

외부의 전문가와 일할 때 중요한 것은 서로가 상대방을 존중하고 고용주-직원의 관계보다 협업하는 파트너의  관계를 조성하는 것입니다. 고용하려는 콘텐츠 마케팅 전문가뿐 아니라 스스로도 이런 관계를 잘 이해하고 있어야 해요.

 

훌륭한 외부 전문가는 브랜드, 회사, 사내 문화, 비전, 타깃 고객을 모두 이해하려고 노력하는 사람입니다.  회사가 지향하는 방향, 콘텐츠 마케팅을 통해 궁극적으로 달성하고 싶은 목표, 전체적인 마케팅의 큰 그림 등에 대해 충분히 대화를 나누세요.

 

만약 후보자가 회사의 비전과 목표에 맞춘 콘텐츠 마케팅 전략을 대략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면 일단 희망적입니다. 다시 한 번 강조하지만 외부 전문가와의 관계는 고용주와 계약직원이 아니라 파트너십임을 명심해야 합니다.

 

 

 

2) 맞춤 전략 수립 능력이 있는가?

 

보통의 마케팅 회사는 기업용 콘텐츠를 제작하고 소셜 미디어를 통한 홍보를 도맡아 줍니다. 똑같은 의류업체라도 저마다의 느낌과 분위기가 있듯, 콘텐츠 마케팅도 전체적인 틀은 동일하지만 고객사에 따른 콘텐츠 전략 수립이 꼭 필요해요.

 

기업마다 상품마다 타깃 고객이 다르고, 타깃 고객이 다르면 고객의 콘텐츠 취향도 당연히 다릅니다.  전문가라면 콘텐츠 마케팅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갖추고 있어야 해요. 하지만 타깃 고객의 취향저격 콘텐츠를 개발하고 가장 효과적인 소셜 미디어를 배포 채널로 적절히 이용하는 맞춤 전략을 수립해야 매출 상승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3) 마케팅과 영업에 대한 통합적 접근이 가능한가?

 

콘텐츠 마케팅의 장점은 고객이 좋아할 만한 콘텐츠를 제작해 노출함으로써 직접적인 광고 없이도 팬층을 형성하고 매출을 올린다는 것입니다. 콘텐츠 마케팅과 영업은 뗄레야 뗄 수 없는 사이란 뜻이죠.

 

콘텐츠를 클릭했을때 사이트의 어떤 페이지에 도착하는지, 어떤 방식으로 콘텐츠 구독자를 구매 고객으로 전환할 것인지 등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성공적인 콘텐츠 마케팅을 할 수 있습니다.

 

회사에 이미 영업팀이 있다면 새로 영입한 콘텐츠 마케팅 전문가가 영업팀의 전략을 충분히 이해해야만 합니다. 마케팅에 이끌린 고객을 구매로 이끄는 영업팀의 전략과 마케팅이 잘 어우러졌을 때 매출 상승 효과는 당연히 배가됩니다.

 

콘텐츠 마케팅 전문가는 고객 페르소나 확립에도 도움을 줄 수 있어야 해요. 고객 페르소나, 또는 바이어 페르소나는 제품을 구입하는 사람들의 관심사, 성별, 고민과 과제 등 특징을 뜻합니다. 페르소나를 확실히 해두어야 타깃 고객이 정말 좋아하는 콘텐츠에 집중할 수 있어요.

 

 

4) 잠재 고객 확보 방법을 알고 있는가?

 

콘텐츠 마케팅의 핵심 목표 중 하나는 잠재 고객 발굴입니다. 콘텐타에서 실시한 2020/21 콘텐츠 마케팅 서베이에 따르면 B2B 마케터의 35%가 잠재 고객 확보를 주요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고객을 사로잡아 끌어들이면 그 다음은 영업을 통해 구매 전환을 성공시켜야 해요. 노련한 전문가는 잠재 고객 확보부터 판매까지 일련의 과정을 충분히 이해하고 이에 필요한 내부 목표를 선정할 수 있어야 됩니다.

 

 


 

2020/21 콘텐츠 마케팅 트렌드 리포트 B2B

 

 

목표는 최대한 구체적이고 수치화할 수 있는 게 이상적이죠. ‘3개월 이내 인스타그램 팔로워 10,000명 추가 확보,’ ‘1개월 이내 블로그 및 포스트를 통한 고객 트래픽 50% 증가’ 등과 같이 정량적인 목표가 필요합니다.

 

경험이 풍부한 마케팅 전문가들은 광고 효과를 수치화해서 보고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인스타그램 팔로워 X명 증가를 목표로 정했는데, 현재까지 Y% 이룬 상황입니다. 추가 확보된 팔로워 Z%는 인스타그램 광고 집행 덕분이며 이를 기반으로 계산한 ROI는 A입니다. 예상보다 ROI가 낮아 다른 경로를 구상해보았습니다…’ 등의 자세한 보고가 가능해야 합니다.  실적이 기대치 이하일 때 신속히 개선 방안을 구상할 줄도 알아야 하고요.

 

 

 

5) 고객 중심 사고, 오디언스 우선시하는가?

 

마케터라면 고객의 입장에서 생각할 줄 알아야 합니다. 콘텐츠 마케팅에서 고객 중심적 사고는 특히 고객 유지 (customer retention) 에 도움이 됩니다. 잠재 고객을 회사 사이트로 끌어들이는데 성공했다 하더라도 바로 구매 결정을 내리는 경우는 많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고객이 다시 사이트로 돌아올 수 있도록 유지에 신경을 써야 된다는 뜻인데요, 이때 지속적으로 고객의 흥미를 유발하는 콘텐츠를 보내 구매 결정에 이르도록 하는 것이 콘텐츠 마케팅 전문가의 몫입니다.

 

고객이 구매를 완료했다고 마케팅도 멈추는건 초보적인 실수입니다. 구매에 대한 만족도 조사, 확실한 고객 서비스, 고객 취향에 따른 맞춤 콘텐츠 발송 등의 지속적인 노력이 재구매로 이어지고 브랜드 충성도를 향상시키죠.

 

 

 

결론

 

웹분석 기술과 함께 마케팅이 고도로 발달하면서 인터넷에 스스로를 ‘전문가’ 라고 하는 사람들이 늘어났습니다. 진짜 전문가를 가려내기 위해서 오늘부터라도 최신 마케팅 트렌드를 공부하는걸 추천합니다. 앞서 이야기한  다섯 가지만 신경을 써도 옥석은 가릴 수 있을 거예요.

  • #콘텐츠 마케팅
  • #콘텐츠 대행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