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와 옥외광고

"여름 핫플" 방문하는 2030들의 핵심 이동 동선은?

데이터 OOH 애드타입

2025.07.11 09:30
  • 137
  • 콘텐츠에 ‘좋아’해줘서 고마워요 -
    0
  • 0

 안녕하세요, Data-driven OOH 컴퍼니 애드타입(Adtype)입니다.

 

이전 콘텐츠에서는 더운 여름 시즌, 2030 여성들이 어디에서 시간을 보내는지 살펴보았습니다.

크게 영등포역, 롯데월드와 롯데월드몰, 용산역, 고속터미널이 여름의 2030 여성 핫플로 나타났습니다.

아직 이전 글을 읽지 않으셨다면?

(이전 글 링크)

이번 콘텐츠에서는 이렇게 도출된 여름 핫플을 향하는 2030들의 이동동선을 공간데이터 기반으로 타겟하는 법을 소개해드립니다. 여름은 봄과 가을과는 달리, 비교적 이동 동선이 뚜렷하기 때문에, 미디어플래닝 전략 또한 훨씬 명확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여름 핫플" 방문하는 2030들의 핵심 이동 동선은?

여름 핫플을 방문하는 2030을 타겟할 수 있는 이동 동선은 어디일까?

여름 2030 핫플 : 영등포, 용산, 고속터미널, 롯데월드

이전 컨텐츠에서 더운 여름 시즌(33도 이상 폭염일), 2030 여성이 크게 유입하는 "여름 핫플" 지역은 영등포, 용산, 고속터미널, 롯데월드 등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런 "여름 핫플"의 특징은 아래와 같았습니다.

장소 유형

대표 장소

해석

대중교통 허브

+ 복합상업시설

* 영등포타임스퀘어+신세계백화점+이마트+CGV

(일 +849명, 주간 +5,943명)

* 용산역+용산아이파크몰+CGV

(일 +545명, 주간 +3,815명)

* 고속터미널+신세계백화점+파미에스테이션

(일 +430명, 주간 +3,010명)

기차/전철역/버스터미널

+ 대형쇼핑몰 + 영화관 조합의

실내 복합공간

엔터테인먼트

+ 복합상업시설

* 롯데월드 어드벤처

(일 +846명, 주간 +5,922명)

* 롯데타워+롯데월드몰+석촌호수

(일 +810명, 주간 +5,670명)

실내 테마파크, 아쿠아리움, 쇼핑몰 등

실내 냉방 + 여가 + 소비 공간 선호 뚜렷

여름 핫플의 핵심은 '복합상업시설'이었습니다. 복합상업시설은 더운 여름 날, 실내에서 쾌적한 환경에서 쇼핑 및 문화생활을 즐기기에 제격인 곳입니다. 또한 대중교통으로 접근하기 좋거나, 엔터테인먼트와 함께하는 곳이 특히 더 많은 유입량을 보였습니다.

 

33도가 넘는 더운 여름날, '복합상업시설'을 방문하며 시간을 보내는 2030 여성들을 타겟하고자 하신다면, 어떤 전략이 필요할까요? "여름 핫플" 내의 매체에 직접 광고하는 전략핫플로 오는 동선 상에 있는 매체에 광고하는 전략, 이렇게 두 가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첫째, "여름 핫플" 시설 매체에 직접 광고하고자 한다면, 영등포 타임스퀘어, 용산 아이파크몰, 신세계백화점 강남점(고속터미널), 롯데월드몰 내의 매체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들이 "여름 핫플"로 향하는 핵심 동선은 어떻게 될까요? "당연히 그 지역 근처에 사는 사람들이 많이 오는 거 아니야?", 하며 인접 지역에 사는 사람들이 주요 타겟이라 생각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여름 핫플"을 방문하는 2030 세대들은 구 경계를 넘어서, 타 지역에서도 많이 방문하는 것으로 보였는데요. 타 지역에서 넘어오는 이들의 동선을 분석해본 결과, 핵심은 대중교통이었습니다. 거리가 먼 곳이라도, 환승을 거의 하지 않고 하나의 노선을 쭉 따라가면 되는 경우라면 기꺼이 방문한다는 것이죠.

이번 콘텐츠에서는 기온 33도 이상의 더운 날씨의 주말에, 20대~30대들이 여름 핫플로 방문하는 동선을 분석해보았습니다. 특히 인접하지 않은 곳임에도 많은 방문이 일어난 지역들도 함께 소개해드리고자 합니다.

 

더운 여름 주말, "여름 핫플"로 이동하는 2030 수는 얼마나 많을까?

"여름 핫플"에 해당하는 용산역, 롯데월드몰, 영등포역, 고속터미널을 방문하는 2030 수는 얼마나 될까요? 해답은 시민들의 이동 동선을 보여주는 '이동데이터'에 있습니다. 애드타입에서는 이동데이터를 분석하여, 각 핫플이 위치한 행정동에 20대~30대가 하루에 몇 명이나 방문하였는지 살펴보았습니다.

 

 

 

 

["여름 핫플"을 방문하는 20대~30대 수]

  • 용산아이파크몰 : 60,042명 (일평균)

  • 롯데월드몰 : 50,710명 (일평균)

  • 영등포 타임스퀘어 : 46,096명 (일평균)

  • 고속터미널/신세계백화점 강남점 : 38,133명 (일평균)

작년 폭염일에 해당했던 토요일과 일요일 기준, 하루에 '여름 핫플'이 위치한 지역을 방문하는 2030 수는 3만명 대에서 6만대에 달했습니다. 특히 용산아이파크몰이 위치하는 지역은 하루에 6만명의 2030 인구가 방문하기도 했습니다.

그렇다면 여름 핫플을 방문하는 20대~30대 소비자들이 구체적으로 어디에서 오는지, 그 핵심 동선을 이어서 살펴보겠습니다.

 

1. 용산역/용산아이파크몰(한강로동)을 방문하는 사람들은 어디에서 올까?

여름 핫플 다섯 지역 중 가장 많은 2030들이 방문한 지역은 용산역 인근(한강로동)이었습니다. 하루에 6만 명의 20대~30대가 방문한 지역이죠. 용산역 인근은 1호선 용산역, 4호선 신용산역을 비롯해 용산아이파크몰과 CGV 등, 여름에도 쾌적한 공간이 밀집해 있습니다. 또한 인근에 2030들로부터 힙한 분위기의 식당과 카페로 큰 인기를 얻고 있는 거리인 '용리단길'이 있기도 합니다.

아래의 다른 지역과 달리, 용산역은 KTX 정차역이기 때문에 서울 외의 타지역에서 오는 20대-30대 또한 다수 집계되었습니다. 즉 이번에 소개되는 "여름 핫플" 중, 가장 다양한 지역에서 방문하는 장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원효로1동 : 1,341명 (일평균)

  • 이촌1동 : 1,240명 (일평균)

  • 남영동 : 979명 (일평균)

  • 청파동 : 955명 (일평균)

  • 서빙고동 : 815명 (일평균)

용산역과 용산아이파크몰이 위치한 한강로동을 방문하는 동선을 살펴보았을 때, 용산구 내의 지역에서부터 오는 2030들이 다수였습니다. 특히 원효로1동과 이촌1동, 남영동은 용산역이 위치한 한강로동과 바로 접해있는 옆동네에 해당했습니다.

 

[용산역/용산아이파크몰 방문 동선의 주요 출발지 (비용산구)]

출발지

도착지

대중교통

경로

해당 동선으로 이동하는

2030 인원 수 (1일)

지하철 이용자 수(1일)

여의동

용산역

버스

954명

서교동

(합정역)

용산역

지하철 6호선→

경의중앙선

744명

212

노량진1동

(노량진역)

용산역

지하철 1호선

612명

1,218

종로1.2.3.4가동

(종로3가역)

용산역

지하철 1호선

608명

493

상도1동

용산역

버스

556명

영등포동

(영등포역)

용산역

지하철 1호선

444명

194

그러나 용산구가 아닌 지역에서도 많은 2030들이 용산역(한강로동)을 찾았는데요. 이들 지역의 주요한 특징은 바로 용산역까지 한번에 올 수 있는 대중교통 노선이 존재했다는 점입니다. 버스나 지하철을 타고 30분 내에 용산역에 도달할 수 있는 지역에서 다수 방문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실제로 2024년 폭염이었던 어느 토요일 기준(8월 31일), 노량진역에서 탑승해 용산역에 하차한 승객 수는 총 1,218명 규모에 달했습니다.

용산역과 용산아이파크몰을 방문하는 2030들을 타겟하기 위해서는, 이들이 주로 이용하는 지하철 1호선 용산역과 지하철 4호선 신용산역 내의 매체, 혹은 용산역 인근을 지나는 버스 노선 매체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또한 용산역이라는 목적지를 위해 하루에 1,218명이 지나간 노량진역의 매체도 대안으로서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2. 롯데월드몰(잠실6동)을 방문하는 사람들은 어디에서 올까?

잠실의 랜드마크인 롯데월드타워가 위치한 잠실6동은 롯데월드몰, 석촌호수, 롯데시네마 등이 있어 연인 및 가족과 시간을 보내기 좋은 곳입니다. 잠실역에 내려, 롯데월드몰에서 식사와 쇼핑을 하고, 롯데시네마에서 영화를 보고, 해가 진 후에 석촌호수를 걸으며 산책하는 등 한 곳에서 다양한 여가생활을 즐길 수 있는 곳입니다.

 

[롯데월드몰 방문 동선의 주요 출발지]

  • 잠실3동 : 3,616명 (일평균)

  • 송파1동 : 2,795명 (일평균)

  • 방이2동 : 1,901명 (일평균)

  • 석촌동 : 1,170명 (일평균)

  • 잠실본동 : 1,091명 (일평균)

롯데월드몰이 위치한 잠실6동을 방문하는 동선을 살펴보았을 때, 송파구 내의 지역에서부터 오는 2030들이 다수였습니다. 특히 잠실3동과 송파1동, 방이2동은 롯데월드몰이 위치한 잠실6동과 바로 접해있는 옆동네에 해당했습니다.

[롯데월드몰 방문 동선의 주요 출발지 (비송파구)]

출발지

도착지

대중교통 경로

해당 동선으로 이동하는 2030 인원 수(1일당)

지하철 이용자 수(1일)

역삼1동

(역삼역)

롯데월드몰

(잠실역)

지하철 2호선

597명

1,093명

남양주시 다산1동

(다산역)

롯데월드몰

(잠실역)

지하철 8호선

393명

963명

길동

(길동역)

롯데월드몰

(잠실역)

지하철 5호선

-> 지하철 8호선

380명

173명

천호2동

(천호역)

롯데월드몰

(잠실역)

지하철 8호선

310명

1,373명

구의3동

(강변역)

롯데월드몰

(잠실역)

지하철 2호선

302명

2,491명

화양동

(건대입구역)

롯데월드몰

(잠실역)

지하철 2호선

294명

2,223명

주로 같은 송파구에서 출발한 사례가 많았으나, 송파구가 아닌 다른 지역에서도 많은 2030들이 잠실6동을 찾았습니다. 이들은 주로 지하철 2호선과 8호선을 이용하여 잠실에 도착하는 패턴을 보였습니다. 이들 지역은 주로 지하철로 30분 내에 도달 가능하다는 공통점이 있었습니다. 특히 2024년의 폭염이었던 어느 토요일 기준(8월 31일), 역삼역에서 탑승해 잠실역에서 하차한 승객 수는 총 1,093명이었습니다.

롯데월드몰을 방문하는 2030들을 타겟하기 위해서는, 이들이 주로 이용하는 지하철 2호선 잠실역 내의 매체, 혹은 잠실역 인근을 지나는 버스 노선 매체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도권 내 타 지역과 잠실을 이어주는 버스노선이 있는 잠실광역환승센터가 위치해 있다는 점도 주목할 만 합니다. 또한 잠실역이라는 목적지를 위해 하루에 2,491명이 지나간 강변역의 매체도 대안으로서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3. 영등포역(영등포동)을 방문하는 사람들은 어디에서 올까?

영등포 타임스퀘어가 위치한 영등포동은 지하철 1호선 영등포역롯데시네마 영등포점이 있어 많은 2030들이 방문하는 지역입니다. 특히 서울의 서남부 지역(영등포구, 관악구, 구로구 등)에서 방문하는 비중이 높았습니다.

[영등포역/영등포 타임스퀘어/롯데백화점 방문 동선의 주요 출발지]

  • 영등포본동 2,643명 (일평균)

  • 여의동 2,155명 (일평균)

  • 문래동 2,141명 (일평균)

  • 당산2동 1,781명 (일평균)

  • 당산1동 1,479명 (일평균)

더운 여름 주말, 영등포 타임스퀘어와 롯데백화점이 위치한 영등포동으로 이동했던 동선을 살펴보았는데요. 영등포구 내의 지역에서부터 오는 2030들의 규모가 최대 2.6천 명에 달하는 수치를 보였습니다. 특히 영등포본동과 여의동, 문래동, 당산1동은 영등포동과 바로 접해있는 옆동네에 해당했습니다.

[영등포역/영등포 타임스퀘어/롯데백화점 방문 동선의 주요 출발지 (비영등포구)]

출발지

도착지

대중교통 경로

해당 동선으로 이동하는 2030 인원 수 (1일당)

지하철 이용자 수(1일)

서교동

(홍대입구역)

영등포역

지하철 2호선

→ 지하철 1호선

884명

415명

신도림동

(신도림역)

영등포역

지하철 1호선

589명

1,281명

구로5동

(신도림역)

영등포역

지하철 1호선

461명

1,281명

한강로동

(용산역)

영등포역

지하철 1호선

444명

166명

대방동

(대방역)

영등포역

지하철 1호선

334명

147명

종로1.2.3.4가동

(종로3가역)

영등포역

지하철 1호선

308명

399명

영등포구 외의 다른 지역에서도 20대와 30대들은 영등포동을 찾았습니다. 이들은 대부분 지하철 1호선을 이용하여 영등포역에 도착하는 패턴을 보였습니다. 이들 지역은 주로 지하철로 30분 내에 도달 가능하다는 공통점이 있었습니다. 특히 2024년의 폭염이었던 어느 토요일 기준(8월 31일), 신도림역에서 탑승해 영등포역에서 하차한 승객 수는 총 1,281명에 달했습니다.

 

롯데백화점과 영등포 타임스퀘어를 방문하는 2030들을 타겟하기 위해서는, 이들이 주로 이용하는 지하철 1호선 영등포역 내의 매체, 혹은 영등포역 인근을 지나는 버스 노선 매체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또한 영등포역이라는 목적지를 위해 하루에 1,281명이 지나간 신도림역의 매체도 대안으로서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4. 고속터미널(반포4동)을 방문하는 사람들은 어디에서 올까?

서울고속터미널은 단순한 버스터미널이 아닙니다. 전국 각 지역에서 서울로 오기위해 모이는 가장 큰 관문 중 하나이며, 신세계백화점 강남점과 파미에스테이션이 위치해 많은 2030들이 식사와 쇼핑을 한번에 해결하는 곳이기도 합니다.

[고속터미널 / 신세계백화점 강남점 / 파미에스테이션 방문 동선의 주요 출발지]

  • 서초3동 9,170명 (일평균)

  • 반포2동 7,400명 (일평균)

  • 반포3동 6,965명 (일평균)

  • 반포1동 6,371명 (일평균)

  • 서초4동 5,729명 (일평균)

더운 여름 주말, 고속터미널신세계센트럴시티, 맛집 거리인 파미에스테이션이 위치한 반포4동으로 이동했던 동선을 살펴보았습니다. 서초구 내의 지역에서부터 오는 2030들의 규모는 크게 9천 명 정도의 규모를 보였습니다. 특히 반포2동과 반포3동, 반포1동은 반포4동과 바로 접해있는 옆동네에 해당했습니다.

[고속터미널 / 신세계백화점 강남점 / 파미에스테이션 방문 동선의 주요 출발지 (비서초구)]

출발지

도착지

대중교통 경로

해당 동선으로 이동하는 2030 인원 수 (1일당)

지하철 이용자 수(1일)

역삼1동

(강남역)

고속터미널

신분당선

-> 3호선

942명

1,354명

압구정동

(압구정역)

고속터미널

3호선

536명

1,512명

신사동

(신사역)

고속터미널

3호선

444명

1,708명

논현1동

(논현역)

고속터미널

7호선

390명

538명

여의동

(샛강역)

고속터미널

9호선

376명

165명

삼성1동

(봉은사역)

고속터미널

9호선

366명

1,037명

서초구 외의 다른 지역에서도 20대와 30대들은 반포4동을 다수 찾았습니다. 이들은 대부분 지하철 3, 7, 9호선을 이용하여 고속터미널역에 도착하는 패턴을 보였습니다. 이들 지역은 주로 지하철로 30분 내에 도달 가능하다는 공통점이 있었습니다. 특히 2024년의 폭염이었던 어느 토요일 기준(8월 31일), 신사역에서 탑승해 고속터미널역에서 하차한 승객 수는 총 1,708명에 달했습니다.

고속터미널과 신세계백화점 강남점, 파미에스테이션을 방문하는 2030들을 타겟하기 위해서는, 이들이 주로 이용하는 서울고속터미널(경부 및 호남), 지하철 3,7,9호선 고속터미널역 내의 매체, 혹은 고속터미널역 인근을 지나는 버스 노선 매체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또한 고속터미널역이라는 목적지를 위해 하루에 1,037명이 지나간 봉은사역의 매체도 대안으로서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데이터 대시보드 조회

이번 분석의 내용을 태블로 대시보드로 확인하고 싶으신가요?

아래 링크에서 무료로 태블로 대시보드를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참고]

- 분석에 활용한 데이터 : 2024년 7월 8월 폭염일 중 토요일, 일요일 총 8일의 수도권 내 이동 데이터, 24년 8월 31일 지하철 O/D 데이터

이상 Data-driven OOH 컴퍼니 애드타입(Adtype)이었습니다.

 

 

다양한 옥외광고 사례가 궁금하시다면?

옥외광고 사례&분석 살펴보기 (Click)

 

옥외광고의 기획부터 집행, 결과 보고까지 전반의 내용이 궁금하시다면?

옥외광고의 A to Z - 옥외광고 관련한 자주 묻는 질문들 살펴보기 (Click)

-

Data-driven OOH 컴퍼니 애드타입(Adtype)

데이터와 옥외매체를 활용한 인지 마케팅 전문성으로

브랜드의 성공적인 성장을 지원합니다.

 

 

 

 

 

 

  • #옥외광고
  • #여름광고
  • #2030
  • #여름마케팅
  • #오프라인마케팅

추천 콘텐츠

더보기