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상세 광고 이미지

HSG의 슬기로운 직장생활

오늘부터 '넵병' 탈출! 무리한 요청 슬기롭게 거절하는 방법

  • 1533
  • 콘텐츠에 ‘좋아’해줘서 고마워요 -
    0
  • 0

K-직장인 대다수가 앓고 있다는 ‘넵’병, 들어보셨나요? 거절을 하고 싶어도 결국 대답은 ‘넵’이라고 할 수밖에 없는 직장인의 애환을 표현한 말입니다. 성격상 원래 거절을 잘 못하는 사람도 있겠지만, 직장에서의 거절은 누구에게나 쉽지 않습니다. 

 

 


 

 

왜 힘든 걸까요? 대부분의 경우가 상대와 관계가 껄끄러워지는 것이 싫어서일 것입니다. 상대에게 미안함을 느끼는 것은 좋습니다. 하지만 회사에서는 거절 안 하는 '좋은' 사람이 되는 것보다 일을 ‘잘’ 수행하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무리해서 해내려고 애쓰다 번아웃 되거나, 마감을 지키지 못해 더 곤란한 상황에 처하지 않으려면 '거절'이 꼭 필요합니다. 이번 칼럼에서는 상대방과의 관계를 망치지 않는 3S 거절 방법을 소개해 드릴게요.

 

우선 회사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상황을 함께 살펴볼까요?

 

전자기기 제조업체에서 근무하고 있는 당신. 당신은 오늘 아침 생산팀에서 전화를 한 통 받는다. 

생산팀: 이번에 바뀐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잔상이 남는 현상이 있는데요, 원인을 빨리 파악해 주셔야 될 것 같습니다. 이번 주까지 가능하실까요?

 

당신: 네? 이번 주까지요?😱

생산팀: 부사장님이 요즘 생산 속도까지 신경 쓰셔서요ㅠ. 문제 해결 안 되면 생산이 지연될 수도 있어서..가급적 빨리 부탁드릴게요. 가능하시죠?

 

당신: 아, 그게...😥

당신은 당장 원인 파악을 해 줄 수 없는 상황이다. 현재 신규 프로젝트팀의 PL을 맡고 있는데, 프로젝트 막바지라 매일 야근을 해야 겨우 일을 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당신이 거절하면 생산팀도 난감한 상황을 맞게 된다. 어떻게 해야 할까?

 

 

STEP#1 Sympathize (공감하기)

인지심리학에 따르면 사람은 어떤 판단을 내릴 때 상대방 말의 사실 여부보다는 상대방이 내 편인지 아닌지에 더 큰 영향을 받는다고 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거절을 어려워하는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죠. 거절을 하면 상대방과 ‘적’이 된다고 생각하는 겁니다. 하지만 거절하면서도 ‘나는 상대방의 편’임을 느끼게 해 주는 방법이 있습니다. 바로 '공감'입니다. 공감은 상대방의 입장이 되어 그 사람의 감정이나 의견을 똑같이 느끼는 것을 말하는데요, 거절하기 전에 먼저 공감을 해 주면 적어도 거절을 부정적으로만은 받아들이지 않는다고 하네요.

 

그럼 무엇에 대해 공감해 줘야 할까요?

여기서 커뮤니케이션의 기본 개념인 Position과 Needs가 필요합니다. 상대방이 표면적으로 하는 요구 (Position)가 아니라 그 요구가 나오게 된 배경, 상대방이 원하는 것 (Needs)에 공감해 줘야 합니다.

 

앞의 상황에서 당신은 어떻게 공감을 해야 할까요? “디스플레이에 문제가 생겨서 많이 당황하셨겠어요. 부사장님 지시로 생산 쪽도 많이 바쁘실 텐데 급하게 원인 파악이 필요하신 건 충분히 이해합니다.” 라고 할 수 있습니다. 원인 파악을 해 달라는 Position을 들어 주는 게 아닌 '부사장님 지시 사항을 지키지 못함에 대한 불안함과 문제 발생에 대한 당혹스러움'이라는 Needs에 대한 공감이죠.

 

 

 


STEP#2 Sorry (유감 표명하기)

다음으로는 요청을 수락하지 못하는 것에 대한 솔직한 사과를 해야 합니다. 사과가 있고 없고에 따라서 받아들이는 사람은 큰 차이를 느낍니다.

 

위의 상황을 다시 예를 들어볼까요? Needs에 대해 실컷 공감을 해준 뒤에 “그런데 당장 원인 파악은 안 됩니다.”라고만 하는 것과 “정말 죄송합니다. 제가 지금 신규 프로젝트 막바지라 당장 원인 파악을 하는 건 어렵습니다.”라고 말하는 것. 작은 차이지만 듣는 사람의 판단과 감정은 많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사과를 하면 내 잘못을 인정한다는 생각 때문에 꺼리는 분들 많으시죠? 하지만 여기에서의 사과는 '내 잘못'이 아니라 '이러저러한 사정 때문에 상대방의 요청을 받아 줄 수 없는 것'에 대한 사과입니다. 상대방도 요청하기 위해 많은 고민을 했을 테니 상대방과의 관계를 해치지 않고 싶다면 사과의 말을 꼭 덧붙여보세요.

 

 

STEP#3 Suggest (대안 제시하기)

업무 요청을 받으면 보통 '이걸 받아들일까, 거절할까'를 생각하게 되는데요, 이 둘 말고 다른 방법은 없는 걸까요? <거절 잘해도 좋은 사람입니다>라는 책의 저자는 거절할 때 이분법적 사고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말합니다. 거절할까 받아들일까 2가지 선택만이 있는 게 아니라 ‘상황이 어떻게 바뀌면 거절하지 않을 수 있을지’, ‘어떻게 방법을 바꾸면 거절하지 않고 해낼 수 있을지’와 같이 프레임을 바꿔 생각해 보라는 거죠.

 

생각의 프레임을 바꾸면 나와 상대방 모두 선택지는 훨씬 많아집니다. 일정을 바꿔 볼 수도 있고, 다른 사람과 협업을 할 수도 있습니다. 물론 항상 상대방을 만족시킬 수 있을 만한 대안이 나오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상대에게 '당신의 요청을 들어 주기 위해서 내가 이만큼 고민하고 노력했다'라는 진심은 충분히 전달할 수 있습니다.

 

위의 상황에서 대안을 제시해 본다면? 생산팀과 얘기해 일정을 조정할 수도 있고, 신규 프로젝트 발주자에게 상황을 알리고 프로젝트 업무 대신 생산팀의 요청을 먼저 해결하는 등 상황에 따라 다양한 대안들이 나올 수 있습니다.

 

 

---------------------------------------------

 

 

지킬 없는 약속보단 지금 거절하는 것이 낫다 덴마크 속담이 있습니다. 무작정 요청을 수락하는 것이 좋은 사람은 아닙니다. 나만의 거절 원칙을 세워 분명하게 거절 의사를 표현해 보세요. 모든 요청을 수락하는 사람은 될지라도 나에게 주어진 일을 해내는 사람이 있습니다. ‘남을 위한 수락 아닌나를 위한 거절 제대로 하는 , 오늘부터 시도해 보면 어떨까요?

 

>> 글쓴이: HSG 휴먼솔루션그룹 김예슬 전문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