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60인사이트

2022년 3분기 홈쇼핑 트렌드 비교 [2탄]

홈쇼핑모아

2022.11.07 08:00
  • 1359
  • 콘텐츠에 ‘좋아’해줘서 고마워요 -
    0
  • 0


3분기 홈쇼핑 트렌드 비교 2탄이 돌아왔습니다. 

지난 1탄에서는 '카테고리별 점유율'과 '홈쇼핑사와 티커머스'를 비교해보았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카테고리별 판매량 트렌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카테고리별 판매량 트렌드


1.종합




3분기 종합 구매건수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7월에는 2주차때 판매율이 높았습니다. 8월에는 1주차, 9월에도 1주차에 구매건수가 가장 컸습니다. 3분기 전체로 봤을때는 9월 1주차때(2022.08.29~2022.09.03) 최고 수치를 기록했습니다. 추석연휴를 일주일 앞둔 시점인 만큼 식품의 판매량이 급증했습니다. 그 이후 9월 2주차(2022.09.04~2022.09.10)에는 연휴로 인한 택배 이슈로 소극적인 소비로 구매건수가 최저를 찍었습니다.


반면 월별 구매건수 합은 9월이 가장 높았는데 마찬가지로 식품·건강이 높았으며 그뿐만 아니라 미리 겨울을 준비하고자 하는 수요로 온열 매트 등 계절 가전의 인기도 늘어났습니다.



2. 의류



의류 카테고리에서는 9월 2주차에 수치가 감소해 최저 판매량을 기록했으며 이후부터는 구매건수가 상승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가을 시즌이 시작되면서 수요가 늘어남과 동시에 소비도 함께 증가했습니다. 7, 8월에는 여성 속옷세트가 인기였으며 원피스도 여전히 수요가 높았습니다. 하지만 9월이 시작되면서 날씨가 쌀쌀해져 기모 팬츠, 니트, 다운재킷 등이 인기였습니다. 비슷하게 지난 분기에는 여름철 입기 좋은 티셔츠, 원피스 등이 높은 순위였지만 3분기에 들어서는 니트, 재킷류 등의 의류의 순위가 높아졌습니다. 


 

3. 잡화



잡화 카테고리에서는 9월 2주차에 최저 판매수량을, 9월 4주차에는 최고 판매수량을 기록했습니다. 의류와 마찬가지로 7월부터 수치가 감소하다가 9월 3주차부터 들어서면서 판매량이 증가했습니다. 또 날씨가 따뜻해진 7, 8월에는 샌들의 구매건수가 높았는데 9월이 되면서 샌들의 구매건수는 TOP10에서 내려갔으며 스니커즈가 1위를 차지했습니다. 한편 2분기에는 하드 캐리어의 소비가 낮았는데 2분기부터 연휴 시작과 동시에 코로나19에 대한 제재가 점차 완화되면서 구매건수가 급증했습니다. 



4. 뷰티



뷰티 카테고리는 8월 4주차부터 수치가 감소하면서 9월 2주차에 최저치를 찍었습니다. 이후에는 앞선 카테고리들과 마찬가지로 9월 3주차부터 구매건수가 증가했습니다. 3분기에는 점차 날씨가 건조해지면서 보습이 되는 스킨케어 상품들의 인기가 높아졌습니다. 무겁고 답답하다는 인식이 있었던 가을‧겨울용 고보습 제품들도 최근 끈적임 없이 산뜻하게 사용 가능한 형태로 출시되면서 소비자의 마음을 사로잡기 위한 노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관련 자료 : 뷰티 업계, 가을‧겨울철 ‘산뜻촉촉’한 고보습 제품들 인기


반면 국내 화장품 '빅2' 기업인 아모레퍼시픽과 LG생활건강이 중국 시장 진출의 문제로 1·2분기에 이어 3분기에 부진한 실적을 기록하고 있는 와중에 일본, 북유럽 등 해외시장을 공략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4분기에는 이러한 새로운 해외시장 진출과 국내시장의 성과가 매출의 중요한 키포인트로 떠올랐습니다. (관련 자료 : 아모레·LG생건, 3분기 실적 '먹구름'…북미서 해법 모색)

 


5. 식품


 

식품 카테고리에서는 9월 1주차에 최고 판매량을 기록했지만 9월 2주차에 들어서 3분기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종합 부문에서 설명했듯이 8월에 들어서는 추석 연휴의 영향으로 축산가공식품이 인기가 있었습니다. 또 2분기에 이어 3분기에서도 김치 판매량은 점차 늘고 있습니다. 10월에 들어서는 홈쇼핑모아 앱 내 최다 검색어로 '김치'가 선정된 만큼 4분기에는 더욱 수치가 올라갈 것으로 기대됩니다. (관련 자료 : 홈쇼핑모아, 모바일 홈쇼핑 10월 검색량 1위는 ‘김치’


 

6. 생활・주방・가구



생활・주방・가구 카테고리에서도 앞선 카테고리와 비슷한 흐름으로 9월 2주차에 3분기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월별로는 7월에 판매수량이 가장 많았는데 쿡셀 프라이팬, 냄비세트의 인기로 프라이팬/요리팬이 1위를 차지했으며 가볍고 얇은 침구세트의 수요가 늘었습니다. 가을에 들어서는 화장지/각티슈/키친타올의 인기가 늘어났습니다. 이사 성수기의 계절인 가을이 시작되면서 수요가 증가한 것이 원인으로 파악됩니다. 반면 이러한 이사와 결혼 성수기로 인해 가구 업계도 가을 시즌 할인행사를 진행해 성수기를 대비했습니다. (관련 자료 : 가을 성수기 맞은 가구업계, 온ㆍ오프라인 할인행사 ‘봇물’)


 

7. 가전・디지털



가전・디지털 부문에서는 7월 1주차에 가장 높은 수치가 나왔습니다. 폭염이 시작되면서 선풍기, 에어컨, 써큘레이터 등 여름가전 상품의 인기가 증가했습니다. 그 이후 9월 2주차까지는 수치가 점점 감소하다가 연휴가 끝남과 동시에 기온이 떨어지면서 전기매트/장판의 수요가 높아졌습니다. 또 글로벌 테크놀로지 가전 브랜드 '다이슨'이 7월 말 에어랩 신제품을 출시하면서 고데기/매직기의 판매율이 증가했습니다. 9월 말에 무선 청소기 '젠5 디텍트'를 새롭게 선보인 만큼 4분기에는 계절 가전뿐 아니라 무선 청소기도 인기의 반열에 오를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번 포스팅을 통해 2022년 3분기 홈쇼핑 트렌드와 함께 4분기의 판매 흐름 방향도 전해드렸습니다. 4분기가 시작되면서 코로나19 제재의 완화와 입동이 찾아오면서 전략적인 판매계획이 필요해졌습니다. 3분기 홈쇼핑 트렌드 포스팅을 통해 4분기를 효율적으로 예측하시길 바라겠습니다.😄

 

 

이번 글이 도움이 되셨나요? 그렇다면 관련글을 추천해드려요!


2022년 3분기 홈쇼핑 트렌드 비교 [1탄]

[특별 리포트] 11월 홈쇼핑에서 판매율이 올라갈 키워드는 무엇일까요?

[모아차트] 2022년 9월 홈쇼핑 TOP100은?


홈쇼핑 데이터, 광고, 제휴, 모바일 홈쇼핑 트렌드 솔루션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으시다면,

편하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홈쇼핑모아가 홈쇼핑 성공을 응원하겠습니다.

  • #홈쇼핑
  • #모바일 홈쇼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