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로스해킹

Opt in & Opt out 개인정보 동의부터 장기기증까지

그로스해킹LABBIT

2022.09.26 08:00
  • 1248
  • 콘텐츠에 ‘좋아’해줘서 고마워요 -
    0
  • 0

관련 종사자분들은 느끼고 있으시겠지만, 개인정보에 대한 법안이 날로 엄격해지고 있습니다. 이제는 새로운 웹사이트를 들어갈 때마다 ‘쿠키 허용’ 문구에 대한 예/아니오를 선택해야 하고, 작년 초 Apple은 ios 14.5를 내놓으면서 ‘앱 추적 투명성(ATT)’ 기능을 적용하여 앱에서 개인정보를 추적할 때는 반드시 이용자의 동의를 거치도록 하여 이 때문에 페이스북 주가가 하루에 300조원이 감소하는 일이 발생하기도 했습니다. ( 회의 시간에 마크 저커버그 CEO의 눈이 빨개졌다는 썰이… )

 

*ATT -  App tracking transparency

 

 

‘개인정보’에 대해 이야기할 때마다 꼭 언급되는 이름이 ‘opt in’ 과 ‘opt out’입니다. 그만큼 꽤 중요한 개념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이 글에서는 이 두 개념에 대해

 

1. Opt in과 Opt out의 정의

2. 생활 속 opt in과 opt out의 4가지 사례

3. 결론

 

순으로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1. Opt in과 Opt out의 정의

(여기서 opt는 option의 약자로 ‘선택’을 특합니다.)

 

 

Opt in - 체크박스에 체크가 안 되어 있는 상태, 동의를 받기 위해 어떤 행위가 필요한 상태

Opt out - 체크박스에 체크가 이미 되어 있는 상태, 동의하지 않는다는 의사표시를 선택하는 상태 라고 할 수 있습니다.

 

Opt in과 Opt out이 적용되는 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

 

Opt in - 새로운 어플을 설치하고 회원가입을 하려고 하는데, “회원가입을 완료하려면, 우리가 당신의 개인정보를 수집하는 데에 동의해야 한다”고 메시지가 뜨며 ‘동의’라는 체크박스의 체크를 요구하는 상황. 이 경우 가입신청자가 동의를 체크 해야 웹사이트가 개인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상황이 Opt in입니다.

 

 

 


 

Opt in의 예시 이미지

이미지 출처 : What's the difference? opt in opt out

 

 

Opt out - 새로운 어플에 가입하려는데 “개인 정보 수집에 동의한다’는 문구의 체크박스에 자동 체크가 되어 있고, 동의하지 않을 시 사용자가 추가로 체크박스를 클릭해야 하는 상황.

 

 

 



 

Opt out의 예시 이미지

이미지 출처 : What's the difference? opt in opt out

 

 

 

2. 생활 속 opt in과 opt out 4가지 사례

 

(1) 마케팅 수신 동의

 

새로운 서비스를 가입할 때 동의해야 하는 항목이 많으면, 사용자가 체크박스를 한 번에 체크할 수 있도록 ‘전체동의 체크’ 옵션을 둡니다. (여기까지는 opt-in) 그래서 사용자가 귀찮으니 최대한 빠른 가입을 위해 ‘전체동의’를 체크하는 순간..! 자동으로 ‘마케팅 정보 수신 제공 동의’에도 체크하는 opt-out이 발동됩니다. 만약 마케팅 정보 수신 제공을 동의하지 않고 싶다면, 따로 체크박스를 한 번 더 눌러 해제해야 합니다.

 

 



 

이미지 출처 : https://datanugget.io/

 

 

(2) 건강검진

 

대표적인 예시로 건강검진을 위해 문진표를 작성할 때, 작성자 성별에 ‘남자’를 체크하는 순간 하단의 ‘임신 여부’ 항목은 자동으로 ‘해당없음’에 체크가 됩니다. 이런 경우 또한 ‘남자’에 opt-in 하는 순간 ‘임신 여부’가 opt-out된 것입니다. 이렇게 세밀하게 설계된 opt-in과 opt-out은 사용자의 시간을 아껴 줄 수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mimi215&logNo=60194359469

 

 

 

(3) 장기기증

 

2008년 영국 총리가 장기기증과 관련해 ‘opt-out’ 제도를 지지한다고 밝혀 논란이 된 적이 있습니다. opt-out은 장기기증 ‘거부’ 의사를 밝히지 않았다면 자동적으로 잠재적 기증자로 추정해 죽은 후에 장기 적출이 가능하게 되는 제도입니다. 반대로 opt-in은 죽기 전에 기증 의사를 밝힌 사람만을 대상으로 장기 적출을 하는 제도입니다.

 

장기기증이 활성화된 오스트리아, 프랑스, 아르헨티나, 스페인, 벨기에 등은 ‘장기기증을 절대 거부한다’는 의사 표시가 없으면 장기기증 의사를 가진 것으로 보는 묵시적 동의의 ‘opt-out’방식을 택하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세계에서 장기이식이 가장 성공적으로 이뤄진다는 스페인의 사례는 주목할 만합니다. 뇌사자 발생 시 스페인의 장기기증률은 인구 100만 명당 35명으로 3.1명인 한국의 경우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많습니다.

 

이러한 차이가 생긴 데에는 나라의 문화와 정서의 차이도 있겠지만 ‘opt-out’제도도 한 몫을 한 것은 틀림없습니다. 장기기증을 하려는 개인 또는 가족이 따로 장기기증을 신청하기 위해 복잡한 절차를 밟을 필요가 없기 때문입니다.

 

 

(4) 웹사이트 계정 휴면 처리

 

한동안 로그인하지 않은 웹사이트에서 추가로 기존 계정에 어떤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휴먼 처리하겠다’는 메일을 받아본 적이 있을 것입니다. 이 메일을 받고 추가로 로그인을 하면 휴면 계정 처리가 되지 않겠지만, 메일을 받은 후에도 추가 조치를 하지 않으면 계정은 자동 휴면 처리가 될 것입니다. 이것도 opt-out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3. 결론

 

지금까지 opt in & opt out의 정의와 실생활 속 4가지 사례를 통해 사용예시들을 알아 보았습니다. opt in & opt out은 UX에도, 우리 사이트 접속을 유도하거나 마케팅 메시지를 발송할 때에도 두루두루 활용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요! 이 글을 보시는 분들도 디자이너라면 혹은 기획자라면! opt in과 opt out을 활용해 보실 수 있습니다.

 

 

TIP. 이렇게 한번 활용해 보면 어떠세요?  

 

1. 후에 마케팅 메세지를 더 많은 고객들에게 보낼 수 있도록 자동으로 ‘마케팅 메세지 수신’ 동의를 하는 opt out 을 쓰거나

2. 웹사이트 회원 가입률을 높이기 위해 콘텐츠를 더 보려면 회원가입을 하는 데에 동의하는 opt in을 쓰거나

3. 혹은 설문조사를 할 때 성별이 ‘남자’라면 ‘임신여부’에 자동으로 ‘해당사항없음’이 체크되는 opt out을 쓰는 식으로 말이죠!

 

 

블로그 구독자 문의 주소 : info@weirdsector.co.kr

그로스 해킹 파트너, LABBIT 바로가기

LABBIT을 운영하는 Team 위어드섹터 만나러 가기

브랜드의 성장박스 Data Nugget 

  • #개인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